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대법원, ‘수정헌법 2조’ 소송 심리 다시 시작
 

gun.jpg
▲ 올랜도 윈터파크 지역 '시몬스 이메징 센터' 내 부착된 총기 소지 금지 사인.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연방 대법원이 무기 소지의 자유를 규정한 ‘수정헌법 2조’ 해석을 둘러싼 소송 심리를 2일 시작했다.

관련 사건을 대법원이 다루게 된 것은 지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최근 곳곳에서 총격 사건이 이어지며 총기 규제 여론이 높아지고, 여기에 반대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어서 미국사회의 관심이 대법원에 모아지고 있다.

미국의 ‘수정헌법 2조’는 총을 포함한 개인의 무기 소유 자유를 규정한 내용으로, 총기 규제 목소리가 커지고 지역 당국이 조치를 취할 때마다 반대 측은 이 헌법 규정을 들어 위헌을 주장해 왔다. 이 때문에 대법원이 수정헌법 2조를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총기 관련 법규의 입법과 시행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수정헌법 2조의 해석에 여지가 있는 이유는 미국 헌법이 형성될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지금의 현실이 다르기 때문이다. 수정헌법 2조에는 ‘규율 있는 민병대(militia)는 자유로운 주의 안보에 필요하므로, 무기를 소유하고 휴대하는 국민(people)의 권리는 침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명시했다. 당시는 영국의 식민지배를 경험하면서 국민의 자유를 위해 무장하고 저항할 권리를 강조하던 시절이었다.

실제 ‘민병대’라는 말은 요즘 미국사회에서는 낯설게 들리는 용어로, 총기 규제론자들은 수정헌법 2조의 주체가 ‘민병대’이기 때문에, 그밖에는 총기 소유를 제한하는 게 맞다고 주장한다. 반면 총기 소유 옹호론자들은 ‘국민의 자유가 침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했으니까 모든 국민의 총기 소유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법원이 마지막으로 관련 사건을 다룬 2010년에는 누구나 자기 보호를 위해 집에 총을 보유할 권리가 있다고 대법원이 밝히면서 총기 소유 옹호론자들의 손을 들어줬다. 총기 소지 가능 주체가 ‘민병대’ 구성원이냐 ‘국민’이냐의 논란에서, ‘국민’ 쪽에 무게를 실으면서 그 범위를 ‘모든 개인’으로 확장한 것이다.

그런데 10년 가까이 흐른 지금, 대법원이 ‘수정헌법 2조’ 관련 사건을 다시 맡은 이유는 뉴욕 당국과 총기 소유자 단체 사이에 진행 중인 법정 다툼 때문이다.

뉴욕 시는 총기 면허를 가진 사람이라도 사격장에 갈 때 등을 빼놓고는 등록된 주소 밖으로 총을 가지고 나가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자 ‘뉴욕 소총ㆍ권총협회(NYRPA)’를 비롯한 단체들이, 자유를 침해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후 뉴욕 시와 주 당국이 규정을 일부 완화했지만, 전미총기협회(NRA) 등이 이 사건에 관여하면서 대법원까지 올라가게 되었다. 10년 전엔 집에 총을 보유할 권리에 관한 사건이었는데, 이번엔 총을 집 밖으로 가지고 나갈 자유를 다투게 된 것이다.

현재로서는 대법원의 결정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닐 고서치·브렛 캐버노 등 보수 성향 대법관을 잇따라 임명했기 때문에 총기 보유 권리가 더 확장될 것이라는 일각의 전망이 있다.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내년 6월 말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95 미국 CNN, “스피드 스케이팅 내 성폭행 한국 스포츠계 뒤흔들어” file 코리아위클리.. 19.01.30.
1794 미국 <뉴욕타임스>, "안태근 징역형은 미투 운동가들의 승리" file 코리아위클리.. 19.01.30.
1793 미국 양승태 최초로 구속된 대법원장, 사법 불신 불러 일으켜 file 코리아위클리.. 19.01.30.
1792 미국 쇼핑 타운에서 쇼핑몰로, 이제는 인터넷몰 시대 코리아위클리.. 19.02.01.
1791 미국 올랜도, 전기 자전거 공유 시스탬 활성화 된다 코리아위클리.. 19.02.01.
1790 미국 탬파베이 명물 ‘선샤인 스카이웨이, 자살 방지책 나서 코리아위클리.. 19.02.01.
1789 미국 플로리다 딸기철 한창이네! 코리아위클리.. 19.02.01.
1788 미국 “미국의 베네수엘라정권 전복 중단하라” file 뉴스로_USA 19.02.07.
1787 미국 탬파 전력회사들, 스마트 계량기 구축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6 미국 온라인 주택 거래 시장 부쩍 증가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5 미국 올랜도, ‘보행자에게 가장 위험한 도시’ 오명 언제 벗나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4 미국 경기 좋은데 대량 해고? 올랜도 8년 만에 최고 수준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3 미국 롯데플라자 마켓, 올랜도에서 테이프 끊었다 코리아위클리.. 19.02.08.
1782 미국 플로리다 고교, AP 통과율 전국 3위 코리아위클리.. 19.02.15.
1781 미국 플로리다 주 의원들, "성형외과 처벌 법안 제정해야" 코리아위클리.. 19.02.15.
1780 미국 플로리다 4개 도시, 미국 ‘최악의 도시 50위’에 포함 코리아위클리.. 19.02.15.
1779 미국 미국 성인 절반은 고혈압 등 혈관 질환자 코리아위클리.. 19.02.15.
1778 미국 초콜릿도 코코아 성분 높으면 좋은 식품 코리아위클리.. 19.02.15.
1777 미국 ‘트럼프의 코리안 빅 매치’ file 뉴스로_USA 19.02.17.
1776 미국 기아차 텔룰라이드 2020년형 양산 돌입 file 뉴스앤포스트 19.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