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9일~18일... 드샌티스 '플로리다 2021 피톤 챌린지' 홍보
 

 

piton.jpg
▲ 2021년 플로리다 피톤 챌린지 공식 사이트(flopythonchallenge.org) 초기 화면.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플로리다주가 날로 늘어나는 버마산 비단뱀 퇴치 프로그램 일환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뱀 포획 기간을 7월 9일부터 18일까지로 설정했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4일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내 에버글레이즈 인근 타미아미 트레일에서 열린 '2021년 플로리다 피톤 챌린지(2021 Florida Python Challenge)' 홍보 기자회견에 참석해 "행사 참가자들이 대형 비단뱀들을 잡아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그동안 뱀 사냥은 3년에 한번 열렸지만, 드샌티스 주지사는 1년에 한 번으로 늘렸고, 뱀을 포획할 수 있는 장소도 확대했다. 지난해 대회에는 20개 주에서 750명 이상의 땅꾼들이 몰려와 80마리의 비단뱀을 포획했다.

10일간 열리는 포획 행사는 플로리다어류및야생동물보호협회(FWC)가 주관하며, 참가 희망자는 주정부가 발행하는 비단뱀 사냥 허가증이 있어야 한다. 대회 우승은 뱀을 가장 많이 잡은 참가자와 가장 긴 뱀을 잡은 참가자에게 돌아간다.

버마산 비단뱀은 이를 애완동물로 키우던 주인이 30여년 전 에버글레이즈에 풀어놓고 간 후 적절한 환경탓이었는지 점차 번식했고, 오래전부터 이곳에서 서식중인 악어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FWC는 2007년부터 에버글레이즈 지역의 비단뱀 근절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주장했으며, 주정부는 2009년부터 날로 증가하고 있는 비단뱀 퇴치를 승인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플로리다 정부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 받은 전문 사냥꾼들이 일년 내내 뱀을 포획하고 있다.

2000년 이후 1만3천 마리 포획

사냥꾼들의 활동으로 2019년 이후 플로리다에서 5250마리 이상의 비단뱀이 제거됐다. 2000년 이후로 따지면 포획숫자는 1만3000마리 이상이다. 근래들어 뱀 사냥이 활발해졌음을 알 수 있다.

2016년에는 주정부가 뱀 사냥꾼에게 지불하는 보상금을 올리고, 연방정부와 연계해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과 연방소속 부지에서 사냥을 허락한 것이 효과를 내어 평년 수준의 3배인 1500여마리의 비단뱀이 포획됐다.

주정부는 더이상 키우기 힘든 애완용 비단뱀도 수납하고 있으며, 2016년까지 114마리가 거두었다.

버마산 비단뱀은 남부지역에서 엄청난 수의 토끼, 고양이, 너구리, 오소리 등을 먹이로 포식,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새나 시라소니 심지어 사슴까지도 먹이로 삼고 있어 생태계 최고 포식자의 자리에 오르고 있다.

실제로 2011년에 에버글레이즈 지역에서 사살된 버마산 비단뱀 몸통에서 암컷 사슴이 발견돼 화제가 됐다. 무려 15.7피트(478.54cm)나 된 화제의 비단뱀은 76파운드에 달하는 사슴을 잡아 먹은 지 얼마 되지 않은 탓에 몸통이 44인치(111.76cm)로 거대하게 부풀려진 상태였으며, 플로리다 역사상 먹이를 섭취한 후 가장 큰 몸통을 지닌 비단뱀으로 기록됐다.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생태학자인 스킵 스노우 교수는 비단뱀이 입 안쪽으로 휘어진 날카로운 이빨로 사슴을 물어 제압시킨 뒤 몸통으로 칭칭 감아 그 조이는 힘으로 먹이의 몸체를 부서뜨린 후 섭취했다고 전했다.

2005년에 발생한 사건도 미 전역을 경악시켰다. 13피트(396cm) 길이의 비단뱀이 6피트(183cm) 길이의 악어를 삼킨 뒤 죽은 모습의 사진은 충격 그 자체였으며, 생태계 질서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비단뱀의 시체는 헬리콥터를 타고 에버글레이즈를 돌던 헬리콥터 조종사와 한 야생연구가에 의해 발견됐었다. 당시 악어의 몸통 뒷부분과 꼬리는 비단뱀의 배 부분에서 완전히 빠져 나와 있었으며 악어의 머리와 상체는 여전히 뱀의 위속에 들어있던 상태였다.

플로리다에 서식하는 비단뱀 수는 30만마리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단뱀은 남쪽으로는 플로리다 반도 남단 지역인 키 라르고부터 북쪽 록사해치 국립야생보호지역(팜비치 카운티)까지 서식하고 있다.
  • |
  1. piton.jpg (File Size:75.8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55 미국 팜비치카운티 수돗물 불소화 논쟁 언제 끝나나 코리아위클리.. 17.08.31.
2354 미국 디즈니 월드, 올랜도에 들어설 계획 없었다 코리아위클리.. 17.09.04.
2353 미국 도로 신경전 레이스, 까딱하면 '비명횡사' 코리아위클리.. 17.09.04.
2352 미국 동물 배 속은 '천태만상'... 다이아몬드에 여성 란제리까지 코리아위클리.. 17.09.04.
2351 미국 개인주택 뒷뜰에 '묘지 조성', 괜찮을까? 코리아위클리.. 17.09.04.
2350 미국 북텍사스 개스부족현상, 주말쯤 정상화 KoreaTimesTexas 17.09.06.
2349 미국 [1신] 떨고있는 플로리다…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북상 [1] 코리아위클리.. 17.09.07.
2348 미국 [2신] ‘어마 어마’ 허리케인 북상… 숨 죽인 플로리다 코리아위클리.. 17.09.09.
2347 미국 듀크 에너지, 핵발전 대신 태양광 발전 선택 코리아위클리.. 17.09.09.
2346 미국 플로리다, 마약성 처방 진통제 남용 해결에 '올인' 코리아위클리.. 17.09.09.
2345 미국 [DACA 폐지] 80만 불법체류 청년, 추방 위기 KoreaTimesTexas 17.09.09.
2344 미국 [DACA 폐지] 한인 피해자, 7250명 KoreaTimesTexas 17.09.09.
2343 미국 [DACA 폐지] 유효기간 해당자, 10월 5일까지 갱신해야 KoreaTimesTexas 17.09.09.
2342 미국 [DACA 폐지] 알아야 할 숫자와 통계 KoreaTimesTexas 17.09.09.
2341 미국 [3신] 허리케인 어마 플로리다 상륙… “앤드류 이후 최강” 코리아위클리.. 17.09.10.
2340 미국 ● 9.11 16주기 추도식 file 뉴스로_USA 17.09.13.
2339 미국 ‘미스아메리카’, 트럼프 비판 화제 file 뉴스로_USA 17.09.13.
2338 미국 뉴욕에 꿈의 캠퍼스 문열었다 file 뉴스로_USA 17.09.16.
2337 미국 활발해진 부동산 거래, 타이틀 보험 문제 다시 부상 file 코리아위클리.. 17.09.17.
2336 미국 세계 최고 캠퍼스 경관 ‘코넬테크’ file 뉴스로_USA 17.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