주로 밤 중에 입과 눈 주위 물어, 감염자 중 만성심장질환 앓기도
 
insect.jpg
▲ 성충 단계의 ‘트리아토마’ 모습.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자연에서 서식하는 벌레가 옮기는 질환은 때로 치명적일 수 있다. 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모기를 매개로 하는 뎅기열이나 웨스트 바이러스 그리고 지카 바이러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최근에는 ‘키싱 버그(kissing bugs)’라는 곤충이 매스컴에 종종 등장하고 있다.

<마이애미 선센티널>은 미 심장협회(AHA) 보고서를 토대로 최근 키싱 버그라는 별명을 지닌 곤충이 플로리다주를 포함한 미 동남부로 상륙해 들어오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본명이 ‘트리아토마(triatomine bugs)’인 이 벌레는 본래 중남미 지역에서 열대풍토병을 일으킨 흡혈 빈대의 일종으로, 미국에서는 1940년대 처음 발견됐고, 근래들어 수 십개 주로 퍼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벌레는 야행성으로 사람의 수면 시간에 활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입이나 눈 주위를 물어 키싱 버그라는 별명을 지닌다.

벌레는 신체에서 흡혈 하면서 남긴 배설물을 통해 ‘샤가스 병(Chagas disease)’을 일으키는 기생충인 크루스파동편모충(Trypanosoma cruzi)을 인체에 감염시킬 수 있다. 즉 벌레가 흡혈한 피부가 가려워 그 부위를 긁으면 배설물 속 기생충이 손상된 피부를 통해 침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AHA에 따르면 미국에서 샤가스 병 감염 환자는 약 30만명으로 주로 외국에서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감염 증상은 눈 주위가 붓는 것, 두통, 피로, 발진, 근육통 등이며, 감염자 3분의 1정도는 부정맥 등 만성 심장질환을 앓기도 한다.

그러나 벌레에 물렸다고 해서 모두 샤가스 병에 감염되는 것이 아니고, 감염자의 60∼70%는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너무 과하게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한다.

연방 질병예방통제국(CSC)에 따르면 현재 벌레 물림을 예방하는 스프레이 약품은 나와 있지 않다. 다만 벌레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창문, 벽, 문, 지붕 등을 통해 벌레가 들어올 수 있는 틈을 메우고, 집 주변에 나무 부스러기나 장작 등을 없애며, 애완동물은 실내에서 자게 하는 것이 좋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5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증가세 크게 꺾여… 스테이-엣-홈 효과?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6.
1354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포함 플로리다, 연이틀 증가세 둔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7.
1353 미국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코로나19 수그러들 조짐 보이나? 최근 증가세 둔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8.
1352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유일 청정지역 ‘리버티’… 마이애미 700명대 증가치 나흘째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9.
1351 미국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환자 증가치 600명대로, 하향곡선 그리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0.
1350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한국 환자수와 같아진 마이애미, 사망자는 딱 두배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1.
1349 미국 태평양 섬나라 10개국 등 17개국 ‘코로나 청정국’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8 미국 미국, 10년새 고학력 이민자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7 미국 올랜도 UCF, 드라이브스루 코로나19 검진소 열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6 미국 플로리다 전역 '자택칩거령', 지역정부는 자체 규정 시행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5 미국 감기-독감-코로나19, 증상 확연히 차이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4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정점 찍었나?...1100명대 ‘평형’ 깨고 하강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3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부활절, 플로리다 증가치 큰폭 하락… 마이애미 잡혔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3.
1342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플로리다 일일 증가, 다시 1100명대로… ‘평형 상태’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5.
1341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마이애미 잡히니, 플로리다 잡히네! 플로리다 신규환자 '급전직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5.
1340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제14신] 플로리다, 종착역 향해 ‘2보 전진, 1보 후퇴’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7.
1339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주춤주춤 반보 앞으로... 플로리다 신규환자 800명대 초반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7.
1338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플로리다 새 환자 돌연 ‘수직상승’… 다시 4월초 수준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8.
1337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머리 총맞고 살아난 경찰, 코로나로 사망… 플로리다 새환자 다시 ‘뚝’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9.
1336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혼쭐난 플로리다, 제자리 복귀… 신규환자 연일 ‘평형’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