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스턴, 6년 연속 1위 뉴스>
 
um.jpg
▲ 마이애미대학이 올해 대학 평가에서 44위를 기록, 플로리다대학에 한발 앞섰다. 사진은 대학 웹사이트 화면 모습. ⓒ welcom.miami.edu 뉴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마이애미대학(UM)과 플로리다대학(UF)이 올해 공.사립을 합한 전국 대학랭킹에서 50위 안에 들었다. '톱 공립대학' 부문에서도 두 대학은 지난해 보다 더 높은 순위에 올랐다.

연례적으로 미국내 대학들을 평가해 온 <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 >(이하 US뉴스)가 최근 발표한 '베스트 칼리지 2017' 종합대학 부문에서 사립 마이애미대학은 44위(다른 6개 대학 공동 순위)를 차지했다.

2년전 플로리다대학(UF)과 공동 48위를 차지했던 마이애미대학은 지난 해 51위를 기록, 50위권 밖으로 밀려났으나 올해 재진입했다. 마이애미대학은 2011년에는 38위까지 올라가기도 했으나 이후 점차 떨어졌다. 학교 측은 학생들의 졸업률과 기금 모금 요소가 순위하락에 영향을 미쳤음을 간접적으로 내비친 바 있다.

플로리다대학은 한동안 50위권 밖으로 밀려났으나 2013에 재진입했고, 올해는 50위에 턱걸이를 했다. 플로리다대학은 전국 주립대학 순위에서는 14위를 차지했다.

2013년에 사상 처음으로 100위권에 진입한 텔러해시 소재 플로리다주립대(FSU)는 지난해 96위에서 올해는 92위로 상승했다.

탬파 소재 사우스플로리다대학(USF)은 지난해 156위에서 올해 159위로, 멜본 소재 플로리다 기술대학(FIT)은 161에서 171위, 올랜도의 센트럴플로리다대학(UCF)은 지난해 168위에서 올해 176위로 모두 조금씩 뒤로 물러났다.

포트로더데일 소재 노바사우스이스턴 대학은 214위를 기록, 총 310개 순위 대학군에 속했다. 이밖에 베리대학, 플로리다A&M대학, 플로리다애틀랜틱대학(FAU), 플로리다인터내셔널대학(FIU), 웨스트플로리다대학(UWF) 등은 순위가 별도로 매겨지지 않는 2군 대학(second-tier)에 올랐다.

사라소타 소재 소규모 학교인 뉴 칼리지(New College)는 인문학, 사회과학 등 학부 중심 4년제 대학(리버럴아츠) 순위에서 전국 90위, 에커드 칼리지(Eckerd College)는 전국 122위를 기록했다. 이중 뉴 칼리지는 12년 연속 전국 공립 리버럴아츠 칼리지 ‘탑6’에 이름을 올렸다.

는 같은 순위 학교가 여럿일 경우 학교 숫자 만큼 건너 뛴 다음 순위를 매긴다. 가령 6개 학교가 같은 점수로 44위를 기록했을 경우 다음 순위는 50위다.

올랜도 소재 롤린스 대학, 남부지역 대학 순위서 2위

는 학사와 소수 석사과정이 있는 중소 대학을 동부, 서부, 북부, 남부 그리고 유니버시티와 칼리지로 나누어 각각 순위를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남부 유니버시티 부문 1위였던 올랜도 소재 롤린스 칼리지는 올해는 2위, 올랜도 북부 디랜드에 위치한 스텟슨 칼리지는 지난해와 같은 5위를 기록했다. 탬파대학은 21위이다. 남부 칼리지 부문에서는 플래글러 칼리지가 2위에 올랐다.

한편 는 프린스턴대학을 6년 연속 미국 최고의 대학으로 선정했다. 이어 하버드대학이 2위, 예일대•시카고대(공동 3위), 컬럼비아대•스탠퍼드대(공동 5위), 매사추세츠공과대학(7위) 순이었다.

학부 중심 대학분야에서는 매사추세츠주의 윌리엄스 칼리지가 1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는 미국 1800개 대학을 대상으로 입학 성적과 지원 경쟁률, 평판, 졸업률, 교수 자원, 학생 1인당 교육 지출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983년부터 연례 대학 순위를 발표해오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지닌 교육을 순위로 평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대학 선정시 학생이나 학부모들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다며 비판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위는 일정 부분 대입 가이드 역할을 해오고 있어 대학측으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부 명문대학이 종종 SAT 성적을 부풀린 사례들은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뉴스>뉴스>뉴스>뉴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5 미국 할로윈에 나이든 청소년 참여하면 '징역형'?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14 미국 미 연방대법, 대입 소수계 우대정책 합법성 심리 개시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13 미국 신용 점수 높이기 위해선 인내가 필요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12 미국 올해 플로리다주 유권자 찬반 묻는 헌법개정안은?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11 미국 허리케인 이언 후 중고차 구입, 침수 차량 여부 확인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10 미국 14세 소년 추락사고 부른 올랜도 프리폴 철거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09 미국 42년만에 최대폭 오른 소셜연금, 인플레이션 따라 잡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08 미국 플로리다 전역에 유대인 혐오 메시지...주요 정치인들 격분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407 미국 트럼프, 2024 대선 출마 공식 선언 file YTN_애틀란타 22.11.17.
406 미국 플로리다 새 오마이크론 하위 변종 증가… 사망-입원률은 하향세 file 코리아위클리.. 22.11.21.
405 미국 플로리다 반도 항진 3가지 폭풍, 어떻게 다르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11.21.
404 미국 플로리다 주택 소유자들, 시장 둔화에도 여전히 큰 이득 file 코리아위클리.. 22.11.21.
403 미국 '부동산 핫스팟' 탬파베이 주택시장도 열기 시들어 file 코리아위클리.. 22.11.21.
402 미국 19세 플로리다 청년, 올해 비단뱀 사냥대회 대상 받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1.21.
401 미국 중간선거 의외로 선전한 민주당, 플로리다에선 안 통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1.21.
400 미국 미국 낙태 여성 반수 이상 임신 중절약 사용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6.
399 미국 미국내 겨울 독감 극성… 11월 중순까지 3천명 사망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6.
398 미국 이젠 미국서 처방전 없이 보청기 구매 가능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6.
397 미국 디즈니월드 12월8일부터 입장료 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396 미국 올랜도 주택시장, 느리지만 안정적 시장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