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1400만명 '고통' 호소… 긍정평가 51%대로 떨어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스스로 자기 삶이 ‘고통받고 있다’고 평가하는 미국인들의 비율이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22일 미국인의 ‘생활 평가 지수(Life Evaluation Index)’를 발표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미국 전역에 있는 약 37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 2008년 1월부터 매달 집계돼 공개되고 있는 생활 평가지수는 현재와 미래의 삶이 어떤지 스스로 평가한 수치이다.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매기도록 해서 10점에 가까울수록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번창(thriving)', '분투(struggling)', '고통(suffering)' 세 단계를 기준으로, 점수가 4점 이하일 때 '고통'으로 분류된다. 현재 자기 삶을 7점 이상, 그리고 5년 내 미래 자신의 삶을 8점 이상으로 평가하면 이는 ‘번창’으로 분류된다.

pbs.jpg
▲ 미국민들 가운데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고통’으로 분류한 비율이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의 이른바 ‘경제 대공황’ 당시에도 이 비율이 5%를 넘지는 않았다. ⓒ 위키피디아
 
그런데 이번에 나온 부정 평가 수치가 역대 가장 높은 수치인 것으로 밝혀졌다.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평가한 수치가 ‘고통’으로 분류된 응답률은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의 이른바 ‘경제 대공황’ 당시에도 이 비율이 5%를 넘지는 않았다. 이번에 나타난 수치를 환산하면 미국 전체 성인 중 약 1400만 명이 스스로의 삶을 ‘고통받고 있는 중’이라고 평가한 셈이다.

지지 정당에 상관 없이 기본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공화당 지지자의 부정 평가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공화당 지지자 중 지난 7월 ‘고통’으로 분류된 응답률은 약 1년 전보다 두 배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은 줄었다. ‘번영’으로 분류되는 수치는 지난 2021년 6월 거의 60%를 찍은 뒤 계속 떨어지고 있다. 7월 이 수치는 51%대까지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 1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번영 평가 수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지금까지 두 번 있었다. 지난 2008년 대공황 시기인 11월, 그리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초기인 2020년 4월로, 당시 모두 46%대로 떨어진 바 있다.

그렇다면 미국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늘어난 것은 어떤 요인 때문일까.

갤럽은 경제적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꼽았다. 갤럽은 지난 7월 신규 고용이 52만 건을 넘는 등 고용이 많이 이뤄졌지만,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6월 나타난 ‘경기 신뢰 지수(ECI)’가 역대 최저치에 가까웠다는 점을 언급했다.

의회 전문 매체인 <더힐>은 경제적 상황 외에도 정치적 혼란과 낙태권 보장 폐기 등의 사회적 이슈 등도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적했다.

한편, 현재와 미래의 삶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꼽히는 인플레이션과 관련하여 미국 달러의 가치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 CBS 방송 >에 따르면 현재 100달러의 가치는 3년 전의 86%에 해당한다. 지난 2019년에 100달러를 주고 살 수 있던 것을 이제는 115달러를 내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다. 다만, 물가가 너무 가파르게 오를 때가 문제다. 연방준비제도가 목표로 하는 물가 상승률은 2%대인데, 지난 7월의 물가 상승률은 8%대로 이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다.
  • |
  1. pbs.jpg (File Size:148.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15 미국 한국등 ‘믹타’ 5개국 뉴욕서 선거캠페인 file 뉴스로_USA 16.10.28.
2814 미국 천일염은 몸에 이로울까 해로울까 코리아위클리.. 16.10.29.
2813 미국 내년 소셜 연금 쥐꼬리 인상, 사실상 ‘동결’ 코리아위클리.. 16.10.29.
2812 미국 통근열차 선레일, 토요일 시범 운영 코리아위클리.. 16.10.29.
2811 미국 11월 8일은 선거일... 플로리다 주 투표에선? 코리아위클리.. 16.10.29.
2810 미국 미국 서머타임 해제...한국과 시차 1시간 늘어 file 뉴스로_USA 16.11.02.
2809 미국 박기갑교수, 유엔 국제법위원회 재선 성공 file 뉴스로_USA 16.11.04.
2808 미국 텍사스 포함 3개주, 알 카에다 '공격 가능' KoreaTimesTexas 16.11.05.
2807 미국 미국 인구 9.3%가 당뇨 환자 코리아위클리.. 16.11.06.
2806 미국 USF 편입제도, 고교 졸업생 대상 실시 코리아위클리.. 16.11.06.
2805 미국 메디케어 갱신 시즌이 왔다…12월7일 마감 코리아위클리.. 16.11.06.
2804 미국 ‘번복’ 비난 마르코 루비오, 연방상원 재선될까 코리아위클리.. 16.11.06.
2803 미국 혼돈속 최대 격전지 플로리다, 유권자 32% 이미 투표 코리아위클리.. 16.11.06.
2802 미국 트럼프 시대 열렸다 file 뉴스로_USA 16.11.09.
2801 미국 뉴욕서 “트럼프 꺼져” 반라 시위 file 뉴스로_USA 16.11.10.
2800 미국 충격..팰팍 위안부기림비 파헤쳐져 file 뉴스로_USA 16.11.10.
2799 미국 당뇨 전단계, 생활습관 교정에 힘써라 코리아위클리.. 16.11.12.
2798 미국 68년만에 뜨는 ‘슈퍼문’, 지구와 최근접 코리아위클리.. 16.11.12.
2797 미국 '오바마 케어’ 연례 등록 이달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6.11.12.
2796 미국 탬파베이, 단독주택 임대 수익률 높다 코리아위클리.. 16.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