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델라웨어 자택에서... 트럼프 백악관 수락 연설은 '위법'
 
redem.jpg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민주당 전당대회지로 가지 않고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에서 민주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을 하기로 했다.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을 연설 장소로 정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히면서 신종 코로나 정국의 신풍속도가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직 대통령이 정당 행사에 백악관을 활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공식 지명될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은 이달 17일부터 나흘 동안 전당대회가 예정된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가지 않기로 했다. 대신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에서 후보 수락 연설을 할 것이라고 전당대회 준비위원회 측이 지난 5일 발표했다. 다른 주요 관계자들도 현장에 갈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다.

전당대회의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대통령 후보 지명 예정자가 현장에 가지 않는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때문이다. 후보 지명 예정자와 수행원, 그리고 당 관계자들의 여행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민주당은 전당대회 전체를 대의원 소집 없이 치르는, 가상(virtual) 행사 방침을 일찌감치 정했다. 바이든 전 부통령과 당 주요 지도부만 밀워키에 가는 것으로 당초 정했는데, 그마저 계획을 접은 것이다.

민주당이 계획한 가상 행사는 온라인을 활용한 생중계와 전산 집계 등으로 일정이 진행된다. 대의원들은 각자 출신 지역에 머물면서 호명 투표 등에 참가하고, 바이든 전 부통령이 델라웨어에서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하는 장면은 전국에 생중계 된다. 동시에 미국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 소규모 연계 행사(anchor events)를 열어 전당대회 열기를 살린다는 계획이다.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될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백악관에서 수락 연설을 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대통령이 한 번 움직이려면 경호 인력 이동을 비롯해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백악관이 가장 "쉽고 아름다운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구상이 적절치 않다는 논란이 내부에서부터 일고 있다. 백악관을 정당 행사에 활용할 수 없다는 지적 때문이다. 공화당 소속 존 툰 상원의원은 "그런 구상이 과연 합법적이기는 하냐"면서 "연방 시설에서 어떤 (정당) 활동을 하더라도 문제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론 존슨 상원의원도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에서 정당 활동을 하는 것은 '해치법(Hatch Act)'에 대한 위배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해치법은 공무원이 근무 시간에 정부 재산을 정치적 활동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규로, 야당에서도 비판이 일고 있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을 강행할 경우 또 한 번 "백악관의 격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지난 5일 MSNBC 인터뷰에서 주장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련 법규 적용 대상에 대통령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설명하면서 백악관 수락연설을 합법이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로이터 통신은 연설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정부 관계자들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고, AP통신은 백악관 연설 계획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공화당은 민주당 전당대회 이후 24일부터 나흘 동안 전당대회를 치를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연설 생중계 등을 포함한 '가상' 행사가 될 것이라고 5일 폭스뉴스에 밝혔다. 후보 수락 연설을 하는 날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취재진을 초청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수락 연설 일정을 비공개로 한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이를 부인한 것이다.

한편, 민주당의 바이든 전 부통령과 공화당의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판세를 보면, 바이든 전 부통령이 지난 6월 말 이후 각종 여론조사 지지율에서 계속 앞서고 있다. 후원금도 바이든 전 부통령 쪽으로 몰렸으나 최근 변화가 나타났다. 지난 7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전국위원회(RNC) 모금액이 1억6500만 달러에 이른 반면, 바이든 전 부통령과 민주당전국위원회(DNC) 모금액은 1억4천만 달러에 머물렀다.
  • |
  1. redem.jpg (File Size:41.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15 미국 뉴욕서 컬럼버스데이 ‘원주민의 날’로 개명 file 뉴스로_USA 18.02.25.
2114 미국 美타코벨 한인고객 인종차별 조홍 file 뉴스로_USA 18.02.26.
2113 미국 벼랑끝 몰린 뉴욕의 택시기사들 file 뉴스로_USA 18.02.26.
2112 미국 아동건강보험 CHIP 이용했어도 ‘영주권 거절’ KoreaTimesTexas 18.02.26.
2111 미국 알아두면 쓸데 많은 세금보고 상식 KoreaTimesTexas 18.02.26.
2110 미국 전임 달라스 시장 “총기협회, 달라스 오지마라” KoreaTimesTexas 18.02.26.
2109 미국 페덱스 “美총기협회 회원들에 할인혜택 지속” 뉴스로_USA 18.03.01.
2108 미국 빌리 그레이엄목사 美전역 추모 열기 file 뉴스로_USA 18.03.01.
2107 미국 유엔, 24시간 성희롱신고 핫라인 운영 file 뉴스로_USA 18.03.02.
2106 미국 뉴욕서 ‘트럼프-김정은’ 반핵안내문 file 뉴스로_USA 18.03.02.
2105 미국 플로리다 비치, 미국 ‘베스트 비치’ 1,2위 차지 코리아위클리.. 18.03.02.
2104 미국 플로리다 고교, AP 통과율 전국 4위 코리아위클리.. 18.03.02.
2103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와 주의회, 총기 규제안 내놨다 코리아위클리.. 18.03.02.
2102 미국 美 겨울폭풍 노리스터 상륙 file 뉴스로_USA 18.03.03.
2101 미국 ’김영란법’도 울고갈 미국법 뉴스로_USA 18.03.04.
2100 미국 빌리 그레이엄목사 영면 file 뉴스로_USA 18.03.04.
2099 미국 ‘美 전쟁원하나?’ 트럼프에 서한 뉴스로_USA 18.03.05.
2098 미국 하와이, 북미대화 촉구결의안 file 뉴스로_USA 18.03.05.
2097 미국 티벳설날 ‘로사르’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18.03.06.
2096 미국 한국계뮤지컬배우 모녀 뉴욕 교통사고 비극 file 뉴스로_USA 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