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중범 전과자 100만명 대선 투표 못할 판
 
vote.jpg
▲ 플로리다주에서 벌금 등을 미납한 중범죄 전과자의 투표권을 제한한 주법이 논란이 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대선때 플로리다주 중부 세미놀 카운티 투표소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주에서 벌금 등을 미납한 중범죄 전과자의 투표권을 제한한 주법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의 투표권이 11월 대선 판세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플로리다는 공화당과 민주당의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6개 경합주 중 하나로, 경합주 중에서도 가장 많은 대통령 선거인단(29명)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100만명 안팎에 달하는 전과자들의 투표권 회복은 선거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일 수 밖에 없다.

2018년 선거에서 살인이나 성범죄를 제외한 중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전과자들이 형기를 마친 후 투표권을 재취득할 수 있도록 주민발의안(수정헌법) 4조가 통과됐다. 미국에서는 징역 1년 이상의 형을 받으면 중범죄로 분류된다.

그러나 2019년 3월, 공화당이 주도하는 주의회는 중범죄 전과자들이 유권자 등록을 위해 모든 법정 수수료, 벌금, 배상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수정헌법 4조를 제한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같은 조치는 경제적 능력이 낮은 이들의 투표권을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 공화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의 지지를 받는 민주당은 법이 유권자를 탄압한다며 반발했다.

급기야 미국시민자유연합(ACLU) 등 인권 단체들은 법이 헌법에 위배된다며 저지 소송을 냈고, 2020년 5월 플로리다 연방 판사는 주법이 부분적으로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판사는 당시 판결문에서 "주법은 (생활이 곤란해) 벌금 등을 납부할 수 없는 자를 차별한다"고 선언했다.

 

그러자 공화당 소속인 론 드샌티스 주지사를 주축으로 한 주정부는 제11 연방 순회 항소법원에 항소했고, 법원은 본안 선고에 앞서 일단 1심 판결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원고측은 대법원에 2심 결정을 무효로 해 달라고 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난달 16일 연방 대법원은 하급심(2심) 결정을 수용, 법원이 투표권 행사를 가로막는 가처분 형식의 명령을 내린 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소니아 소토마요르, 루스 베이더 긴스버그, 엘레나 케이건 등 진보 성향 대법관 3명은 서면으로 반대의견을 제시하며, "(상급 법원 명령은) 자격이 있는 수천 명의 유권자들이 가난하다는 이유만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고 썼다.

이같은 우여곡절 끝에 애틀랜타에 있는 제11 미국 순회 항소법원은 예비선거가 있는 8월 18일 당일에야 주정부가 제기한 항소 심리에 들어갈 태세이다.

허다한 법적 논쟁은 투표권을 재취득하려는 이들에게 극복할 수 없는 장벽들을 만들어 왔다. 지난 1년간 이들을 도우려는 소수의 전문가들은 물론 변호사들조차도 엄청난 혼란을 겪었다고 지적한다.

플로리다주 권리회복연합체(The Florida Rights Restoration Coalition)는 중범죄 전과자들의 빚 청산을 돕기 위해 200만 달러 이상의 기부금을 모금해 왔다. 또 마이클 조던, 르브론 제임스, 존 레전드 등 유명 운동 선수들도 100만 달러를 추가로 모금했다.

주 전역의 수십 명의 변호사들도 전과자들이 미결된 재정적 의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들이 유권자 등록을 할 수 있도록 빚을 청산하는 것을 돕기 위해 FRRC, 안전과 정의를 위한 연합, 플로리다 여성 유권자 연맹과 같은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한편, 대선 유권자 등록 마감일은 10월 5일이다. 중범죄 전과자들이 올해 대선에 참여하려면 유권자 등록 마감일 전에 어떤식으로든 결론이 나야 한다.

  • |
  1. vote.jpg (File Size:29.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15 미국 뉴욕서 컬럼버스데이 ‘원주민의 날’로 개명 file 뉴스로_USA 18.02.25.
2114 미국 美타코벨 한인고객 인종차별 조홍 file 뉴스로_USA 18.02.26.
2113 미국 벼랑끝 몰린 뉴욕의 택시기사들 file 뉴스로_USA 18.02.26.
2112 미국 아동건강보험 CHIP 이용했어도 ‘영주권 거절’ KoreaTimesTexas 18.02.26.
2111 미국 알아두면 쓸데 많은 세금보고 상식 KoreaTimesTexas 18.02.26.
2110 미국 전임 달라스 시장 “총기협회, 달라스 오지마라” KoreaTimesTexas 18.02.26.
2109 미국 페덱스 “美총기협회 회원들에 할인혜택 지속” 뉴스로_USA 18.03.01.
2108 미국 빌리 그레이엄목사 美전역 추모 열기 file 뉴스로_USA 18.03.01.
2107 미국 유엔, 24시간 성희롱신고 핫라인 운영 file 뉴스로_USA 18.03.02.
2106 미국 뉴욕서 ‘트럼프-김정은’ 반핵안내문 file 뉴스로_USA 18.03.02.
2105 미국 플로리다 비치, 미국 ‘베스트 비치’ 1,2위 차지 코리아위클리.. 18.03.02.
2104 미국 플로리다 고교, AP 통과율 전국 4위 코리아위클리.. 18.03.02.
2103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와 주의회, 총기 규제안 내놨다 코리아위클리.. 18.03.02.
2102 미국 美 겨울폭풍 노리스터 상륙 file 뉴스로_USA 18.03.03.
2101 미국 ’김영란법’도 울고갈 미국법 뉴스로_USA 18.03.04.
2100 미국 빌리 그레이엄목사 영면 file 뉴스로_USA 18.03.04.
2099 미국 ‘美 전쟁원하나?’ 트럼프에 서한 뉴스로_USA 18.03.05.
2098 미국 하와이, 북미대화 촉구결의안 file 뉴스로_USA 18.03.05.
2097 미국 티벳설날 ‘로사르’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18.03.06.
2096 미국 한국계뮤지컬배우 모녀 뉴욕 교통사고 비극 file 뉴스로_USA 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