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인상' 예측 늘어, 양적 완화 점진적 축소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22일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와 ‘양적 완화’ 등 핵심 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우선 연준은 기준금리를 현행 0.00~0.25%, 즉 ‘제로(zero)’ 수준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FOMC 위원들의 만장일치 결정으로, 지난해 3월 이후 1년 반째 금리가 제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금리 인상 시점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준이 제로 금리를 한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미국 경제가 큰 타격이 입었기 때문이다. 이자율이 낮으면 돈이 금융 기관에 묶여있지 않고 투자나 소비처로 돌기 때문에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를 낮췄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기준 금리의 기준이 되는 인플레이션, 즉 물가 인상과 고용이 “상당한 진전”을 보이면서 목표에 근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언제쯤 금리 인상이 이뤄질까. 파월 의장이 시점을 밝히진 않았지만, FOMC 위원들의 전망을 보면 예상보다 빨라질 것으로 예측이 가능하다. 오는 2022년에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고 보는 위원들의 숫자가 지난 6월 FOMC 회의 때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에는 과반이 2023년에 금리 인상이 있을 거라고 전망했다.

이번 FOMC 회의 결과에서 또 한 가지 핵심 정책이 ‘양적 완화’였다. 연준은 성명에서 물가나 고용 등에 진전이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자산 매입 속도를 완화하는 것이 곧 타당해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코로나 확산 이후 매월 1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매입해 돈을 푸는 양적 완화를 시행 중이다. 이를 단계적으로 줄이는 ‘테이퍼링’을 곧 시작하겠다는 것이다.

‘테이퍼링(tapering)’이란 ‘폭이 점점 가늘어진다’라는 뜻으로, 양적 완화 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한다는 의미다. 중앙은행이 시장에 돈을 공급해 신용경색을 해소하고 경기를 부양시키는 ‘양적 완화’가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하면, 이제 출구 전략 가운데 하나로 테이퍼링을 실시한다. 테이퍼링은 금리 인상 전 신호로 여겨지기도 한다.

연준은 곧(soon)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테이퍼링의 정확한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 CNBC > 방송은 11월에 테이퍼링 발표되고 12월에 시작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이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미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5.9%로 전망했다. 지난 6월 발표 7% 증가에서 하향 조정됐다. 하지만 2022년 성장률은 종전 3.3%에서 3.8%로 상향됐다.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앞서 3.0% 증가에서 3.7%로 크게 올랐다. 또 내년 물가상승률은 2.3%, 2023년 물가상승률은 2.2%로 각각 3개월 전 전망에서 조금씩 상향조정됐다.
  • |
  1. index.jpg (File Size:9.1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75 미국 트럼프, 철 수입량 축소로 中위협 file 뉴스로_USA 17.07.07.
2474 미국 미국 여성 사업가, 15년간 20%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17.07.07.
2473 미국 올랜도 이민자 늘자 이민 변호사도 덩달아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17.07.07.
2472 미국 30대 주부, 남편·자녀 4명 흉기로 살해 file 뉴스앤포스트 17.07.08.
2471 미국 “미 미사일방어체계, 북핵 막을 준비돼 있지 않다”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0.
2470 미국 뉴욕서 또 열차 탈선 사고 file 뉴스로_USA 17.07.11.
2469 미국 무더위 식혀주는 폭우의 계절, 지붕이 걱정이네!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1.
2468 미국 시민자유연맹 “텍사스 여행 주의” KoreaTimesTexas 17.07.11.
2467 미국 수영장 안으로 침입한 악어, 어떻게 하지?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2.
2466 미국 '질로우닷컴' 추산 주택 가격 오류 많다 코리아위클리.. 17.07.13.
2465 미국 내 집서도 담배 못피운다? ‘공동주택 금연’ 실효성 의문 코리아위클리.. 17.07.13.
2464 미국 신분도용 스키머, 주정부 적발 노력에도 계속 증가 코리아위클리.. 17.07.13.
2463 미국 11세 韓입양아 美여름캠프서 사망 file 뉴스로_USA 17.07.14.
2462 미국 “에모리大 1호 유학생 윤치호를 아시나요?” file 뉴스앤포스트 17.07.14.
2461 미국 “북한 핵보유국 인정해야 대화성과 있을것” file 뉴스앤포스트 17.07.14.
2460 미국 미 연방 상원, 트럼프케어 새 수정안 내놔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4.
2459 미국 그 흔한 플로리다 ‘키 라임’, 효능 탁월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5.
2458 미국 미국 자동차 여행, 보험 꼭 구입해야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6.
2457 미국 날개 없는 추락… 트럼프 지지도 30%대로 file 코리아위클리.. 17.07.17.
2456 미국 딋뜰에 나타난 '주머니 쥐' 오포섬이 귀여워? 코리아위클리.. 17.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