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바이크’ 거치대 필요없는 조례 도입, ‘라임’ 자전거 늘어나
 

lime.jpg
▲ 올랜도 시정부가 자전거 공유회사에 대해 처음으로 고정대를 요구하지 않는 조례를 도입했다. 사진은 올랜도 다운타운 인근 콜로니얼 선상 인도에 세워놓은 라임사 공유 자전거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올랜도 시정부가 자전거 공유회사에 대해 처음으로 거치대(고정대)가 필요없는 도크리스(dockless) 조례를 도입했다. 이는 승객이 자전거를 사용한 후 지정 장소가 아닌 다른 곳에 세워 놓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그동안 소수 지역에 묶여 있던 라임(Lime)사의 녹색 자전거들은 14일부터 올랜도시 곳곳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최대 500대에 대해 승인 받은 라임은 플로리다주에서 처음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공유 자전거로, 전기 동력으로 페달 전진을 돕는 ‘e-바이크’이다.

라임 회사는 올랜도에서 성공을 낙관한다. 지역은 2018년 상반기 관광객이 6500만 명 이상인데다, 도심지 라이프를 즐기는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의 수가 증가세에 있기 때문이다.

올랜도에서 공유 자전거로는 2015년에 처음 등장한 쥬스 바이크 셰어(Juice Bike Share)가 있다. 이 회사 오렌지색 자전거는 지난해 9월까지 이용수가 10만 7천회에 달한다.

올랜도시가 이번에 도크리스를 승인한 것은 앞으로 더 많은 회사들에게 시장을 개방하겠다는 의미이다. 이에 플로리다에 본사를 둔 쥬스 바이크 셰어는 라임처럼 공유 자전거 시스탬을 전기화 할 방안을 모색중이다.

라임 e-바이크에는 리튬 배터리를 탑재해 14.8mph의 최고 속도에 바구니, 스마트폰 마운트, 자물쇠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자전거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을 해제하려면, 라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앱에서 QR 코드를 스캔해야 한다. 자전거의 잠금을 해제하는 데는 1달러가 들며, 사용 가격은 분당 15센트.

쥬스 바이크의 경우, 지역 주민 고객은 하루에 60분 또는 90분 무료 바이킹에 매달 15달러에서 20달러(연간 59달러) 사이의 회비를 낸다. 방문객은 시간당 8달러를 지불한다.

한편 공유 자전거의 태동지인 베이징을 포함해 시애틀과 달라스 등지에서는 쌓인 공유 자전거들이 드라이브웨이나 휠체어 램프를 막는 등 공공교통에 혼잡을 일으키는 바람에 일정 규제를 가하고 있다. 일례로 달라스시는 공유자전거가 공공장소에 혼잡을 가져오자, 회사측에 통보하고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시 차원에서 규제를 가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공유 자전거, 운동과 친환경 활동 등 긍정적인 면도

공유 자전거는 위성위치추적장치(GPS)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유 택시 우버나 리프트와 비슷한 작동 시스탬을 지니고 있다. 소비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근 자전거 위치를 확인한 다음 자전거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본인이 타고 싶은 만큼 이용한 후 회사가 인지할 수 있는 주차구역에 세워놓고 다시 스마트폰으로 잠금을 한다.

공유 자전거가 전세계적으로 관심을 끄는 것은 대중 교통의 부분적 대체, 친환경적 이동 수단 그리고 운동이나 여가 활용 등 주민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거지와 통근 열차역이 다소 떨어져 있을 경우 공유 자전거로 역전까지 갈 수 있어 자연 열차 이용이 늘게 된다. 일부 공유 자전거는 자전거 주행거리, 개인 열량 소모, 공기중 탄소배출 감소량을 수치화 해서 보여줌으로써 소비자가 운동은 물론 친환경 활동에 참여했다는 심리적 보상을 얻도록 해서 자전거 이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도 한다.

또 주말에는 장바구니가 부착된 자전거로 시장을 가고, 가족들이 인근 공원을 방문하는 등 하이킹을 쉽게 즐길 수 있다면, 공유 자전거는 시민들의 삶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95 미국 조 바이든, 판세 굳히나?…주요 지역 의원들 지지 선언 코리아위클리.. 20.01.15.
1794 미국 10월부터 면허증에 별(★) 없으면 비행기 못탄다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93 미국 휴스턴 실종 한인, 변사체로 발견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92 미국 올 하반기부터 여권에 출생지 표기 가능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91 미국 19세 남자, DART 기차에 치여 사망 KoreaTimesTexas 20.01.10.
1790 미국 텍사스 복권, 500만달러까지 지역센터에서 수령 가능 KoreaTimesTexas 20.01.10.
1789 미국 2020 달라스 한인회 슬로건 “새로운 시작”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88 미국 달라스 한인회, 사업예산 54만달러 책정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87 미국 민주평통 유석찬 회장, ‘국민훈장 목련장’ 수상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86 미국 간호사협회, 간호인재 양성에 가교역할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85 미국 코펠 ISD 5학년생, 독감으로 사망 file KoreaTimesTexas 20.01.10.
1784 미국 도로변 구걸 '홈리스', 그들은 과연 누구인가 코리아위클리.. 20.01.05.
1783 미국 플로리다 ‘최저임금 15달러’ 인상안, 내년 투표지에 오른다 코리아위클리.. 20.01.05.
1782 미국 미국내 문닫은 소매점 , 작년보다 60%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1.05.
1781 미국 미 하원, 1조 4천억 달러 정부 지출안 승인 코리아위클리.. 20.01.05.
1780 미국 ‘연기 흡입식’ 대마초 사용 청소년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20.01.05.
1779 미국 트럼프 탄핵소추 결의안 하원 통과…미국 역사상 세번째 코리아위클리.. 20.01.05.
1778 미국 마이애미지역에 미국 최대 메가몰 들어선다 코리아위클리.. 20.01.05.
1777 미국 미국땅 가장 끝동네 '드라이 토르투가스'를 아시나요? 코리아위클리.. 19.12.23.
1776 미국 미국에서 팁은 누구에게, 얼마나 주어야 하나 코리아위클리.. 19.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