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및 보험 혜택 부족도 사망 기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망자의 공통분모는 고령과 만성질환으로 나타났다.

<올랜도센티널>은 지난 17일 센트럴 플로리다에서 3월 중순부터 약 한달 간 43명의 사망자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대부분은 65세 이상이었고, 84%가 심장병을 앓고 있는 등 거의 모든 사망자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사망자 중 히스패닉 남성(71세) 한 사람만이 이렇다할 질환이 없는 상태였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사망자 약 30%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을 앓고 있었고, 40%는 당뇨병을 지니고 있었다.

사망자 중 가장 젊은 사람은 COPD, 심장병, 말기 신장 질환을 가진 46세의 흑인 여성이었다. 반면 가장 고령자는 COPD를 가진 92세의 백인이었다.

사망 43건 중 2건에서만 비만이 지적됐다. 특히 젊은 성인들 사이에서 비만은 코로나19와 연관해 심각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마이애미 선센티넬>도 마이애미-데이드와 브라워드 카운티에서 사망한 사람의 6%만이 만성 질환을 갖고 있지 않다고 지난 10일 전했다.

올랜도와 마이애미 등 플로리다주 인구 밀집 지역에서 관찰되는 추세는 미국이나 세계의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심장협회(AHA)의 에두아르도 산체스 박사는 중국과 유럽에서 나온 사실을 토대로 코로나19에 걸린 환자 중 70세 이상 고령층이 합병증 위험과 사망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며, 환자의 건강 상태도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산체스는 심장병이나 당뇨병 환자가 왜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높은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독감시즌에 나타나는 위험 유형과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독감 시즌에는 심장병, 당뇨병, 호흡기 질환, 암 등 기저 질환자들은 합병증 위험이 높아 백신 접종이 강력히 권고된다.

흑인-히스패닉 사망률 높아

한편 센트럴플로리다 지역의 43명 사망자중 인종별 분포는 흑인 20%, 히스패닉 30%이며, 나머지는 백인이다. 특히 흑인은 전국적으로 인구율에 비해 사망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최근 논란이 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흑인이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고, 의료 및 보험혜택이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보고 있다. 산체스는 빈곤할수록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며 특히 메디케이드를 확대하지 않은 플로리다와 같은 주에서는 저소득층이 정기적으로 의사를 만나기 어렵고 처방약을 살 돈이 없다고 지적했다.

산체스는 코로나19가 가라앉고 나서 이같은 불균형 상태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경각심과 함께 노력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5 미국 올랜도 지역 인구 증가, 남쪽과 서쪽에서 확연 코리아위클리.. 18.07.19.
1954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8월3일 시작 코리아위클리.. 18.07.26.
1953 미국 I-4 공사 구간서 자동차 사고 속출, 손해배상은 ‘미미’ 코리아위클리.. 18.07.26.
1952 미국 플로리다 북동부 해안서 상어공격에 2명 부상 코리아위클리.. 18.07.26.
1951 미국 트럼프 친북정책에 길 잃은 한국 보수 ‘우왕좌왕’ 코리아위클리.. 18.07.30.
1950 미국 여름철 생굴 조심! 사라소타 남성 생굴 먹고 사망 코리아위클리.. 18.08.02.
1949 미국 통근 열차 선레일, 오시올라 카운티까지 뻗었다 코리아위클리.. 18.08.02.
1948 미국 치열한 주지사 경선…민주 그웬 그래함, 공화 론 드산티스로 압축 코리아위클리.. 18.08.02.
1947 미국 “조국으로 귀환한 미국의 전몰장병들” 뉴스로_USA 18.08.05.
1946 미국 美폭스TV “북한과 평화조약 체결” 제안 뉴스로_USA 18.08.08.
1945 미국 땅콩 알레르기 있는 소녀, 쿠키 먹고 사망 코리아위클리.. 18.08.08.
1944 미국 왕따 피해 학생도 바우처 받는다 코리아위클리.. 18.08.08.
1943 미국 미 국가이익센터 고위 임원,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해야" 코리아위클리.. 18.08.08.
1942 미국 촘스키 교수 등 미 저명인사들, 트럼프에 싱가포르 성명 이행 촉구 file 코리아위클리.. 18.08.10.
1941 미국 "북 여종업원 기획탈북, 총선에 이용하고 폐기했다" 코리아위클리.. 18.08.11.
1940 미국 감시 카메라는 경고용? 돈벌기?...끊이지 않는 논란 코리아위클리.. 18.08.16.
1939 미국 신규 허리케인 예보, 5월보다 횟수 적어졌다 코리아위클리.. 18.08.16.
1938 미국 맥도널드 빅맥 출시 50주년… ‘빅 버거’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코리아위클리.. 18.08.16.
1937 미국 애플 주가 총액 1조 달러 갱신 프랑스존 18.08.17.
1936 미국 중국인들, 명품 피아노 스타인웨이Steinway에도 눈독 프랑스존 18.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