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저하로 대졸생 줄고, 가계 소득 감소로 이어져

 

 

bus.jpg
▲ 학생들을 태우고 퇴교길에 나선 플로리다주 오렌지카운티 소속 스쿨버스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지난 1년간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현장 교육이 차질을 빚으면서 미국 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경제 기관들이 온라인 원격 수업의 영향으로 인한 교육 시스템의 변화가 향후 70년간 미국 경제에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은 최근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대면 교육의 중단으로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예상된다며 이 학생들이 주요 노동계층이 됐을 때 경제적 손실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온라인 원격 수업으로 인한 영향이 이미 사회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우선 노동계가 입은 타격을 빼놓을 수 없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교육계에 종사하는 미국인은 약 800만 명으로, 미국 경제의 주요 동력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하지만 현재 미 전역의 학교가 온라인 원격 수업 또는 부분적인 대면 수업을 시행하면서 교육계에 종사하던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온라인 교육으로 부모들이 노동 현장에 돌아가지 못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자녀들의 공부를 도와주기 위해 특히 많은 여성이 직장을 포기하면서, 노동력 손실과 가계 수입 감소라는 두 가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학교들이 문을 닫아 300만 명에 가까운 여성이 노동 일선에서 물러나게 됐다며 이는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지적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100일 안에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문을 열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미국 경제, 70년 동안 매년 0.25% 감소

그런데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보고서는 이런 상황이 앞으로 수십 년간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다.  인구조사국 설문조사 결과 팬데믹 이전보다 학교 공부에 시간을 덜 할애하는 학생이 45%에 달하는 점을 지적했다. 학력 저하로 인해 결국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이 줄어들 것이고,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는 학생 비율이 1%P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결국 고등 학력이 떨어지면 경제에도 어떤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우려이다.  미국 노동시장에서 저학력 소지자들보다 대학 졸업자의 소득이 훨씬 더 높은데, 대학 졸업자들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미국인의 소득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으로 70년 동안 미국 경제가 매년 평균 0.25%P 깎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처음 5년에서 10년간은 영향이 적겠지만, 학생들이 미국의 주요 노동 계층이 되는 25년 후에는 영향력이 정점을 찍으면서 0.5%P의 경제 손실을 보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보고서는 또 학생들의 학력 저하의 또 다른 원인이 가계 소득의 불균형에 있다고 지적했다. 저소득 가정의 경우 고소득 가정보다 원격 수업으로 인한 학력 부진을 채울 수 있는 재원이 부족한 것이 사실인데,  이는 저소득 가정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더 심화할 수 있고, 결국 소득 불평등을 더 가중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 |
  1. bus.jpg (File Size:69.8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55 미국 "한국, 미국 MD 체계 불참 등 약속 지켜야"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2.
2254 미국 문 대통령 “핵무기 추진도 용인도 하지 앉을 것"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2.
2253 미국 5일(일) 서머타임 해제 … “1시간 더 주무세요” KoreaTimesTexas 17.11.04.
2252 미국 이명박, 박근혜 이어 수감될 가능성 높아져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5.
2251 미국 美텍사스 최악 총기테러 26명 사망 20명 중상 file 뉴스로_USA 17.11.06.
2250 미국 북한이 태평양서 수소폭탄 실험하면 어떤 일이?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6.
2249 미국 "우리는 트럼프를 싫어해" 트럼프 방한 반대 시위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6.
2248 미국 美4개도시, ‘反트럼프의 날’ 국제연대시위 file 뉴스로_USA 17.11.06.
2247 미국 오바마 케어 연례 등록 11월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7.11.09.
2246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별도 ‘영재학교’ 설립한다 코리아위클리.. 17.11.09.
2245 미국 술 취해 말 몬 여성, 음주운전으로 체포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9.
2244 미국 “미국은 북한과 직접 대화하라” file 뉴스앤포스트 17.11.11.
2243 미국 소아성애 인형 규제 촉구 美인터넷청원 뉴스로_USA 17.11.14.
2242 미국 미 외교협회 회장 "북미 전쟁 가능성 50%" 예측 file 코리아위클리.. 17.11.15.
2241 미국 “이 여인을 아시나요?” … 라마들린 연쇄 지갑 절도범 KoreaTimesTexas 17.11.16.
2240 미국 비스타 릿지 몰, ‘뮤직 시티 몰’로 부활 도전 KoreaTimesTexas 17.11.16.
2239 미국 [Black Friday_유래] 왜 블랙 프라이데이라 부르나? KoreaTimesTexas 17.11.16.
2238 미국 [Black Friday_세일] 소비자가 모르길 바라는 ‘팩트폭격 4가지’ KoreaTimesTexas 17.11.16.
2237 미국 “미국은 북한과 직접 대화하라” 뉴스앤포스트 17.11.16.
2236 미국 플로리다 세입자들 보험구입에 무관심, 이대로 괜찮나 코리아위클리.. 17.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