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 의회, 만장일치로 찰스 브라운 공군참모총장 승인
 
brown.jpg
▲ <디펜스뉴스> 매체가 미 역사상 처음으로 참모총장에 오른 찰스 브라운을 소개하고 있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 연방 상원이 지난 9일 본회의에서 찰스 브라운(57) 공군 참모총장 지명자에 대한 인준안을 98대 0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흑인이 미군 병과의 참모총장에 오른 건 미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경찰의 강압 진압으로 목숨을 잃은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을 계기로 인종 차별과 사회 정의를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열리고 있는 가운데 흑인 장성이 공군참모총장 인준을 받은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상원 표결이 있던 9일은 플로이드의 장례식이 고향 휴스턴에서 치러진 날이기도 했다.

브라운 장군은 지난 5일 공군 영상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공군참모총장 지명을 받은 것이 어떤 희망을 줄지 생각하고 있지만 "무거운 짐도 수반되는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신은 수 세기에 걸친 미국의 인종주의와 공군 장병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인종차별도 고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어려운 현상황을 헤쳐나가고 개선할 수 있는 지혜와 지식을 바라고 있다며, 이를 통해 공군이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복무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브라운은 지난 3월 초 공군 참모총장 후보로 지명되었다. 브라운 신임 공군 참모총장은 이달 말 퇴임하는 데이비드 골드파인 공군 참모총장의 자리를 물려받게 된다.

브라운 장군은 텍사스공과대학의 ROTC, 즉 학군단 출신으로 1984년 대학 졸업과 동시에 임관하여 35년 이상 군에 몸담았다. F-16 전투기 조종사로 총 3천 시간에 가까운 비행 시간과 130시간의 전투 시간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1987년과 2007년, 두 차례 한국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미 중부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2018년 7월부터 태평양 공군 사령관으로 복무하면서 미국과 인도-태평양지역에서의 공군 활동을 이끌었다.

짐 인호프 상원 군사위원장은 브라운 장군이 “용감하고 단결을 가져올, 영감을 주는 지도자”라고 평가했다. 또 마이크 멀린 전 미국 합참의장은 브라운 장군의 인준은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큰 발걸음"이라고 평가한 한편 미군 지도부에 흑인 인사가 줄어드는 데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브라운 장군 외에 군 최고위급에 오른 흑인은 1989년 합참의장에 오른 콜린 파월 전 국무부 장관이 유일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트위터에 "미국의 역대 최초 아프리카계 군 총장으로 찰스 브라운 장군을 임명하기로 한 나의 결정이 상원에서 승인받았다"며 "미국에 있어 역사적인 날!"이라고 적었다. 이어 "애국자이자 훌륭한 지도자인 브라운 장군과 더욱 긴밀하게 일하게 되어 흥분된다"고 덧붙였다.
  • |
  1. brown.jpg (File Size:35.1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5 미국 '노예제도 옹호' 상징 로버트 리 장군 동상 철거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4 미국 미 주요 정치인들도 시위... 경찰 해체 및 예산 삭감 주장도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3 미국 디즈니월드 7월 11일 개장... 예약 시스탬 변화로 수용 인원 조절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2 미국 세미놀 학부모 80%이상, 새 학년 기존 캠퍼스 수업 원해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1 미국 [속보] 플로리다 신규환자 9585명... 전체 환자 13만명 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6.28.
1250 미국 조지 플로이드 동생 "고통 느끼는 것 자체에 지쳤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 미국 미군 역사상 최초 흑인 참모총장 탄생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8 미국 므누신 재무장관 "미국 경제 봉쇄 다시 없을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7 미국 미 연방대법원, 성 소수자 직장 차별 금지 판결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6 미국 이번엔 애틀랜타에서 흑인 총격 사망… 다시 시위 격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환자 폭발적 증가, 2차 셧다운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4 미국 주정부 대학 장학금 신청 마감, 한 달 늘어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3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사망자 상당수, 기저 질환 보유자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2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사망자 83%가 65세 이상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1241 미국 목 누루기 금지하지 않는 주에 연방 지원금 보류 코리아위클리.. 20.07.05.
1240 미국 "이걸 어쩌나"… 트럼프 대선 유세장 빈자리 '숭숭' 코리아위클리.. 20.07.05.
1239 미국 볼튼 전 보좌관, 논란 속 백악관 경험 회고록 출간 코리아위클리.. 20.07.05.
1238 미국 EIDL 긴급재난융자 신청 재개... 신청 절차 간단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5.
1237 미국 올해 미국 대선, 젋은층 영향력 대폭 커질 듯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5.
1236 미국 다카(DACA) 살아났다… 서류미비자 청소년들에 희소식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