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라 김 교육칼럼] 5개 에세이 문제는 3년간 거의 변화 없어

여름 방학이 쏜살같이 지나가고 이제 대학입시를 앞두고 있는 학생들이나 부모님들은 대학 지원에 있어서 무엇을 먼저 해야 할 지 조급한 마음이 들기 시작할 것입니다. 대학 지원에 있어서 가장 자주 언급하는 용어 중에 하나가 있다면 “공동지원서”입니다.

공동 지원서(Common Application)는 대학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같은 정보를 지원하는 학교마다 반복해서 기입해야 하는 불편을 막기 위해서 거의 모든 학교에서 공통으로 요구하는 정보들을 한 양식에 기입하고 그 양식을 지원하는 학교에 보내게 되어 있는 시스템입니다.

1975년에 15개 사립 학교들을 멤버로 해서 시작된 제도인데 이제는 400학교가 넘는 대학에서 이 공동 지원서 양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아직도 특히 주립대학 같은 곳이나 미술 대학과 같은 곳은 각 학교 고유의 지원서 양식을 고수하고 있지만 그런 대학들도 지난 몇 년 동안 이 공동 지원서를 많이 채택해 왔습니다.

이미 지난 8월1일 새로 오픈한 공동 지원서는 2013년에 에세이 섹션이 변화가 있었고 올해에도 조금씩 바뀐 부분들이 눈에 띕니다.

전에는 지원서가 다운 받을 수 있는 페이퍼 양식이 있었는데 이제는 온라인으로만 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공동 지원서에는 기본적인 인적사항, 가족 사항, 재학 학교에 대한 정보, 방과후 활동에 대한 정보, 희망 전공등에 대해 적게 되어있으며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시 에세이입니다.

지난 3년간 거의 변화가 없었고 올해도 그대로인 공동 지원서의 다섯 가지 에세이 문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어떤 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있어서 너무도 중요한 어떤 배경이나 스토리가 있어서 그것 없이는 지원서가 불완전하게 될 그런 스토리가 있다. 당신이 그런 학생 중에 하나라면 그 스토리를 적어보라

2) 실패를 경험했던 사건이나 시간을 적고 학생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거기서 얻은 교훈은 무엇인가

3) 어떤 믿음이나 사고에 도전했던 때가 있는가? 계기가 된 것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같은 결정을 내리겠는가?

4) 완전한 만족감을 느끼는 장소나 환경이 있다면 거기에서 무얼하고, 무얼 경험하고 또 왜 그렇게 그 환경이 의미가 있는지 적어보라

5) 학생의 문화, 커뮤니티 혹은 가정내에서 학생이 유아기에서 성인으로 변화되는 사건 혹은 업적이 있었는가?

질문하는 방식이나 어휘는 어떨지라도 결국 이 문제들을 통해서 학생이 어떤 일을 성취했는지에 촛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고 학생이 어떤 생각을 하고 사물과 문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반응하는지, 학생의 가치나 윤리 체계는 어떠한지를 대학측에서 알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모든 학생을 인터뷰하면서 알아볼 수 없으므로 학생이 어떤 사람인지, 무엇에 열정을 가지고 있는지, 인생의 목표를 어떻게 잡고 있는지를 에세이를 통해서 알게 되므로 에세이는 공동지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최대 650자로 쓰게 되어 있는데 그 한도내에서 간결하고 문법적 오류가 없게 18년 인생을 잘 다듬어서 표현해야 하겠습니다.

여름 방학에 이미 에세이 초안을 잡아 놓고 마무리 단계에 있는 학생들도 있겠지aks 마지막까지 기다리고 미루는 학생들이 많은 것을 압니다. 특히, 조기 지원을 할 학생들이라면 빠르면 10월 1일, 늦어도 11월 1일이 마감일이므로 서둘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정보들이라 하더라도 학생들이 기입하기에 애매한 부분들도 있고 생각과 계획을 요하는 질문들도 있으므로 미리부터 서둘러서 꼼꼼하게 해야 합니다. 아직 공동 지원서 어카운트를 오픈하지 않은 학생이 있다면 http://commonapp.org/에 가서 어카운트를 만드는 일을 시작으로 대학 입학 원서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상담 그룹, www.angelaconsulting.com
  • |
  1. angela.jpg (File Size:7.9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5 미국 찬반 묻는 플로리다 헌법개정안, 모두 문턱서 좌절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394 미국 21년째 미완성 올랜도 ‘머제스티 빌딩’... 언제 끝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393 미국 이웃집 나무가 우리집에 피해, 책임은 누구에게?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392 미국 미국, 석유 300만 배럴 구입 저장고 추가 file 라이프프라자 22.12.17.
391 미국 엘런 재무 "내년 말까지 인플레이션 대폭 낮아질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90 미국 미 하원도 동성결혼 보호 '결혼 존중법안' 무사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9 미국 미국 주정부들, 중국 동영상 공유 앱 '틱톡' 규제 본격화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8 미국 올랜도시, 도심지 밤 규제 위해 식당-바-나이트클럽 '구분'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7 미국 올해 허리케인, 200년 묻혀있던 난파선 드러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6 미국 교통법규 위반 탬파경찰서장, 배지 내보이며 '보내달라'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5 미국 지방정부 무신론자 기도에 기독교 신자 대응 기도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4 미국 탬파는 탬파, '탬파베이'가 아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383 미국 미국 공항 총기 적발 건수 역대 최다, 한해 6300정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82 미국 바이든 행정부, 2025년까지 노숙자 25% 줄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81 미국 플로리다, 재산보험 해결 위해 보험사에 자금 투여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80 미국 플로리다 유도로 이료용 운전자에 50% 요금 감면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79 미국 올도 주택판매 4년여 만에 최저치... 숙어든 부동산 열기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78 미국 허리케인 복구작업하던 인부 악어에 팔 물려 중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77 미국 올랜도 선교단체 목사, 코로나 지원금 사기 혐의로 체포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376 미국 올해 미국인구 120만명 증가... 총인구 3억3320만명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