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예방주사가 효력이 없다고? 당신이 틀렸다
 

flushot.jpg
▲ 일반인들 사이에서 독감 예방주사가 효과 없다는 등 독감에 대한 잘못된 ‘신화’가 줄곧 존재해왔다. 사진은 롱우드시 윈딕시 수퍼마켓 앞에 놓여진 독감 주사 홍보판.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독감 ‘시즌’이라는 12월~2월이 지나갔지만 독감의 위협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발호하는 신종 독감은 시즌에 관계 없이 위협적이고, 여전히 많은 사망자들을 내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떠도는 ‘신화’가 아닌 ‘바른 지식’을 갖고 대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어느정도 독감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독걈에 대한 바른 지식은 그 자체로 ‘힘’이며, 건강한 독감 시즌을 벗어나는 첫걸음이다.

전문가들이 최근에 업데이트 한 독감 예방책과, 독감 치료에 대한 중요한 충고를 새겨볼 필료가 있다. 우선 대중에게 회자되고 있는 독감에 대한 잘못된 신화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화1: 독감(flu)과 소화기성 감기(stomach flu)는 같은 병이다?

실제 독감은 소화기와는 조금도 관련이 없다. 겨울에 말하는 '독감'은 '인플루엔자(influenza)'의 줄임말이다. 독감은 입, 코, 목, 폐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독감에 걸리면 극심한 피로, 체 또는 체증, 심한 두통 및 통증, 심지어 고열까지 느낄 수 있는 반면, '소화기성 감기'는 메스꺼움, 경련, 구토를 유발한다.

신화2: 항생제로 독감을 치료할 수 있다?

항생제는 독감에 효력이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항생제는 박테리아 감염과 싸우지만 바이러스인 독감과 싸울 능력이 없다. 물론 감기 증상이 있을 때, 독감인지 아닌지 유심히 살펴볼 필요는 있지만, 항생제를 과신하여 독감에 쓰는 것은 금물이다. 독감에 걸렸을 때 이부프로펜(ibuprofen)이나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과 같은 처방전 진통제를 복용하면 열을 줄이고 통증과 통증을 진정시킬 수 있다.

신화3: 젊고 건강한 사람들은 독감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독감에 누구나 걸릴 수 있고, 심지어 건강한 젊은이들에게도 위험하다. 독감은 노소를 차별하지 않는다. 감염자 주변에 있으면 모든 연령대와 계층의 사람들이 독감에 걸릴 수 있다. 일단 독감에 걸리면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있다. 그래서 독감 예방 주사를 맞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 것이다.

신화4: 독감 예방주사가 독감 전염을 가져올 수 있다?

물론 독감 예방주사가 부작용을 가져다 줄 수는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독감 예방주사가 독감을 가져다 주지는 않는다. 가령 어떤 사람들은 주사를 맞은 후 팔에 붉은 색이나 통증이 있는 등 가벼운 반응을 보인다. 나중에 두통이나 약간의 열이 나기도 하지만, 그것은 주사 자체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일 뿐이다. 코 스프레이형 독감 백신(nasal flu vaccines)의 경우 기침, 콧물, 근육통 등 부작용 가능성이 높지만 대체로 미미하고 잠시만 지속된다.

신화5: 독감 주사를 맞았음에도 독감에 걸리는 걸 보니 독감 주사는 효과가 없다?

이 경우 다른 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독감 예방 주사를 맞은 후에 아프다면, 그것은 아마도 여러분이 주사를 맞기 며칠 전이나 맞기 바로 전에 감염된 사람과 접촉했기 때문일 것이다. 독감 백신이 효력을 발휘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독감 증세를 모방한 또 다른 질병(악취감기 같은)에 걸렸을 수도 있고, 올해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독감 변종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다. 독감 주사는 그 특정 계절에 가장 독하거나 흔한 변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매년 재설계되기 때문에 한번 맞은 주사가 모든 독감에 효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신화6: 비타민C는 감기와 플루를 예방하거나 줄인다?

그저 ‘신화’에 불과할 뿐이다. 그 같은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 많은 경우 감기나 독감에 걸렸을 때 비타민 C 보충제나 오렌지 주스를 많이 섭취하라는 제안을 받았을지 모르지만, 비타민 C를 다량으로 섭취하는 것이 질병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증거는 없다. 독감 바이러스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손을 깨끗이 하고 수분을 유지하며 감염된 사람들과 접촉을 피하는 것이다. 만약 독감 예방 주사를 맞기 전에 바이러스에 접촉했다는 것을 안다면, 담당 의사가 면역 체계를 보호하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할 지도 모른다.

신화7: 추위에 노출되거나 젖은 머리를 하고 밖에 나가는 것은 독감을 유발할 수 있다?

추위 때문에 독감 바이러스에 걸리는 게 아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야만 독감에 걸린다. 겨울철에 독감 성수기가 발생하면 추운 기온이 독감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독감을 유발한다. 젖은 머리를 가지고 집을 나가는 것과 독감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신화8 : 나에게 독감 증상이 없으니 다른 이에게 독감을 전염시키지 않는다?

바이러스에 감염었음에도 며칠 동안은 독감 증상을 경험하지 않을 수가 있다. 증상이 없지만 이미 감염된 그 기간에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다. 독감 증상은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온 지 1~4일 후에 시작되기 때문에 모르는 사이에 독감에 걸린 다음 기침, 재채기, 또는 누군가와 긴밀하게 이야기하면서 전염될 수 있다.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선 손을 자주 씻거나 이동 중일 경우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과 코를 가리고, 모자나 옷 종류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35 미국 ‘미투’ 운동 2년…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 코리아위클리.. 19.10.29.
1534 미국 ‘성인의 날 이브’인가 ‘스푸키 나잇’인가 코리아위클리.. 19.10.29.
1533 미국 독감 시즌 돌입, 10월 중 예방접종 해야 코리아위클리.. 19.10.29.
1532 미국 미국 젊은이들 자살률 10년 간 58% 늘어 코리아위클리.. 19.10.29.
1531 미국 연례 메디케어 등록, 이달 15일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0.29.
1530 미국 높아지는 총기 규제 강화 목소리…미국민 60% ‘찬성’ 코리아위클리.. 19.10.29.
1529 미국 마이애미 세미놀 하드락 카지노 호텔 개관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8 미국 I-4 개선 프로젝트, 공사 지연 및 인부 사망 등 '몸살'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7 미국 오바마 케어 연례 등록 11월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6 미국 바이든 지지율 부진 벗어나 반등 34%, 워런에 크게 앞서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5 미국 미 의회, 전기 자동차 구매 대규모 지원 계획 발표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4 미국 미국에서 '부자'는 100만 달러론 어림없다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3 미국 '바람 든 무' 골다공증 방치하면 골절 위험 코리아위클리.. 19.11.06.
1522 미국 연방 대법, ‘불체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 심리 코리아위클리.. 19.11.15.
1521 미국 탄핵정국 본격화… 트럼프 탄핵 공개청문회 시작 코리아위클리.. 19.11.15.
1520 미국 올랜도 호텔 객실서 성경이 사라지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9.11.15.
1519 미국 11월은 당뇨병 자각의 달 ,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9.11.16.
1518 미국 플로리다는 성형에 가장 집착하는 주 코리아위클리.. 19.11.27.
1517 미국 화물 운송 기업 UPS, 드론 이용한 택배 성공 코리아위클리.. 19.11.27.
1516 미국 미국 시민권 신청 비용 80% 이상 증가 코리아위클리.. 1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