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용자 데이터 수집, 심각한 보안 위협"... 틱톡 "근거 없는 정치적 허위"
 
tick.jpg
▲ 틱톡 로고 <위키피디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국에서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이 만든 동영상 공유 앱 '틱톡' 사용을 규제하는 주가 늘어나고 있다.

앨라배마주와 유타주가 12일 국가 안보를 이유로 주 정부 기기와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앞서 사우스다코타와 사우스캐롤라이나, 메릴랜드, 텍사스주 등에서도 주 정부가 소유하거나 임차한 장비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틱톡'은 짧은 동영상을 공유하는 손전화 앱이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는 달리 틱톡은 몇 초에서 1분 등 아주 짧은 길이의 동영상을 공유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몇 년 전부터 젊은 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틱톡은 중국에 모회사(ByteDance)를 두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여러 주가 틱톡 사용을 규제하고 나선 이유는 틱톡 이용자에 관한 자료가 중국 정부에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지난달 크리스 레이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은 하원 국가안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중국 정부가 틱톡을 수백만 명의 미국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이용하거나, 추천 알고리즘을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정보당국의 이런 경고에 따라 일부 주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케이 아이비 앨라배마 주지사는 12일 성명에서 "충격적이게도 틱톡은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며 그중 대부분은 앱의 비디오 공유 목적과 합법적인 연관성이 없다”라면서 "주 내 IT 기간 산업이 관련된 틱톡 사용은 중국의 침투 작전에 대한 취약성을 만든다"라고 설명했다. 아이비 주지사가 이날 서명한 틱톡 금지 행정명령은 틱톡이 민감한 주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주 정부가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앨라배마주를 포함해 틱톡과 거리를 두는 주가 지금 계속 증가하고 있다. 브렌던 카 미 연방통신위원회 위원은 12일 현재 최소한 9개 주가 "틱톡의 심각한 보안 위협에 근거하여" 조처에 나섰다고 밝혔다.

앨라배마, 아칸소, 인디애나 등 줄이어 제재 움직임

틱톡 사용을 제한하는 행정명령 외에 다른 방식으로 틱톡 사용을 규제하는 주들도 있다. 아칸소주는 최근 주지사가 주 정부 소유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데 이어, 주 의회는 틱톡 금지 법안을 발의했다. 인디애나주는 틱톡이 10대 이용자들에게 유해 콘텐츠를 노출하고, 중국 정부가 손쉽게 미국 이용자의 데이터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했다고 주장하며 틱톡에 소송을 제기했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틱톡 측은 성명을 통해 "많은 주가 틱톡에 관한 근거 없고, 정치적 허위 사실에 기반한 정책을 제정하기 위해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실망스럽다”라고 밝혔다. 틱톡 측은 미국 내 이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에 보낸 일이 없다고 주장해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미국 정치권에서는 중국산 전산 설비와 소프트웨어 등이 중요한 정보를 빼내 가거나, 불법 전산망 공격을 단행할 우려를 꾸준히 제기해왔다.

지난 2020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틱톡과 또 다른 중국 소셜미디어인 '위챗'의 모회사가 미국인이나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게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각각 서명했다. 따라서 미국인들이 이들 앱을 다운로드, 즉 내려받기 하지 못하도록 했으나 일련의 법정 다툼에서 정부가 패했다.

한편 미 국방부는 안보 위협에 따라 지난 2019년 12월 31일, 군용 기기에서 틱톡 사용 금지령을 내린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상무부에 틱톡으로 인한 보안 문제를 검토하도록 지시했습다. 현재 의회에서도 틱톡 규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반면 틱톡의 위험성이 과장됐다고 보는 전문가도 있다. 안보 전문가인 제임스 루이스 전 대사는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논평에서 중국 정부가 틱톡 사용자의 비공개 데이터에 접근하여 얻을 수 있는 이익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 |
  1. tick.jpg (File Size:10.3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75 미국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블랙닷 캠페인 KoreaTimesTexas 16.09.11.
2874 미국 '미국판 꽃할배' 실망..지나친 연출과 억지 file 뉴스로_USA 16.09.12.
2873 미국 클린턴 건강이상설 9.11행사 도중 졸도? file 뉴스로_USA 16.09.12.
2872 미국 “15초전의 일 같아” 살아있는 자의 아픔 file 뉴스로_USA 16.09.12.
2871 미국 [움직이는 카드뉴스] 등심이 영어로 뭐지? file KoreaTimesTexas 16.09.15.
2870 미국 웰스파고, 유령계좌 스캔들로 ‘휘청’ 코리아위클리.. 16.09.16.
2869 미국 수영황제 펠프스로 부항 인식 치솟아 코리아위클리.. 16.09.16.
2868 미국 공동지원서, 올해부터 온라인으로만 접수 file 코리아위클리.. 16.09.16.
2867 미국 플로리다 남부 카운티들, 모기 살충제 공중 살포 코리아위클리.. 16.09.16.
2866 미국 플로리다에서 `내집 장만’ 어려운 곳은 마이애미 코리아위클리.. 16.09.16.
2865 미국 "트럼프는 싫고, 클린턴도 맘에 안 들고” 코리아위클리.. 16.09.16.
2864 미국 뉴욕한인회관인근 사제폭탄? 29명 부상 file 뉴스로_USA 16.09.18.
2863 미국 뉴저지에서 또 폭발물 발견… 사흘동안 3건 발생 file KoreaTimesTexas 16.09.20.
2862 미국 뉴욕 뉴저지 폭발사건 용의자 ‘체포’ file KoreaTimesTexas 16.09.20.
2861 미국 한미일, 암(癌) 종식 공조 file 뉴스로_USA 16.09.22.
2860 미국 좋은 음식도 때론 해롭다 코리아위클리.. 16.09.23.
2859 미국 플로리다 3개 주요 도시, 가계소득 전국 ‘최저’ 코리아위클리.. 16.09.23.
2858 미국 ‘체외 기생충’ 모기, 20미터 밖에서도 냄새 감지 코리아위클리.. 16.09.23.
2857 미국 마이애미대학-플로리다대학, 전국 랭킹 ‘엎치락 뒤치락’ 코리아위클리.. 16.09.23.
2856 미국 10년전 미국 주택시장 파동 이후 현주소는? 코리아위클리.. 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