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국민 더큰 고통에 빠뜨리는 행위 피해야"

 

뉴욕=임지환기자 newsroh@gmail.com

 

 

649549.jpg

 

 

미국은 7일 새벽 시리아 북서부 공군 기지에 토마호크 미사일 59발을 발사한 가운데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성명을 통해 자제(自制)를 호소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7일 성명에서 “시리아 칸샤이쿤 지역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된 것은 증오스런 일이지만 이러한 범죄는 국제사회 규범과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 따라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면서 “미국의 시리아 군 비행장에 대한 공습(空襲)으로 사태가 악화되고 시리아 국민들의 고통이 가중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너무 오랫동안 시리아 내전에서는 국제법이 무시됐다. 인도주의에 대한 국제 기준을 지지하는 게 우리가 공유해야 할 임무다. 그리고 이것은 시리아 주민의 고통을 끝내는 데 필요한 첫 번째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유엔 정치담당국장 제프리 펠트만도 “시리아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즉각적인 행동이 필요하지만 어디까지나 유엔과 국제법의 원칙에 근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러시아의 요청으로 이날 국제시리아지원그룹(ISSG) 휴전 태스크포스 회의가 시작돼 시리아 사태의 해법이 마련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2015년 오스트리아 빈 협상 결과로 출범한 ISSG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시리아 사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임시 조직이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Secretary-General's statement on Syria

 

I continue to follow the situation in Syria closely and with grave concern.

 

I was abhorred by the chemical weapons attack in Khan Shaykhun, Syria, and the death and injury of many innocent civilians.

 

I have long stated that there needs to be accountability for such crimes, in line with existing international norms and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 have been following reports of the air strikes against the Shayrat Airbase in Syria conducted by the United States.

 

Mindful of the risk of escalation, I appeal for restraint to avoid any acts that could deepen the suffering of the Syrian people.

 

These events underscore my belief that there is no other way to solve the conflict than through a political solution. I call on the parties to urgently renew their commitment to making progress in the Geneva talks.

 

A political solution also remains essential for progress in the fight against terrorism.

 

The Security Council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I call on the Council to unite and exercise that responsibility.

 

For too long, international law has been ignored in the Syrian conflict, and it is our shared duty to uphold international standards of humanity. This is a prerequisite to ending the unrelenting suffering of the people of Syria.

 

New York, 7 April 2017

 

  • |
  1. 649549.jpg (File Size:59.7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 미국 히스패닉 커뮤니티가 기념하는 '삼왕의 날'이란?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8.
674 미국 플로리다 대형학군, 금속탐지기로 학생 소지물 검사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8.
673 미국 오미크론 확산, 사무실 복귀 시점 늦추는 기업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9.
672 미국 무료 코로나 자가 검사 키트 19일부터 주문 받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71 미국 미 연방 대법, 민간 기업 백신 의무화 조치에 제동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70 미국 쉽게 풀리지 않는 식료품 부족 현상, 언제까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69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민 2명, 연방 의사당 난입 음모 혐의로 기소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68 미국 올랜도에 세계 최고 높이 스릴 기구들 '쑥쑥'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6.
667 미국 중앙플로리다 아파트 임대료 1년만에 19% 상승 코리아위클리.. 22.01.26.
666 미국 미국 암 사망률, 30년 동안 32% 줄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7.
665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 개원, '드샌티스 의제' 주로 다뤄질 듯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7.
664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감염속도 전미 5위에서 11위로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8.
663 미국 소득은 '거북이', 주택가격은 '토끼뜀'... 임대가 낫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8.
662 미국 바이든 취임 1주년 기자회견 "기대 뛰어넘은 진전" 자평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1.
661 미국 올랜도 주택가격 지난해 17% 올라, 중위 가격 31만달러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60 미국 파우치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 2월이 피크" 예측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9 미국 "연준, 인플레이션으로 네 차례 이상 기준금리 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8 미국 미국 비이민 비자 신청 수수료 대폭 오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7 미국 플로리다 상어 공격 28건, '수도' 자리 재탈환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6 미국 지난해 미국 경제성장률 5.7%, 37년 만에 가장 큰 폭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