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완화한 올해 4월 이후 크게 증가... 한국계 피해자 17%

 

 

kim.jpg
▲ 미국 드라마 '로스트' 시리즈 출연으로 유명해진 한국계 배우 대니얼 대 김이 애틀랜타 연쇄 총격 사건 이후 아시안 아메리칸의 위상을 강화하는 단체의 이름으로 연대 캠페인을 펼쳤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 I-4 선상의 빌보드에 3주 가량 오른 캠페인 광고.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지난해  3월  미국에서  코로나19  사태가  본격 확산하기  시작한  이후  아시아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증오 범죄가  총  9천 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혐오 범죄  피해를  접수하는  단체  '스톱 AAPI 헤이트'가  12일  최신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3월 19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스톱 AAPI 헤이트에  접수된  아시아 대상  증오 범죄는  총  9081건이었다.  이  가운데  절반은  지난해,  나머지  절반은  올해  신고가  들어왔다. 

보고서는  특히  올해  4월과  6월  사이에  신고 건수가  6600여 건에서  9000여 건으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4월  이후에  신고 건수가  몰린  이유는  팬데믹  봉쇄 조처가  완화되면서  대중의  활동이  더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아시아계가  공격에  더  많이  노출됐다고  스톱 AAPI 헤이트의 공동 설립자  만주샤 쿨카니 대표가  AP 통신에  밝혔다.  쿨카니  대표는  또  지난  3월에  있었던  조지아주  총격 사건도  신고  건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조지아주  총격 사건은  지난  3월 16일  백인 남성  로버트  애런  롱이  애틀랜타  일대  스파  3곳에서  무차별  총격을  가해  총 8명이  목숨을  잃었는데,  한인  4명을  포함해  희생자  가운데  6명이  아시아계  여성이었다.  용의자  롱은  ‘성 중독’  때문에  범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지만,  희생자들의  인종과  국적  등을  볼  때  혐오 범죄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  아시아계  증오 범죄를  규탄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벌어지기도  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더  많은  아시아인이  자신이  당한  공격이나  괴롭힘을  더  적극적으로  신고하기  시작했다.  이밖에도  피해자들이  스톱 AAPI 헤이트 단체를  잘  몰랐거나,  또는  신고를  미루면서,  후반기에  신고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쿨카리니  대표는  설명했다.  

아시아계가  괴롭힘을  받은 유형도 다양하다.   '언어적  괴롭힘'이  약 64%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인에  대한  '기피'  행위가  16.5 %로  뒤를  이었다.  이  두 가지  형태의  경우  피해자들에게  정신적  외상을  입히는  등  피해는  크지만,  증오 범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또  '신체적  폭행'도  14%  가까이  됐다.  직장이나  각종 서비스  시설에서의  차별에  해당하는  ‘민권침해’도  11%에  달했다.  또  온라인상에서  괴롭힘을  당했다고  신고한  경우도  8%가 넘었다. 

 최근  발생한  사건들을  보면,  아시아인이  길거리를  걷다가  무차별  공격을  당하는  경우들도  있었다.  스톱 AAPI 헤이트에  들어온  신고  대부분도  실외나  공공장소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도로에서  발생한  공격이  32%  가까이  됐고,  사업체에서  발생한  경우도  30%가  넘었다.   

성별이나  연령,  국적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노약자가  더  큰  피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이  전체  피해 신고의  63% 이상을  차지했다. 17세 이하  청소년이  전체  신고의  약 10%,   60세 이상의  노인이  약 7%를  차지했다. 

인종별로는  중국계  피해자가  약 44%에  달했고,  한국계가  약 17%,  그  뒤를  필리핀계와  일본계  등이  이었다.  
  • |
  1. kim.jpg (File Size:55.6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5 미국 美사상 첫 흑인 여성 주지사 나올까?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5.
2434 미국 "소시오패스 만나면 피하는 것이 상책" 코리아위클리.. 17.07.26.
2433 미국 “제재로는 북한 행동 바꾸지 못한다” 코리아위클리.. 17.07.26.
2432 미국 공화-민주 양당 의원들, 새 드림 법안 상정 file 코리아위클리.. 17.07.27.
2431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8월4일 시작 코리아위클리.. 17.07.27.
2430 미국 주택시장 붕괴 10년… 올랜도 시장 호조 지속 코리아위클리.. 17.07.27.
2429 미국 디즈니, 올랜도에 '스타워즈’ 테마 호텔 짓는다 코리아위클리.. 17.07.27.
2428 미국 조지아주 상수도 30곳 오염물 발견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8.
2427 미국 트럼프 “北에 압력 못넣은 중국에 실망” file 뉴스로_USA 17.07.30.
2426 미국 플로리다 교통위반 티켓, 30일내에 처리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7.07.30.
2425 미국 타이틀 보험은 부동산 소유권 보장 file 코리아위클리.. 17.07.30.
2424 미국 VIC 에데 의원, 미국 입국 거부돼…주의회, 미정부에 강력 항의 톱뉴스 17.07.30.
2423 미국 조선중앙통신 "정권 위협당하면 미국에 핵무기 발사" 코리아위클리.. 17.07.30.
2422 미국 홈 에쿼티 론 vs. 에쿼티 라인 오브 크레딧 코리아위클리.. 17.07.30.
2421 미국 안 팔리는 집, 빨리 팔아치우는 방법 file 코리아위클리.. 17.07.31.
2420 미국 플로리다에 살려면 뱀과 친해져라! 코리아위클리.. 17.08.01.
2419 미국 이웃에게 총 맞지 않기 위한 '6계명' file 코리아위클리.. 17.08.02.
2418 미국 “자본 액세스 방법 코치 받으세요” file 뉴스앤포스트 17.08.03.
2417 미국 밥 바르 전 대선후보, 쉐퍼 주상원 지지선언 file 뉴스앤포스트 17.08.03.
2416 미국 “케이글 부주지사를 차기 주지사로” file 뉴스앤포스트 17.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