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자들, 저가 주택 건설 피해… 저임금 소득자들, 아파트로 몰려


 

housing.jpg
▲ 올랜도 다운타운에 고급 콘도 건설이 한창이지만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건설은 부진하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미국 전체 기준으로 '매우 낮은' 소득으로 꼽히는 연 2만4600달러 이하를 버는 사람들에게 올랜도 지역이 가장 살기 힘든 곳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고 지난 22일 <올랜도센티널>이 보도했다.

현재 올랜도 지역의 식품점 카운터, 개인병원 카운터, 일반 레스토랑 종업원, 탁아소 보모 등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은 시간당 15달러 이하 수입을 올리고 있는데, 주택을 산다는 것은 ‘꿈’에 불과하다.

지금과 같은 상황은 지난 수 년 동안에 변화된 주택 사정 때문이다. 주택 시장이 붕괴된 이후 미국 경제가 숨통이 트이기 시작하면서 건설업계는 안전시장인 큰 주택과 고급 아파트를 짓기 시작했다. 주택 전문가들은 이같은 상황을 두고 '무시된 중산층'이라고 불렀다.

주택 건설업자들은 20만 달러에서 30만 달러 범위의 주택을 더이상 짓지 않았다. 이 범위의 주택을 건설해서는 그리 큰 이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다른 문제는, 건설업자들이 번거로운 연방 또는 주정부 규정에 따라 지어야 하는 저소득층 주택 건축을 피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렴한 주택 건설 명목으로 책정된 주택 신탁 기금이 있는데, 이 조차도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이 기금을 주택에만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지만, 그것은 지금 회기 중에 있는 입법부에 묶여 옴짝 달싹 못하고 있다. 오렌지 카운티 산하의 저렴한 주택 위원회도 4월에 해결책을 검토할 예정이지만 당장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 같지는 않다.

올랜도 지역만 해도 지난 2년 동안 약 585채의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이 이 지역에 지어졌는데, 완공되기 전에 광고도 없이 임대되었다.

결국 시장의 한 부분이 없어지면서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아파트로 몰려들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미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인데, 엄청난 임대 수요로 인해 아파트 임대료가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메트로 올랜도 지역은 저 소득층을 위한 아파트 11만 5000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 소득층은 수입의 절반 이상을 아파트 비용으로로 내고 나머지 수입으로 겨우 살아간다.

오렌지 카운티의 주택 및 지역사회 개발 부문 관리자 미첼 글래서는 시장이 변해야만 이 상황이 바뀔 것이라고 예측했다.

가장 큰 문제는 저 소득층의 수입에 당장 큰 변화가 생길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플로리다 주 최저 임금 8.46달러, 연수입 1만7600달러 수입을 가진 사람이 2베드룸 아파트에 월 1200달러를 지불하고 나면 식품비를 대기 조차도 버겁게 된다. 올랜도 지역의 테마파크에서 시간당 10달러 혹은 12달러를 받고 일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저렴한 가격대의 주택의 부족은 단지 저소득층 노동자나 그 가족에게만 손해를 입히는 것이 아니다. 아파트의 공급량이 대폭 늘어나면 집값이 떨어지니 결국 기존 주택 소유주들에게도 손해를 입힌다.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메디케이드 비용을 충당해 주기기 위해 일반 주민들은 세금도 더 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레이크 카운티의 경우가 바로 그렇다. 자동차 보험료를 낼 형편이 못 되는 운전자들과 시비가 붙을 경우 당하는 고통 또한 일반 주민의 몫이 된다. 사회통합에도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35 미국 험난한 올랜도 I-4 공사, 4년간 인부 4명 목숨 앗아가 코리아위클리.. 19.03.31.
1734 미국 "외계인 봤다"에 과학계 외면하지 않는다 코리아위클리.. 19.03.31.
1733 미국 카레 나라 인도에는 카레라이스가 없다 코리아위클리.. 19.03.31.
1732 미국 CNN ‘디지털 성범죄 위기의 K팝’ 뉴스로_USA 19.04.04.
» 미국 올랜도 낮은 가격대 주택, 미 전역서 가장 부족 코리아위클리.. 19.04.06.
1730 미국 플로리다에 독성 두꺼비 번식, 애완동물에 치명적 코리아위클리.. 19.04.06.
1729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수십억개 불법 로보콜 단속 코리아위클리.. 19.04.06.
1728 미국 “불합리한 미국 대선 ‘선거인단 투표’ 제도 없애자” 코리아위클리.. 19.04.06.
1727 미국 작년 보행 교통사고 사망 30년 내 가장 큰폭 증가 코리아위클리.. 19.04.06.
1726 미국 샌더스 “미국, 북한과의 외교적 노력 계속해야” file 뉴스로_USA 19.04.07.
1725 미국 “종전선언 하원 법안서명 늘어” KPN 기여 file 뉴스로_USA 19.04.10.
1724 미국 악어 짝짓기 시즌 도래, 사고 위험도 높아져 코리아위클리.. 19.04.12.
1723 미국 마이애미 동물원, 미국 ‘최고 동물원’ 2위 올라 코리아위클리.. 19.04.12.
1722 미국 연방 대법, ‘고통 없이 사형당할 사형수 권리’ 거부 코리아위클리.. 19.04.12.
1721 미국 3월 미국 일자리 수 증가… 실업률은 3.8% 제자리 코리아위클리.. 19.04.12.
1720 미국 트럼프 “건강보험 개편 2020년 대선 이후로…” 코리아위클리.. 19.04.12.
1719 미국 유럽국가들 여행에 특별 인증 필요 코리아위클리.. 19.04.12.
1718 미국 마이애미-올랜도 간 고속철, 더 이상 설왕설래는 없다 코리아위클리.. 19.04.13.
1717 미국 北 영변핵시설 폐기, 美 제재완화 및 종전선언’ 제시 뉴스로_USA 19.04.18.
1716 미국 ‘北 영변핵시설 폐기, 美 제재완화 및 종전선언’ 제시 file 뉴스로_USA 19.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