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맘모그램 권장 연령에는 이견
 

ribon.jpg
▲ 롱우드시 한 자동차 딜러십에서 핑크리본을 그려넣은 풍선과 분홍색 깃발 등을 세워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10월 들어 이곳 저곳에서 핑크빛 리본이 등장하고 있 다. 미 보건국은 유방암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자 10월을 '유방암 자각의 달(Breast cancer awareness)' 로 정하고, 건강관련 단체들은 핑크리본 캠페인을 벌여 오고 있다.

20년전 화장품 회사 에스티 로더가 주도하기 시작한 핑크리본 캠페인은 해마다 규모가 커져 각종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나 미국 등 선진국들은 유방엑스선 검사(맘모그램) 및 전문 진료소 설치 등 유방암 조기 진단이나 치료에 많은 비용을 소비하고 있어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눈에 띄게 낮아지고 있다.

맘모그램 진단 연령과 횟수, 의견 다양

유방암 조기 진단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조기 검진의 효과보다 의료 방사선 노출에 따른 해로움이 더 크다는 의견이 있기 때문이다. 건강 전문 기관들의 권고를 보면 맘모그램 진단 연령과 횟수에 대한 의견이 다양함을 엿볼 수 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미 질병예방센터(CDC) 테스크포스는 50세에서 74세까지 2년마다 한 번씩 맘모그램을 권장했다.(2009년) 미 방사선학 그룹과 암 협회는 40세부터 매년 진단할 것을 권하고 있다.

캐나다 질병 예방 보건 테스크포스와 유럽인 암 관찰소는 각각 2012년과 2011년에 맘모그램 진단을 50세에서 69세에 매 2∼3년마다 할 것을 권했다.

유방암은 난소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에스트로겐 분비는 암 발생 뿐 아니라 그 발육이나 증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 유전적 소인도 유방암의 발생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다.

유방암의 발생원인으로는 외부적인 요인도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에스트로겐의 원료가 되는 동물성 지방이 많은 음식도 위험인자이다. 실제로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가고 있는 한국도 유방암 발생율이 예전에 비해 무척 증가된 상태이다.

또한 경제적 수준이 높은 계층의 여성, 비만 여성, 하체에 비해 상체 비만도가 높을 수록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이 외 미혼, 초경이 빠른 사람(12세 이전), 폐경이 50세 이상으로 늦은 사람, 출산을 하지 않은 사람, 출산을 했더라도 모유를 먹이지 않은 여성 등은 일반적으로 유방암에 걸리기 쉬운 타입으로 분류된다.

멍울과 분비물 등 눈에 띄는 증상 있어

유방암은 우측보다 좌측에 약간 더 많이 발생해 서구에서는 유방암을 '좌측 질환(Left side disease)'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방암은 유두를 중심으로 유방을 네 부분으로 나눌 때 상외측, 곧 윗부분의 바깥쪽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자가검진이나 정기검진 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이상은 멍울이다. 멍울은 초기에는 통증이 없는 단단한 멍울이었다가 증세가 진행됨에 따라 멍울이 점차 커지고 이따끔 둔한 통증이 있으며 유두가 퇴축하여 다른 한쪽과 위치 차이를 보일 수도 있다.

또 유두에서 불그스름한 분비물이 나오기도 하고 유두 부근에 잘 낫지 않는 피부염이 계속 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두분비물은 유방암 환자의 10%만 경험하는 증상이다.

유방암이 주위의 림프선으로 전이 되면 겨드랑이나 빗장뼈 아래위에 멍울이 만져진다. 유방암은 간, 폐, 뼈 등에 전이를 잘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암은 일찍 발견해 제대로 치료하면 완치할 수 있다. 실제 5년 생존율만 해도 1기에 치료하면 95%지만 3기땐 50%로 감소한다.

문제는 유방암도 여타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초기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또 멍울이 만져질 정도가 되면 유방암이 상당기간 동안 진행돼 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일정한 연령때부터는 정기적인 진단이 필요하다.

한국인 5대 주요 암 가운데 유방암만이 발생률 계속 증가, 생존율은 높아

한편 지난해 한국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성별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남자 301.2명, 여자 266.1명이다. 암종으로는 남자의 경우 위암, 폐암, 대장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고,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특히 유방암은 국가가 검진비를 지원하는 5대 주요 암(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가운데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유일한 암으로 2007년 이후 연평균 4.0% 증가율을 보였다.

남자는 44세까지는 갑상선암이, 45∼69세에는 위암이, 70세 이후에는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여자의 경우 39세까지는 갑상선암, 40세-64세까지 유방암 그리고 65세 이후에는 대장암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생존율이 높은 암종은 갑상선암(100.3%), 전립선암(94.1%), 유방암(92.3%)이었고, 낮은 암종은 간암(33.6%), 폐암(26.7%), 췌장암(10.8%)이었다. (건강뉴스 및 건강정보 참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95 미국 미국 코로나 환자 20만명 육박 세계 최다...사망자도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4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공립학교 온라인 수업 들어가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3 미국 드샌티스 주지사 I-95와 I-10 검문 명령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2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미국 30만 명-플로리다 1만 1천 명… 마이애미 '1천명 증가세' 지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1891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확진 1만 명 눈앞… 마이애미, 매일 1천명씩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4.
1890 미국 [코로나 이모저모] 코로나 위기 상황서 팁 1만불... 따뜻한 온정의 손길도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3.
1889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확진자, 8일만에 무려 5.7배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3.
1888 미국 [속보] 미국 지역 재외선거 투표소 운영 전면 취소 file 코리아위클리.. 20.03.31.
1887 미국 미 전국 가정에 2020 센서스 참여 초대장 발송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6 미국 극심한 피로 6개월 이상 지속...만성피로증후군 아냐?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5 미국 미국, 코로나19 유급 병가-무료 검사 본격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4 미국 코로나19 대응책 속속 발동… 뉴욕 등 주 방위군 동원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3 미국 미국 코로나19, 첫 감염자 발생 후 두 달만에 5만명대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2 미국 FBI “코로나19 정보 가장한 이메일 조심하라”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1 미국 숨죽인 플로리다주... 코로나19 확진자 매일 급증 코리아위클리.. 20.03.30.
1880 미국 중앙플로리다 오렌지-오시올라 카운티, 밤 11시부터 통행금지 코리아위클리.. 20.03.30.
1879 미국 NFL 최고 쿼터백 브래디, 탬파베이로 이적 코리아위클리.. 20.03.30.
1878 미국 미 중소기업청, SBA 재난구호 융자 프로그램 가동 코리아위클리.. 20.03.30.
1877 미국 ‘빈익빈 부익부’ 코로나로 인한 차별 논란! 美부자들 개인 소유 섬으로 피신 호주브레이크.. 20.03.28.
1876 미국 美 상원, ‘돈 보따리’ 풀었다! '2.2조 달러' 짜리 슈퍼부양안 가결 호주브레이크.. 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