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내 신종코로나 확산 심각... '임시집행유예' 프로그램 도입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신종 코로나가 수 개월간 지속되면서 미국 사회에 곳곳에 그 여파가 속속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미 전역의 감옥에서 재소자들이 줄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형사 문제 전문 비영리단체인 마셜 프로젝트(Marshall Project)와 < AP 통신 >이 최근 공동으로 내놓은 팬데믹 기간 교도소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3월부터 6월 사이 연방과 주교도소에 수감된 재소자 가운데 10만명 이상이 석방된 것으로 집계됐다. 비율로 따지면 8%정도가 줄어든 것으로, 12명 중 한명이석방된 셈이다. 지난 3개월간 수치를 2019년 전체와 비교했을 때는 2.2%가 줄었다.

수감자가 줄어든 우선적 이유는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교도소에서 기저 질환이 있는 수감자들을 내보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교도소가 신규 수감자를 받지 않는 게 더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또한 법정이 문을 닫으면서 형을 받는 사람이 줄었고, 경범죄의 경우 가석방이 더 늘어난 것도 또다른 요인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별로는 수감자 변동에 큰 차이가 있었다. 가령, 버지니아주는 해당기간에 250명이 석방되면서 전체 수감자의 2%가 줄었으나 로드아일랜드주는 32%나줄었다.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최근 개빈 뉴섬 주지사가 8월말까지 8천명의 재소자를 내보내라고 명령했는데, 3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사이 이미 7천 명 넘게 재소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가 재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교도소 내 상황도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이후 미국 교도소 시설에서 5만7천 명 이상의 수감자가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 이 가운데 3만4천명 가량은 회복됐고 약 650명이사망한 것으 로 나타났다. 교도관들도 1만2천여 명이 감염돼 46명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미국에서 형사법 개혁? 논의가 일고 있는 가운데 수감자를 줄이는 방안이 논의 되고 있다. 민권운동가들은 많은 사람이 조기 석방될 수 있는 조건이 되지만, 실제로 그렇게 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지적하고 있다. 가령, 지난 4월 펜실베이니아주는 '임시 집행유예프로그램'을 도입해서 재소자들을 집으로 보내 코로나 사태가 끝나면 다시 교도소로 돌아오도록 했다. 주지사실은 1500명 이상이 임시석방 대상이 될 것으로 예측했고, 주 교도소측에서 1200명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절차가 너무 느려서 현재까지 실제 풀려난 사람은 160명이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나이가 많은 수감자들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에 가장 취약하고 재범의 위험성도 가장 낮음에도 불구하고 교도소에서 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55 미국 엣취! 중앙 플로리다 꽃가루 시즌 개막 코리아위클리.. 18.03.31.
2054 미국 플로리다, ‘섬머타임제 폐지’ 동참 나섰다 코리아위클리.. 18.03.31.
2053 미국 결혼 23년 부부, 신장 주고 받아 코리아위클리.. 18.03.31.
2052 미국 은퇴 천국 ‘더 빌리지스’, 규모 더 늘어난다 코리아위클리.. 18.03.31.
2051 미국 美아시안학자들 SF 위안부기림비 방문 file 뉴스로_USA 18.04.01.
2050 미국 ‘두려움 없는 미래 유권자’ 총기 규제 집회로 말한다 뉴스코리아 18.04.01.
2049 미국 ‘우리의 생명을 위한 행진’ 달라스 총기규제 시위 “뜨거웠다” 뉴스코리아 18.04.01.
2048 미국 밋 롬니 상원의원 선거 출마 선언 file News1004 18.04.04.
2047 미국 ‘쥐를 쓰다듬는 트럼프’ 충격 file 뉴스로_USA 18.04.04.
2046 미국 하와이 북미평화협상 결의안 트럼프에 발송 file 뉴스로_USA 18.04.05.
2045 미국 세금보고 마감 앞두고 사칭전화 요주의! 코리아위클리.. 18.04.09.
2044 미국 허리케인 어마도 플로리다 관광객 증가 못 막아 코리아위클리.. 18.04.09.
2043 미국 멕시코만~대서양 잇는 잇는 자전거 도로 완성단계 코리아위클리.. 18.04.09.
2042 미국 올랜도 펄스클럽 총기테러범 아내 무죄평결 코리아위클리.. 18.04.09.
2041 미국 트럼프타워 화재 사망자 앤디워홀 친구 file 뉴스로_USA 18.04.09.
2040 미국 美퀘이커교단 ‘한반도평화행진’ 한다 file 뉴스로_USA 18.04.15.
2039 미국 일부 로메인 상추와 계란, 병균 오염 위험 코리아위클리.. 18.04.21.
2038 미국 플로리다 근로자 임금 비율, 남1달러 vs 여87센트 코리아위클리.. 18.04.21.
2037 미국 릭 스캇 주지사, 연방상원의원에 출사표 코리아위클리.. 18.04.21.
2036 미국 올해 오바마케어 가입자 1180만명 코리아위클리.. 18.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