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시간 시차, 각자 도시락 준비, 고학년 학생들은 마스크 써야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연방질병예방센터(CDC)가 각급 학교들이 다시 문을 여는데 적용할 기준을 새롭게 내놨다. CDC는 지난 19일 갱신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번 조치가 등교 재개 시 학생과 교사, 교직원 등 관련자를 보호하고, 코비드19 확산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CDC의 등교 재개 지침을 들여다보면, 우선 '사회적 거리두기' 원칙을 학교 내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도록 했다. 책상은 6ft(약 1m80cm)씩 간격을 두고, 마주 보지 않도록 같은 방향으로 배치한다. 등교 시간에도 시차를 두었다. 아울러 점심 급식도 제한하도록 했는데, 학생들이 교내 식당에 모이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각자 도시락을 싸와 교실에서 먹도록 했다. 급식을 해야 할 부득이한 경우에는 식당에서 배식하지 않고 미리 포장한 음식을 나눠줘 교실에 가져가 먹으라고 권고했다.

그 밖에 바이러스 전파 차단 수단들도 권고했다. 학교를 출입하는 모든 인원에 체온 검사를 하도록 했고, 기침할 땐 팔 안쪽으로 입을 감싸서 비말 분포를 막으라고 권고했다. 또한 비누를 사용해 자주 손을 씻고, 한번 씻을 때 20초 이상 쓰라고 했다. 교직원들은 마스크나 얼굴 가리개를 쓰도록 했다.

학생들에게는 고학년 학생들에게만 마스크를 쓰도록 권고했다. 학생들은 온종일 마스크를 쓰는 게 어려운 일일 수 있다고 CDC 측은 밝혔다. 특히 보육시설에 들어가는 2세 미만에게는 마스크를 씌우지 말라고 했다.

학교에서 코로나 의심 환자가 나올 경우 즉시 격리 공간으로 옮기도록 했다. 의심 환자가 사용했던 공간은 출입을 막은 뒤 소독하도록 명시했는데, 이럴 경우 해당 건물을 24시간 동안 폐쇄해야 한다. 따라서 최소 이틀간 휴교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런 일이 생기기 전에 아픈 학생이나 교직원들은 집에서 쉬도록 했다.

이런 CDC 지침을 바탕으로 조만간 학교들이 문을 여는 것은 아니다. 학교를 다시 여는 권한은 CDC나 연방 정부가 아니라 각 주정부 등 지역 당국에 있다. CDC 측은 이번에 갱신한 지침이 각 주 정부와 지역 당국의 정책 결정을 위한 보완(supplement) 목적이라고 명시했다. 따라서 주 정부나 지역 당국의 조치를 대체하는 건 아니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을학기에 문을 열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콜로라도와 노스다코타 주지사를 접견한 자리에서 "학교가 닫혀있는 상태로는 우리나라가 다시 돌아올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주장은 코로나 사태 이후 경제ㆍ사회활동을 정상화하는 데 학교가 중요하다는 것으로, 최근 주지사들을 순차적으로 만나 봉쇄 해제 등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5 미국 美피자배달원, 군부대 배달갔다 체포 file 뉴스로_USA 18.06.08.
1994 미국 야구공 우박의 습격…“신이 바위를 던지는 것 같았다” KoreaTimesTexas 18.06.09.
1993 미국 시니어 할인, 쓰면서 돈 버는 재미 KoreaTimesTexas 18.06.09.
1992 미국 20만불로 집사면? “클리블랜드는 저택, 맨하탄은 쪽방” KoreaTimesTexas 18.06.09.
1991 미국 ‘북미평화회담 성공’ 155개 해외동포, 외국인단체 성명 file 뉴스로_USA 18.06.10.
1990 미국 "강한 군대 가진 한국에 왜 미군이 주둔해야 하나" 코리아위클리.. 18.06.14.
1989 미국 ‘70년 주둔 주한미군 철수 찬반론’ 뉴스로_USA 18.06.14.
1988 미국 연일 내리는 비에 '독사굴'도 물난리 코리아위클리.. 18.06.15.
1987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수퍼 스칼라 프로그램 운영 코리아위클리.. 18.06.15.
1986 미국 플로리다 장기 기증 서약자 1천만명 넘어 코리아위클리.. 18.06.15.
1985 미국 2026월드컵 북중미3개국 연합개최 file 뉴스로_USA 18.06.15.
1984 미국 한국 자살률, 선진국 중 가장 높아… 미국의 두 배 코리아위클리.. 18.06.18.
1983 미국 美이민자 영주권 인터뷰 갔다 추방 위기 뉴스로_USA 18.06.21.
1982 미국 트럼프 ‘한미군사훈련중단’ 한일압박 뉴스로_USA 18.06.21.
1981 미국 미주한인단체들, 미 의원들에 '북미정상회담 지지' 호소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1.
1980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기프티드 온리’ 영재학교 문 연다 코리아위클리.. 18.06.21.
1979 미국 플로리다 지방정부들 세수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18.06.21.
1978 미국 마이애미지역 여성, 산책 중 악어에 참변 코리아위클리.. 18.06.21.
1977 미국 ‘마크롱보다 김정은 좋아’ 백악관 사진교체 file 뉴스로_USA 18.06.22.
1976 미국 "싱가포르 회담은 모두를 승자로 만들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