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애미행 보트 전복, 성인 16명 어린이 1명 사망
 
haiti.jpg
▲ 왕립 바하마 방위군이 제공한 이 사진에서 생존자들은 7월 24일 일요일 새벽 바하마 뉴프로비던스 근처에서 구조되기 직전 전복된 배에 앉아 있다. 사망자 중에는 여성 15명, 남성 1명, 유아 1명 등이 포함돼 있다. (바하마 왕립 방위군 제공)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아이티를 탈출해 마이애미로 향하던 ‘보트 피풀’이 탄 소형 보트가 바하마 앞바다에서 전복돼 대거 사망한 사건이 벌어졌다.

필립 데이비스 바하마 총리는 24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마이애미행 소형 보트가 바하마 해역에서 전복돼 아이티 비정규직 이민자 17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들의 최종 목적지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였다"라고 밝혔다. 관계자들은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이 모두 아이티 사람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오비넷 롤 바하마 공립병원국장은 희생자 17명은 성인 여성 15명, 남성 1명, 어린이 1명(4~5세 정도의 소녀)라고 설명했다. 바하마 관리들에 따르면 미 해안경비대가 8명에서 15명 사이의 미수습자 수색에 나섰다.

당국은 3명이 중상으로 병원에 입원했고, 20명은 바하마 이민국에 인계됐으며, 2명은 경찰에 연행됐다고 밝혔다. 클레이튼 페르난데르 경찰국장은 이들이 다른 범죄와 과실치사 혐의를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목숨 걸고 어둠 속 보트를 타려는 사람들

데이비스 바하마 총리는 24일 <마이애미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아이티의 정치 경제적 상황의 악화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이 보트에는 이미 바하마에 와 있는 아이티 이민자들과 함께 바하마를 떠나기 위한 사람들이 타고 있었다고 말했다.

관계자들은 30피트 길이의 쌍발 엔진 고속정 한 척이 24일 오전 1시 직후 뉴프로비던스 앞바다 약 7마일 지점에서 전복되기 전 나소 선착장을 떠났다고 말했다.

페르난데즈 경찰서장은 "선체가 바다와 같은 파란색이어서 밤에는 물속에서 선박을 식별하기 어려웠다. 낮에서야 그 배를 식별할 수 있었는데, 이미 물에 잠겨 있었다"라고 말했다.

페르난데즈는 "경찰들이 보트 선체에서 노크 소리를 듣고 다이버들이 잠수해 그곳에서 17구의 시신을 수습했다. 선체에 있는 공기주머니에 살아 있던 한 명의 여성은 구조되었다"라고 말했다.

관계자들은 승객들이 보트에 타기 위해 3천~8천 달러를 지불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하마 보카 치타키 앞바다에는 아이티의 정치 경제적 격변에서 벗어나려는 사람들을 실어 나르기 위한 여러대의 중소형 보트들이 비밀리에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해안경비대는 지난해 10월부터 해상에서 6000여명 이상의 아이티인들을 체포해 해 돌려보냈다.

데이비스는 "이같은 위험을 무릅쓰고 탈출하려는 (아이티) 이주민들의 처지를 이해한다"라면서도 "우리는 그러한 항해를 고려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하지 말 것을 호소한다"라고 말했다.

데이비스는 "바하마 당국은 지난 몇 달 동안 쿠바와 미국 해안경비대와 방위군의 협조 아래 성공적으로 아이티 이민자들의 입국을 막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이티의 상황은 정말 심각하고 어떤 방책이 있을지 모르겠다. 갱단 리더들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정도"라고 실토했다.

'실패한 국가' 아이티… 거부당하는 탈출자들

데이비스는 최근 자메이카와 바베이도스 총리와 함께 캐리콤(CARICOM)으로 알려진 15명의 카리브해 공동체 대표단의 일원으로 정치적 혼란을 중재하기 위해 아이티를 방문했다. 그는 "우리는 곧 계파들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시도에 참여할 예정인데, 현재로선 갱들의 전쟁일 뿐이다. 현재의 아이티는 한마디로 실패한 국가라고 밖에 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과 국제사회의 중재 아래 정치적 합의를 찾기 위한 임시 정부와 시민사회 연맹 사이의 최근의 노력들은 어떤 합의에도 이르지 못하고 있다.

최근 폭력사태로 이달 들어서만 아이티 수도의 최대 슬럼가인 시테 솔레이유에서 200명 이상의 아이티인이 숨지거나 다쳤으며, 수도 북부의 한 인권단체는 폭력조직원들에 의해 약 20명이 살해당했다고 보고했다.

데이비스는 최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미주정상회의에 참석한 몇몇 지역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그와 몇몇 카리브해 지도자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각별하게 추진해온 이민 선언서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

그는 기자 회견에서 "우리는 제한된 자원 때문에 비정기적인 이민과 난민들에게 국경을 개방할 수 없고 그들은 우리에게 무언가를 요구하지만, 결국 누가 비용을 부담할 것인가? 우리에게는 우리만의 특별한 사정이 있다"라고 말했다.
  • |
  1. haiti.jpg (File Size:64.4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75 미국 세컨드홈 구입 전 재정상황 꼼꼼히 검토하라 코리아위클리.. 16.11.26.
2774 미국 리버 크루즈냐 오션 크루즈냐 코리아위클리.. 16.11.26.
2773 미국 미국내 이산가족 상봉결의안 연방하원 통과 file 뉴스로_USA 16.12.02.
2772 미국 오준대사 UN 고별연설 감동 file 뉴스로_USA 16.12.02.
2771 미국 보딩스쿨에 대한 편견과 오해 file 코리아위클리.. 16.12.04.
2770 미국 올해 첫 주택 구입자 비율 상승세로 반등 코리아위클리.. 16.12.04.
2769 미국 모기지 금리 4%대 돌파, 트럼프 당선 이후 급등세 코리아위클리.. 16.12.04.
2768 미국 시니어 치과치료, 메디케어로는 어렵다 코리아위클리.. 16.12.04.
2767 미국 플로리다 히스패닉 유권자 39% 급증 코리아위클리.. 16.12.04.
2766 미국 다이빙영웅 새미 리 박사 96세 별세 file 뉴스로_USA 16.12.06.
2765 미국 뉴욕서 北인권심포지엄 file 뉴스로_USA 16.12.08.
2764 미국 NYT “박근혜, 탄핵과 싸움 시사” file 뉴스로_USA 16.12.10.
2763 미국 보딩스쿨 학비는 대학과 맞먹는 수준 코리아위클리.. 16.12.10.
2762 미국 ‘빈 방’ 숙박업에 이웃 불만 신고에 ‘벌금 폭탄’ 코리아위클리.. 16.12.10.
2761 미국 미국 민항기 쿠바 아바나 정기노선 본격 취항 코리아위클리.. 16.12.10.
2760 미국 플로리다에서 '화이트 크리스마스' 즐긴다 코리아위클리.. 16.12.10.
2759 미국 UN 안보리, 北인권 3년연속 안건 채택 file 뉴스로_USA 16.12.11.
2758 미국 UN, 반총장 '10년공적 치하' 결의안 file 뉴스로_USA 16.12.13.
2757 미국 화려한 성탄장식, 어디로 보러갈까? KoreaTimesTexas 16.12.15.
2756 미국 ‘반총장 초상화’ UN서 제막 file 뉴스로_USA 16.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