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평균 수령액 140달러 증가… 저소득층 "충분하지 않다" 불평

 

 

social.jpg
▲ 미국 사회보장연금이 내년부터 8.7% 인상되지만, 일부 저소득층 주민들은 연금 증가분이 물가를 상쇄하기에 충분한 지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레이크메리시 소셜시큐리티 사무국에 걸려있는 문장 액자.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미국의 사회보장연금이 4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다. 연방사회보장국(SSA)은 은퇴자에게 지급하는 사회보장연금의 연 생활물가조정분(COLA)을 내년부터 8.7% 인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1인당 월 평균 수령액은 140달러가 증가한다. 현재 은퇴자들의 월 평균 연금은 약 1656달러이다.

SSA는 월 수령액 증가는 연금 수혜자가 인플레이션으로 높아진 물가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은퇴자협회(AARP)는 “사회보장연금은 노인 4명 중 1명에게는 거의 모든 소득”이라며 연금 증가에 긍정적 반응을 표했다.

탬파베이 저소득층 시니어 아파트에 살고 있는 주민들에 따르면 연금 증가분이 높아진 물가를 상쇄하기에 충분한 지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 은퇴자들은 연금으로는 살아가기 힘들어 일터를 떠나지 못하고 있고, 이같은 상황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볼멘 목소리를 낸다.

저소득층 시니어 아파트에 살고 있는 낸시 프랜시스(79)는 사회보장연금 상승으로 이웃들의 신용카드 빚이 줄어들 지 의문을 표한다. 그는 "우리에게는 이 아파트가 마지막 주거지인데, 비용은 매년 높아지고 있다”라고 최근 <탬파베이타임스>에 전했다.

레니 대니얼스(72)는 "모든 것이 올랐기 때문에 실제로 인상된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미국 전역에서 비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탬파베이의 가격은 전국 평균을 앞질렀다. 미국 노동 통계국에 따르면, 지역 가격은 전국적으로 9%에 비해 지난 1년 동안 약 11% 상승했다.

또다른 거주민인 로스 타르(81)는 조정된 금액이 자신의 주거비를 감당하지 못할 것으로 확신한다. 2년 만에 집세가 25%나 올랐다고 전하는 타르는 연금 인상분이 실제로 올라야 할 금액보다 항상 뒤쳐진다고 꼬집었다.

소셜 연금 변동은 연방노동국이 산출해 내는 소비자물가지수(CPI-W)를 기반으로 한다. 이 지수는 식품, 주거, 의복, 교통, 에너지, 보건, 여가, 교육 등 봉급 근로자의 생계비를 측정한 것으로, 연 생활물가조정분의 근간이 된다. 즉 은퇴자가 아닌 근로자를 기준으로 비용 상승을 살펴보는 것이다. 노인들은 주택과 의료에 더 많은 돈을 쓰고 교통에 덜 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근로자와는 다르게 인플레이션을 경험할 수 있다.

타르는 "이 기준은 우리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라며 "우리와 관련된 것은 의료비, 식품비, 임대료이며, 이들 비용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훨씬 더 높다"라고 주장했다.

데니스 로빈슨(66)은 49세때 심장마비 후유증으로 은퇴했다. 로빈슨은 이번 인상으로 인해 수입이 높아져서 푸드스탬프 자격을 잃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로빈슨 역시 소셜연금이 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연금 자체에 만족을 표하는 고령인들도 있다. 모데카이 워커(98)는 연금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미국의 사회보장제도에 여전히 감사를 표한다. 그는 프랭클린 대통령이 1935년에 이 프로그램에 서명한 것을 회상하며 "그것은 나에게 일어난 일 중 가장 위대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대통령 서명 이후 워커의 어머니는 한 달에 90달러를 받기 시작했으며, 이 금액은 당시에 큰 돈이었다.

텔마 휴스턴(98)은 내년 인상분이 자신의 약값을 도와줄 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그러나 "8%대는 여전히 높은 것"이라며 "불평보다는 받은 복을 세어보아야 한다"라고 전했다.

연방의회는 인플레이션이 심했던 1975년에 소셜 시큐리티 혜택이 물가에 따라 자동 인상되는 법을 정했고, 이후 연 평균 4% 상승률을 보여왔다. 사회보장연금 인상률이 8.7% 이상 기록한 시기는 1979년(9.9%), 1980년(14.3%), 그리고 1981년(11.2%)이다.

반면 미국이 극심한 경기침체에 빠졌던 2010년과 2011년에 연금이 동결됐고, 2016년에는 근로자의 생계비에 변화가 없다는 이유로 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 정부 연금 수령자는 은퇴자를 비롯해 장애인과 어린이 등 약 7000만 명이다.
  • |
  1. social.jpg (File Size:44.5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55 미국 지구 살리기 전시회 유엔본부 개최 file 뉴스로_USA 16.09.25.
2854 미국 세종솔로이스츠, 한국 유엔(UN)가입 25주년 기념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6.09.26.
2853 미국 컨테이너 안의 진짜 세상..포토빌 페스티벌 file 뉴스로_USA 16.09.27.
2852 미국 “반총장 퇴임전 한반도평화협정 앞장서라!” 세계여성운동가들 요구 file 뉴스로_USA 16.09.29.
2851 미국 뉴욕 통근열차 참변 1명사망 108명 중경상 file 뉴스로_USA 16.09.30.
2850 미국 정말일까? ... '한반도 전쟁 임박설' 제기 file KoreaTimesTexas 16.10.01.
2849 미국 주 보험국, 사기성 이메일 주의 당부 코리아위클리.. 16.10.02.
2848 미국 올랜도 지역 20만달러 이하 신규주택 감소 코리아위클리.. 16.10.02.
2847 미국 메디컬시티 레이크노나, ‘웰빙 스마트홈’ 선보여 코리아위클리.. 16.10.02.
2846 미국 생명공학의 도시 ‘레이크 노나’, 어떻게 변하고 있나 코리아위클리.. 16.10.02.
2845 미국 올랜도는 세계 할로윈 축제의 수도 코리아위클리.. 16.10.02.
2844 미국 트럼프 “이혼쉬운 이슬람법” 찬양 file 뉴스로_USA 16.10.03.
2843 미국 한국의 ‘지구 살리기’ 그린코어 UN전시회 file 뉴스로_USA 16.10.04.
2842 미국 美 500만 불체자 추방유예 물거품 file 뉴스로_USA 16.10.05.
2841 미국 포르투갈 구테헤스 차기 UN 사무총장 file 뉴스로_USA 16.10.06.
2840 미국 LG전자, 美 10개 도시에 ‘LG SIGNATURE 갤러리’ file 뉴스로_USA 16.10.06.
2839 미국 10월은 ‘유방암 자각의 달’,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6.10.07.
2838 미국 "어떤 신조나 사고방식에 도전한 적 있나" 코리아위클리.. 16.10.07.
2837 미국 피자 뽑아먹는 자판기, 올랜도에서 실용화 코리아위클리.. 16.10.07.
2836 미국 비슷한 규모의 집인데 재산세 왜 틀리지? 코리아위클리.. 16.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