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29%, 레이크 42%, 세미놀 44%... 볼루시아 카운티만 51%
 
backto.jpg
▲ 센트럴 플로리다 지역 공립학교들이 개학을 앞둔 가운데 교실에서 교사와 대면 수업을 원하는 학부모의 비율이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개학을 앞두고 지역 마켓 학용품 코너에 붙은 백투스쿨 사인.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센트럴 플로리다 지역 공립학교들이 개학을 앞둔 가운데 교실에서 교사와 대면 수업을 원하는 학부모의 비율이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센트럴 플로리다 지역에서 가장 큰 교육구인 오렌지 카운티의 경우 학부모 여론조사에서 2020-21학년도 가을학기에 대면 수업을 원하는 비율은 약 29%이다. 전체 학부모 중 여론조사 무응답자는 30%이다. 오렌지 카운티는 이달 10일 온라인 수업으로 우선 개교를 한 뒤, 대면수업을 위한 캠퍼스 등교는 21일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오렌지 카운티 외에 다른 카운티 대면 수업 선호도는 다소 높은 편이다. 가장 높은 지역은 볼루시아 카운티로, 대면수업을 원한다는 비율이 51%이다. 이어 오시올라(46%), 세미놀(44%), 레이크(42%) 순으로 높다.

학부모 여론조사 기간은 공식적으로 마감됐지만, 학교측에서는 자녀의 교육 방식을 아직 채택하지 않은 학부모들의 의견을 모으고 있어 개학 전까지 선호도 결과가 달라질 전망이다.

일부 학부모들은 온라인 교육과 대면 수업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렌지 카운티 올림피아 고등학교 지리 교사이자 2학년 자녀를 두고 있는 존 푸케인은 자신과 아내가 자택근무를 하면서 딸 교육까지 신경쓰는 일이 매우 어려웠지만, 다시 학교에 보내는 것 또한 쉽지 않은 결정이라고 <올랜도센티널> 31일자에 전했다.

푸케인 부부는 자녀가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것보다는 학교로 돌아가 교사와 직접 대면하며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으로 대면 수업을 택했다. 푸케인은 이같을 결정을 하기까지 큰 고민이 따랐고, 불안감을 여전히 지우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렌지 카운티 중학교에서 카운셀러로 일했던 제시카 포포브는 1학년짜리 아들을 홈스쿨링에 둘 예정이다. 포포브는 페이스북을 통해 만난 6천여명의 학부모들과 그동안 의견을 교환했고, 이들과 함께 '학습 팟'을 만들었다. 이들 그룹은 온라인 수업 및 자녀 소셜 활동을 하기로 결정하고, 교사까지 고용했다.

드샌티스 주지사, '대면 교육이 대부분 학생들에게 최선'

한편 론 드샌티스 주지사와 리처드 코코란 주 교육청장은 공립학교가 8월에 개교해 대면 수업을 실시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주지사는 대면 교육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최선이며, 캠퍼스도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다고 강조해 왔다. 특히 주지사는 부모가 직장에 다니는 가정은 개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학교가 정상 개학해야 학부모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드샌티스는 지난 11일 클리어워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플로리다 공립학교 학생의 60% 이상이 저소득층 가정에 살고 있다"며 "그들은 '학습 팟'이나 다른 창의적인 가정 교육에 동참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주지사는 "일부 아동들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무상급식이 필요하고, 40만 명의 장애학생들은 온라인상에서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코크란 교육청장은 공립학교 학생 60%에서 90%까지는 8월 말까지 캠퍼스에 복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센트럴 플로리다의 학부모 여론 조사는 교육청장의 예상치에 밑돌고, 코로나19 확산이 큰 사우스 플로리다의 3개 대형 학군은 8월내 대면수업을 전혀 계획하지 않고 있다.

카운티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교육구는 학부모들에게 캠퍼스 내 일정에 따른 온라인 수업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LaunchED@Home'이라 불리는 온라인 수업은 교실 내 수업을 실시간으로 집에서 받는 것이다. 이외 학생의 스케줄에 맞춰 교육을 받는 버추얼 스쿨(virtual school) 옵션도 있다.

오렌지 카운티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택한 학부모들이 많은 반면, 레이크 카운티는 26대 24로 두가지 옵션의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왔다. 세미놀카운티의 경우 실시간 온라인 수업(30%), 버추얼스쿨(16%), 그리고 두가지 혼합 옵션(10%) 순으로 나타났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95 미국 뉴욕등 동북부 눈폭풍 항공대란 file 뉴스로_USA 18.03.09.
2094 미국 맥도날드 로고 뒤집어졌네 file 뉴스로_USA 18.03.09.
2093 미국 미국 서머타임제, 올해로 100주년 KoreaTimesTexas 18.03.09.
2092 미국 포트워스에서 가장 위험한 교차로는 어디? KoreaTimesTexas 18.03.10.
2091 미국 올랜도 지역 맥도날드, 냉동하지 않은 패티 버거 판매 코리아위클리.. 18.03.11.
2090 미국 올랜도 윈터가든과 오비도 지역 주택붐 ‘활활’ 코리아위클리.. 18.03.11.
2089 미국 데이토나 비치 '바이크 위크', 자동차 운전 요주의! 코리아위클리.. 18.03.11.
2088 미국 탬파 군사기지가 러시아 신형 미사일 공격 목표? 코리아위클리.. 18.03.11.
2087 미국 한국여권 파워 “미국보다 위” KoreaTimesTexas 18.03.12.
2086 미국 “남북미 새역사 이루자” 美평화단체운동가들 file 뉴스로_USA 18.03.12.
2085 미국 뉴욕 열흘사이 3차례 눈폭풍 file 뉴스로_USA 18.03.13.
2084 미국 집 앞에 배달된 소포 여니 ‘꽝’ … 열흘 사이 3건 KoreaTimesTexas 18.03.14.
2083 미국 노엄 촘스키 "트럼프 집권 이후 미국 더 약해지고 분열돼" 코리아위클리.. 18.03.16.
2082 미국 키시미 '네오시티'에 주정부 예산 투입 코리아위클리.. 18.03.16.
2081 미국 플로리다 공립학교 건물에 ‘인 갓 위 트러스트’ 올려라 코리아위클리.. 18.03.16.
2080 미국 플로리다 주의회, 차기 예산 887억달러 통과 코리아위클리.. 18.03.16.
2079 미국 릭 스캇 플로리다 주지사, 획기적 총기 규제법 서명 코리아위클리.. 18.03.16.
2078 미국 시몬천 박사 "북핵문제, 강대국 입장 아닌 한국 입장에서 접근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03.18.
2077 미국 “미국은 북한과 경제동맹 맺어야” file 뉴스앤포스트 18.03.19.
2076 미국 뉴욕 보행중 문자메시지 처벌될까 뉴스로_USA 18.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