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아메리칸 이코노미>, 미국 100개 도시 추려 분석
 
chicago.jpg
▲ 이민자에 친화적인 도시로 꼽힌 시카고 도심 지역 모습.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에서 불법이민자 추방이나 청소년추방유예 프로그램(DACA) 종료 시도 등 반이민정책이 거세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백악관과 국무부가 주도하는 연방 정책이 주 혹은 시 등 지방정부의 정책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같은 주들은 종종 성역 도시와 같은 문제에서 연방 당국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다. 성역 도시는 불법이민 범죄자들의 정보를 연방 정부와 공유하기를 거부하는 지역을 일컫는다.

또 시카고와 같은 도시들은 이민 자체는 물론 이민자가 만들어내는 다문화 프리즘을 북돋우며 이민자들이 더 넓은 공동체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난 14일 나온 <뉴 아메리칸 이코노미’(New American Economy·NAE)>의 보고서는 이같은 이민 친화적인 도시들을 소개하면서 미국내 어느 도시가 이민자들을 가장 환영하고 그들의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촉진하고 다양성과 문화적 교류를 장려하고 있는지 밝혔다.

이민개혁을 추구하는 초당적 비영리 연구단체인 NAE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발표한 연례 도시 지수에서 시카고는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다. 지난해 이민자 친화 도시 지수에서는 뉴어크(Newark)가 1위에 올랐고, 시카고는 8위를 기록했었다.

보고서는 인구조사국 자료를 바탕으로 총 인구는 20만 명 이상, 외국 태생의 인구는 1만 명 이상, 그리고 외국 태생의 전체 인구 비율이 3.6퍼센트 이상인 100개 도시를 골라내 ‘지방정부 방침’, ‘경제력 육성’, ‘포용성’, ‘커뮤니티 역량’, ‘법적 지원’ 등 5개 범주 51개 항목의 점수로 순위를 매겼다.

올해 1위인 시카고는 평균 점수 4.38점(5점 만점)을 얻었다. 시카고는 특히 이민서류 미비자와 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제도 수혜자 등을 위한 법률 지원 환경이 양호한 점이 두드러졌다.

시카고에 이어 샌디에고 남쪽의 출라비스타(4.33점)가 2위를 차지했고, 뉴저지주 저지시티(4.30점), 샌프란시스코(4.25점), 볼티모어(4.23점), 뉴욕(4.03점) 등이 뒤를 이었다.

NAE는 뉴욕 시장을 지낸 마이클 블룸버그가 일부 정치가 및 기업가들과 함께 2010년에 설립한 단체로, 이민개혁에 대한 여론을 조성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단체의 웹페이지에는 "우리의 경제를 성장시키고 모든 미국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똑똑한 연방, 주 및 지방 이민 정책을 위해 싸운다"는 목표가 명시되어 있다.

NAE는 첫 번째 보고서에서 "포춘 500대 기업 중 40% 이상이 이민자나 그들의 자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는 우리의 경제와 사회에서 이민자들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대화의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도약대이다."라고 밝히며 이민자들이 미국 사회에 끼친 막대한 공헌을 강조한 바 있다.

다음은 NAE 선정 20위권 도시들이다.

1. Chicago, IL
2. Chula Vista, CA
3. Jersey City, NJ
4. San Francisco, CA
5. Baltimore, MD
6. New York, NY
7. Anaheim, CA / Newark, NJ / San Jose, CA (tied)
8. Los Angeles, CA / Portland, OR (tied)
9. Philadelphia, PA
10. Washington, D.C.
11. Cleveland, OH
12. Cincinnati, OH / Greensboro, NC / San Diego, CA (동위)
13. Seattle, WA
14. Detroit, MI
15 Fremont, CA / Riverside, CA / Sacramento, CA (동위)
16. Irvine, CA
17. Albuquerque, NM / Milwaukee, WI / Oakland, CA (동위)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95 미국 CNN, “스피드 스케이팅 내 성폭행 한국 스포츠계 뒤흔들어” file 코리아위클리.. 19.01.30.
1794 미국 <뉴욕타임스>, "안태근 징역형은 미투 운동가들의 승리" file 코리아위클리.. 19.01.30.
1793 미국 양승태 최초로 구속된 대법원장, 사법 불신 불러 일으켜 file 코리아위클리.. 19.01.30.
1792 미국 쇼핑 타운에서 쇼핑몰로, 이제는 인터넷몰 시대 코리아위클리.. 19.02.01.
1791 미국 올랜도, 전기 자전거 공유 시스탬 활성화 된다 코리아위클리.. 19.02.01.
1790 미국 탬파베이 명물 ‘선샤인 스카이웨이, 자살 방지책 나서 코리아위클리.. 19.02.01.
1789 미국 플로리다 딸기철 한창이네! 코리아위클리.. 19.02.01.
1788 미국 “미국의 베네수엘라정권 전복 중단하라” file 뉴스로_USA 19.02.07.
1787 미국 탬파 전력회사들, 스마트 계량기 구축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6 미국 온라인 주택 거래 시장 부쩍 증가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5 미국 올랜도, ‘보행자에게 가장 위험한 도시’ 오명 언제 벗나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4 미국 경기 좋은데 대량 해고? 올랜도 8년 만에 최고 수준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3 미국 롯데플라자 마켓, 올랜도에서 테이프 끊었다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2 미국 플로리다 고교, AP 통과율 전국 3위 코리아위클리.. 19.02.15.
1781 미국 플로리다 주 의원들, "성형외과 처벌 법안 제정해야" 코리아위클리.. 19.02.15.
1780 미국 플로리다 4개 도시, 미국 ‘최악의 도시 50위’에 포함 코리아위클리.. 19.02.15.
1779 미국 미국 성인 절반은 고혈압 등 혈관 질환자 코리아위클리.. 19.02.15.
1778 미국 초콜릿도 코코아 성분 높으면 좋은 식품 코리아위클리.. 19.02.15.
1777 미국 ‘트럼프의 코리안 빅 매치’ file 뉴스로_USA 19.02.17.
1776 미국 기아차 텔룰라이드 2020년형 양산 돌입 file 뉴스앤포스트 19.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