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계 압도적 우위, 동성애 관련 법 등에도 영향 미칠 듯

 

court.jpg
▲ 연방 대법원의 새로운 회기에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사안은 대입 ‘소수계 우대 정책’의 합법성에 관련한 소송이다. 사진은 미국 수도 워싱턴 DC에 있는 연방 대법원 전경.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지난해 대법원에 큰 변화가 있었다. 바이든 대통령이 커탄지 브라운 잭슨 판사를 대법관으로 임명, 미국 최초로 흑인 여성이 대법관이 되었다. 미국 사회에서 가장 첨예하게 의견이 갈리는 사안인 여성의 낙태권과 관련한 판결도 나왔다.

올해 2023년에도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는 주요 사안들에 대한 판결이 나올 예정이다.

대법원의 회기는 10월 첫 번째 월요일에 시작해서 이듬해 6월 말이나 7월 초에 주요 소송에 대한 판결을 내린 후 여름 휴회에 들어간다. 따라서 대법원은 작년 10월 3일에 2022-23회기를 시작했다.

대법원은 새로운 회기가 시작된 지난 2개월 동안 대입 차별 철폐 조치와 선거구 재조정, 동성애자 권리와 표현의 자유 간 대립 소송, 그리고 헌법 해석 등과 관련한 구두변론을 들었다.

우선 사회적으로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사안은 대입 ‘소수계 우대 정책(affirmative action)’의 합법성에 관련한 소송이다. 소수계 우대 정책은 대학 입시나 직장 채용 등에서 소수 인종이나 사회적 소수자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으로, 주로 흑인이나 중남미계가 우대 대상이다.

대학 입학의 경우, 대체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백인들과 달리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교육의 기회를 쉽게 접할 수 없는 유색 인종들을 배려해 나온 것으로, 하버드 외에 미국 각지 유명 대학들이 입학 사정에 적용해왔다.

그런데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들(SFA: Students for Fair Admissions)’이라는 단체가 대학 신입생을 선발할 때 해당 정책을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하버드대학과 노스캐롤라이나대학을 상대로 각각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대입 시 소수계 우대 정책을 적용하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보는 근거는 소수계 우대 정책이 역차별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SFA 측은 지난 2014년, 해당 정책으로 흑인과 중남미계 학생들은 입학에 혜택을 받았지만, 아시아계 학생들이 피해를 봤다며 하버드대를 제소했다. 노스캐롤라이나대에 대해서는 백인과 아시아계 지원자들이 입시에서 차별받고 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작년 10월 31일 대법원에서 열린 첫 구두변론에서는 소수계 우대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분위기가 감지됐다. 현재 대법관 9명 가운데 보수 성향 대법관이 6명, 진보 성향이 3명으로 보수 우위를 보이고 있다. 보수 성향 판사들은 앞서 나온 소수계 우대 판례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소수계 우대 정책을 허용한 판례가 영원히 유지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난 2016년 대법원은 백인 여학생이 소수계 우대 정책 때문에 입시에서 떨어졌다며 텍사스대학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4 대 3으로 소수계 우대 정책을 유지하는 결정을 내렸었다. 하지만 이후 연방 대법원이 보수 우위의 지형으로 바뀌면서 새 판결이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심이 쏠리고 있는 또 다른 사안은 동성애 관련 법이다.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동성 커플의 결혼을 위한 웹사이트 제작을 거부한 웹디자이너 로리 스미스가 제기한 소송으로,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스미스는 콜로라도주의 차별금지법이 자신의 종교적 견해와 대치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강요하면서, 수정헌법 1조가 보장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작년 12월 초에 있었던 구두변론에서 보수 성향의 대법관들은 스미스에게 우호적인 모습을 보였다. 몇 년 전에도 대법원에서 비슷한 소송이 다뤄졌다. 콜로라도주의 한 케이크 가게 주인이 동성 커플의 결혼 케이크 제작을 거부했다가 소송을 당한 사례였는데, 지난 2018년 대법원은 케이크 가게 주인에게 부분 승소 결정을 내렸다.

당시 대법원은 헌법에 보장된 종교적 자유에 따라 동성 커플의 케이크 제작을 거부할 수 있는지는 따지지 않았고, 가게 주인이 콜로라도주의 차별금지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만 판결했다.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소송 2건도 대법원에 올라가 있다. 앨라배마주 선거구 조정 계획과 관련해 유권자 단체들은 공화당이 장악한 주 의회가 흑인 유권자들을 한 선거구에 몰아넣으면서 투표권법을 위반했다고 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가 새로 획정한 선거구를 민주당 성향의 주 대법원이 다시 짜도록 명령하면서 연방 대법원에까지 올라오게 됐다. 선거구 획정은 앞으로 선거가 진행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다. 
  • |
  1. court (2).jpg (File Size:128.7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5 미국 대선 좌절 루비오, 상원의원 재도전 첫 관문 넘어 코리아위클리.. 16.09.10.
374 미국 대학 동아리 가입 장단점 따져 봐야 코리아위클리.. 16.09.10.
373 미국 9월은 ‘콜레스테롤 교육의 달’, 수치 검사 받아야 코리아위클리.. 16.09.10.
372 미국 다문화어린이 ‘레인보우 합창단’ 유엔 무대 file 뉴스로_USA 16.09.08.
371 미국 한진해운, 세계 물류대란 ‘줄소송’ 우려 file 뉴스로_USA 16.09.05.
370 미국 “만리장성이 한반도까지?” 美 폴게티미술관 지도 파문 file 뉴스로_USA 16.08.30.
369 미국 미주공관 싸드배치 백악관청원 한인단체 독려 들통 file 뉴스로_USA 16.08.28.
368 미국 ‘플로리다 샘물’, 디즈니 이전에 최고의 관광 아이콘 코리아위클리.. 16.08.27.
367 미국 지역 모기에 의한 지카 바이러스 감염 확장세 코리아위클리.. 16.08.27.
366 미국 테마공원의 도시 비집고 들어온 레고랜드 ‘호황세’ 코리아위클리.. 16.08.27.
365 미국 여름 마감, 가을의 문턱 '노동절'이 왔다 코리아위클리.. 16.08.27.
364 미국 潘총장, 함마슐트 전 UN총장 死因 추가조사 방침 file 뉴스로_USA 16.08.26.
363 미국 기발한 ‘윌 유 메리 미?’ 청혼 방식 코리아위클리.. 16.08.22.
362 미국 플로리다 버추얼 스쿨은 미국 온라인 교육의 선구자 코리아위클리.. 16.08.19.
361 미국 찜통 더위 여름철, 민물 물놀이 조심하세요 코리아위클리.. 16.08.19.
360 미국 임파선은 신체 방어전선 코리아위클리.. 16.08.19.
359 미국 ‘벌거벗은 트럼프’가 ‘내시’인 까닭 file 뉴스로_USA 16.08.19.
358 미국 ‘세이프 헤븐 법’ 시행 16년… 신생아 유기 ‘여전’ 코리아위클리.. 16.08.13.
357 미국 플로리다 모기 지카 감염 일단 진정... 감염지 안정 되찾아 코리아위클리.. 16.08.13.
356 미국 세인트 어거스틴 관광, 카스틸로 데 산 마르코스 요새가 ‘으뜸’ 코리아위클리.. 16.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