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구글, 트위터, 마이크로소프트, 타겟, 나이키 등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흑인에 대한 경찰의 처우를 항의하는 시위가 미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상당수 대기업들이 지지 입장을 보이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술, 은행, 의류, 영화 산업 등 미국 산업 각 분야에서 시위대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과거 대규모 시위가 확산할 때 기업들이 침묵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시위대를 지지하는 이유는 사건 당시 경관 쇼빈이 조지 플로이드의 목을 누르는 모습을 담은 영상의 ‘참혹함’이 이들 업체가 입을 열게끔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UC버클리 경영대학원 켈리 매켈해니 교수는 기업들 역시 사람들에 의해 운영되고, 직원과 간부, 또 고객 중에 흑인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지지 입장을 밝히는 데 위험이 따르더라도 이로 인한 이득이 더 크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지 의사를 밝힌 기업들을 보면, 우선 넷플릭스(Netflix)는 트위터에 "침묵하는 것은 곧 동조하는 것이다" 라고 밝혔다. 영화 등 각종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기업인 넷플릭스는 이어 "우리는 흑인 회원들과 직원들, 창작자와 인재들을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업체들도 유사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 검색사이트인 구글은 메인 검색 화면에 "우리는 인종 간 평등을 추구하는 모든 이들을 지지한다"라는 글을 올렸다. 트위터는 자체 회사 계정에 #블랙라이브즈매터(BlackLivesMatter), 즉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는 문구를 올렸다. 또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는 "우리 회사와 지역 사회, 더 나아가 이 사회를 바꾸는 일에 동참해 달라"고 직원들에게 호소했다.

시위가 폭력 시위로 변모하면서 피해를 본 업체 조차도 시위를 지지하고 있다.

미니애폴리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대형 소매업체 타켓(Target)은 시위대로부터 일부 상점이 약탈 또는 훼손을 당했다. 그러나 CEO는 이번 사건에 대해 "수년간 억눌려있던 고통을 촉발시켰다"고 평가하며 역시 시위대를 지지했다.

과거에도 이번과 같은 입장을 보인 기업이 있었다.

유명 스포츠용품 업체인 나이키는 지난 2018년 전 미식축구 선수인 콜린 캐퍼닉 선수를 광고로 기용했는데, 캐퍼닉 선수는 인종차별에 맞서 '무릎 꿇기' 시위를 주도한 인물이라 논란이 됐다. 당시 광고에 열광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일부는 나이키 제품을 불태우거나 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했는으나 매출에는 큰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키는 이번 시위에 대해 자사의 대표적인 광고 문구인 'Just Do It'을 변형해 'Don’t Do It'는 내용의 짤막한 동영상을 트위터에 올리고, "인종 차별에 등을 돌리지 말라, 무고한 생명을 앗아가는 걸 용납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나이키의 경쟁사인 아디다스도 관련 영상을 리트윗하며 시위대를 지지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업들의 이같은 시위 지지가 고객을 겨냥한 장삿속이라는 비판과 함께 오히려 고객을 잃을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5 미국 美피자배달원, 군부대 배달갔다 체포 file 뉴스로_USA 18.06.08.
1994 미국 야구공 우박의 습격…“신이 바위를 던지는 것 같았다” KoreaTimesTexas 18.06.09.
1993 미국 시니어 할인, 쓰면서 돈 버는 재미 KoreaTimesTexas 18.06.09.
1992 미국 20만불로 집사면? “클리블랜드는 저택, 맨하탄은 쪽방” KoreaTimesTexas 18.06.09.
1991 미국 ‘북미평화회담 성공’ 155개 해외동포, 외국인단체 성명 file 뉴스로_USA 18.06.10.
1990 미국 "강한 군대 가진 한국에 왜 미군이 주둔해야 하나" 코리아위클리.. 18.06.14.
1989 미국 ‘70년 주둔 주한미군 철수 찬반론’ 뉴스로_USA 18.06.14.
1988 미국 연일 내리는 비에 '독사굴'도 물난리 코리아위클리.. 18.06.15.
1987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수퍼 스칼라 프로그램 운영 코리아위클리.. 18.06.15.
1986 미국 플로리다 장기 기증 서약자 1천만명 넘어 코리아위클리.. 18.06.15.
1985 미국 2026월드컵 북중미3개국 연합개최 file 뉴스로_USA 18.06.15.
1984 미국 한국 자살률, 선진국 중 가장 높아… 미국의 두 배 코리아위클리.. 18.06.18.
1983 미국 美이민자 영주권 인터뷰 갔다 추방 위기 뉴스로_USA 18.06.21.
1982 미국 트럼프 ‘한미군사훈련중단’ 한일압박 뉴스로_USA 18.06.21.
1981 미국 미주한인단체들, 미 의원들에 '북미정상회담 지지' 호소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1.
1980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기프티드 온리’ 영재학교 문 연다 코리아위클리.. 18.06.21.
1979 미국 플로리다 지방정부들 세수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18.06.21.
1978 미국 마이애미지역 여성, 산책 중 악어에 참변 코리아위클리.. 18.06.21.
1977 미국 ‘마크롱보다 김정은 좋아’ 백악관 사진교체 file 뉴스로_USA 18.06.22.
1976 미국 "싱가포르 회담은 모두를 승자로 만들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