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리 항소법원, 일시 정지 명령… 관련 판결 이어질 듯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바이든 행정부가 야심차게 실시하려 했던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제8 순회항소법원은 21일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에 대해 일시 정지 명령을 내렸다. 바로 전날 하급 법원이 내린 결정을 뒤집은 것이다.

이번 소송은 공화당이 주도하는 네브래스카, 미주리, 아칸소, 아이오와, 캔자스,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6개주가 지난 9월 29일 제기한 것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계획이 의회의 권한을 우회했고, 향후 주의 세수와 대출 투자 또는 대출을 제공하는 주 정부 기관의 수익에 위협을 줬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하급 법원은 이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연방법원의 헨리 오트리 판사는 이들 주가 소송 당사자 자격을 갖추지 못했으며, 연방 정부의 계획으로 세수가 피해를 본다는 주장은 '빈약하고 추측에 근거한 것'이라고 판결했다.
하지만 소송을 제기한 주들은 이에 불복해 항소했다.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 소송과 관련해 대법원에서도 결정이 나왔다. 위스콘신주에 기반을 둔 ‘브라운카운티 납세자연맹’이 19일 계획 시행을 정지시켜달라며 대법원에 긴급 청원서를 냈으나 에이미 코니 배럿 대법관이 20일 거부 결정을 내렸다.

이 사안이 배럿 대법관에게 간 것은 위스콘신주를 비롯한 중서부지역 주들의 긴급 사안을 관할하는 사람이 배럿 대법관이기 때문이다. 배럿 대법관은 대법원 전체에 회부하지 않고 이유를 밝히지 않은채 단독으로 처리했다.

위스콘신주 시민단체인 ‘브라운카운티 납세자연맹’은 29쪽에 달하는 긴급 청원서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대출 탕감 계획은 의회를 건너뛰었으며, 납세자들에게 1조 달러 이상의 부담을 지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지난 10월 4일 정부의 대출 구제는 "연방 세금을 강요하고, 어떠한 권한도 없이 부채 형태의 연방 자산을 없애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위스콘신주 그린베이 연방 법원에 다시 소장을 냈다. 하지만 이틀 후 판사는 단순히 세금을 낸다는 것만으로 연방 정부의 조처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며 소송을 기각했다. 이후 시카고 제7 순회 항소법원 역시 정부 계획을 막아달라는 단체의 요구를 거부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8월 처음 발표한 학자금 탕감 계획은 개인 소득이 연간 12만5천 달러, 부부 합산 25만 달러 미만의 소득자의 경우 1만 달러의 학자금 대출을 탕감받는다. 또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을 돕기 위한 연방 정부 장학금인 ‘펠그랜트’를 받은 사람은 대출 부채에서 최대 1만 달러가 추가로 면제되어 최대 2만 달러까지 탕감받을 수 있다.

이 같은 바이든 정부 계획 논란이 된 이유는 대출금 탕감을 위해 정부지출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정부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4천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정부 계획이 대선 공약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공화당은 11월 8일 중간선거를 앞둔 선심 공약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출 탕감 계획 발표 이후 공화당 소속 주 법무장관들과 보수적인 법조인들이 정부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여러 법정 소송을 제기했다. 따라서 관련 판결이 앞으로 더 나올 수도 있다.

관련 소송들에서 다뤄지는 문제의 핵심은 정부 계획이 의회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이든은 정부가 전쟁이나 국가 비상사태 기간 연방 학자금 대출을 수정하거나 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연방 법률인 ‘학생을 위한 고등교육 구제 기회법’에 근거해 대출 탕감을 하는 것이며, 코로나 팬데믹이 바로 비상사태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 |
  1. ucf.jpg (File Size:53.0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35 미국 플로리다도 독일 민속축제 ‘옥토버페스트’ 따라하기 코리아위클리.. 16.10.07.
2834 미국 아마존, 식료품 시장도 넘본다 file KoreaTimesTexas 16.10.12.
2833 미국 독감 시즌 돌입, 예방접종 계획해야 코리아위클리.. 16.10.14.
2832 미국 허리케인으로 올랜도 테마공원들 ‘몸살’ 코리아위클리.. 16.10.14.
2831 미국 ‘철옹성’ 존 마이카 연방하원의원, 이번엔 무너질까? 코리아위클리.. 16.10.14.
2830 미국 촘스키 등 저명 인사들, '한반도 사드 배치 절대 반대' 성명 코리아위클리.. 16.10.14.
2829 미국 구테헤스 9대 UN 사무총장 확정 file 뉴스로_USA 16.10.14.
2828 미국 강경화 유엔 OCHA 차장보 차기사무총장 인수팀장 file 뉴스로_USA 16.10.15.
2827 미국 뉴욕에 힐러리 나체상..민망 소동 file 뉴스로_USA 16.10.19.
2826 미국 ‘트릭 오 트릿’ 또 돌아왔네! 코리아위클리.. 16.10.21.
2825 미국 탬파 베이 주택 차압, 붕괴 이전 수준으로 회복 코리아위클리.. 16.10.21.
2824 미국 플로리다 주민 4만여명, 허리케인 보험 신청 코리아위클리.. 16.10.21.
2823 미국 "투자이민비자 프로그램은 해피밀 속의 장난감" 코리아위클리.. 16.10.21.
2822 미국 에디슨이 발명 에너지를 충전한 곳은 어디? 코리아위클리.. 16.10.21.
2821 미국 트럼프 성추행, 10번째 피해여성 등장 file KoreaTimesTexas 16.10.21.
2820 미국 트럼프 자선만찬행사 연설 야유 file 뉴스로_USA 16.10.21.
2819 미국 美친한파정치인 수뢰혐의 구속 file 뉴스로_USA 16.10.22.
2818 미국 뉴욕 ‘토끼소주’ 개발 미국인 화제 file 뉴스로_USA 16.10.23.
2817 미국 LA 한인 가족 3000만달러 사기 기소 file 뉴스로_USA 16.10.23.
2816 미국 한국운전면허증 美펜실베니아주 통한다 file 뉴스로_USA 16.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