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자금 모금액, 최근 여론조사에서 소폭 앞서
아브람스, ‘새 유권자’ 참여시키는 것이 관건

 

 

차기 조지아 주지사는 과연 누가될까? 우선 선거자금 확보면에서 켐프 후보가 약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7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3개월간 켐프 후보가 거둬들인 선거자금은 총 1176만1518 달러를 거둬들여 지금까지 총 1687만7233 달러를 모금한 것으로 집계됐다. 9월30일 기준으로 남은 자금은 660만1031 달러다.

 

아브람스 후보는 같은 기간 1021만9114 달러를 거둬들여 지금까지 총 1625만1414 달러를 모금한 것으로 집계됐다. 9월30일 기준으로 남은 자금은 492만995 달러다.

 

후원금을 보낸 사람들의 구성도 전혀 다르게 나타나면서 양측의 공방이 이어졌다.

 

공화당측은 아브람스 후보의 선거자금 중 64%가 조지아 밖에서 보내온 자금인 반면, 켐프 후보의 선거자금은 95%가 조지아 주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측은 3만8000여 명의 조지아주민이 후원금을 보내왔고 그 중 대부분은 100달러 이하의 소액후원자였다고 맞받아쳤다. 오히려 켐프 후보측 후원자들은 조직적인 기업들이 대부분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지금까지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보면, 양측이 박빙의 승부를 예고하고 있기는 하지만, 켐프 후보에게 조금 유리한 상황으로 읽혀진다.

 

지난 7월15~19일 실시된 WXIA-TV 조사결과는 46 대 44로 켐프 후보가 2포인트 앞선 것으로 나타났었다. 바로 이어 7월27~29일 Gravis가 실시한 여론조사에는 44대 46으로 아브람스가 2포인트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가 8월26일~9월4일 실시된 AJC 여론조사에선 45 대 45로 동률을 보였다.

 

9월17~20일 실시된 개린-하트-양 연구소의 조사결과로는 48대 42로 아브람스가 크게 앞선 것으로 집계됐지만, 10월 1일 랜드마크 커뮤니케이션이 발표한 조사결과에는 48 대 46으로 켐프가 다시 2포인트 앞선 모습을 보였다.

 

문제는 모든 여론조사 결과가 오차범위 안이라는 점이다. 어느 누구도 여론조사 결과 만으로는 승부를 예측하기 힘든 상태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지아주는 흑인 여성 주지사를 맞이할 준비가 되지 않은 백인 유권자들이 결집할 조짐을 보이고 있고 이들 대부분이 ‘샤이 트럼프’로 분류될 수 있다는 점은 켐프 후보측을 웃게 하고 있다.

 

아브람스 후보는 여성들이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는 점과 이민사회에 우호적이라는 점을 들어 지금까지 투표에 나서지 않았던 새 유권자층을 공략하는 것이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선거는 이제 4주 앞으로 다가왔다.

유권자 등록 마감 시한도 10월 9일로 코앞에 다가왔다.

유권자 등록을 하지 않았거나, 예전에 유권자 등록을 했더라도 투표를 한 번도 하지 않은 사람은 유권자 등록이 돼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누락됐을 경우 다시 등록해야 한다.

 

유권자 등록은 인터넷으로도 가능하다. bit.ly/americanvote

자신이 유권자로 등록돼있는지 여부는 웹사이트 www.mvp.sos.ga.gov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클릭시 이미지 새창.

 

클릭시 이미지 새창.

 
  • |
  1. abrams_kemp.jpg (File Size:166.0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95 미국 미국 코로나 환자 20만명 육박 세계 최다...사망자도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4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공립학교 온라인 수업 들어가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3 미국 드샌티스 주지사 I-95와 I-10 검문 명령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2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미국 30만 명-플로리다 1만 1천 명… 마이애미 '1천명 증가세' 지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1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확진 1만 명 눈앞… 마이애미, 매일 1천명씩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4.
1890 미국 [코로나 이모저모] 코로나 위기 상황서 팁 1만불... 따뜻한 온정의 손길도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3.
1889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확진자, 8일만에 무려 5.7배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3.
1888 미국 [속보] 미국 지역 재외선거 투표소 운영 전면 취소 file 코리아위클리.. 20.03.31.
1887 미국 미 전국 가정에 2020 센서스 참여 초대장 발송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6 미국 극심한 피로 6개월 이상 지속...만성피로증후군 아냐?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5 미국 미국, 코로나19 유급 병가-무료 검사 본격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4 미국 코로나19 대응책 속속 발동… 뉴욕 등 주 방위군 동원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3 미국 미국 코로나19, 첫 감염자 발생 후 두 달만에 5만명대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2 미국 FBI “코로나19 정보 가장한 이메일 조심하라”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1 미국 숨죽인 플로리다주... 코로나19 확진자 매일 급증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0 미국 중앙플로리다 오렌지-오시올라 카운티, 밤 11시부터 통행금지 코리아위클리.. 20.03.30.
1879 미국 NFL 최고 쿼터백 브래디, 탬파베이로 이적 코리아위클리.. 20.03.30.
1878 미국 미 중소기업청, SBA 재난구호 융자 프로그램 가동 코리아위클리.. 20.03.30.
1877 미국 ‘빈익빈 부익부’ 코로나로 인한 차별 논란! 美부자들 개인 소유 섬으로 피신 호주브레이크.. 20.03.28.
1876 미국 美 상원, ‘돈 보따리’ 풀었다! '2.2조 달러' 짜리 슈퍼부양안 가결 호주브레이크.. 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