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0대 여성 아나운서, 황반변성 진단 받아 관심 급증

(올랜도) 최정희 기자 = 4월은 '여성 눈 건강 자각의 달(Women's Eye Health and Safety Month)' 이다.

눈은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노화, 각종 질환 증상을 나타내지만 요즘은 텔레비전, 컴퓨터 등의 일반화로 시력 감퇴나 안구 건조증 등 안과 질환이 예전보다 빈번해 지고 있다. 건강한 눈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눈의 기능이 나빠질 경우, 시력이 저하되거나, 야맹증 또는 안구건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야맹증이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갈 때 적응을 하지 못하거나, 희미한 불빛 아래 또는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분간하기가 어려운 증상을 말한다.

안구건조증은 눈의 점액 생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안구표면이 손상되고 눈이 시리고,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 등 자극증상을 느끼게 되는 질환이다.

개인차가 있지만 40세 이후가 되면 가까운 곳이 잘 안 보이는 노안 증상 및 황반변형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은 노인성 망막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40대인 국내 여성 방송인 김성주씨가 이 질환 진단을 받았다고 털어놓아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녹내장이나 백내장 등 노인성 안질환은 그동안 여러 경로를 통해 잘 알려져 있지만 황반변성은 이에 비하면 다소 생소한 안질환이다.

그러나 국내외 뉴스나 인터넷 자료를 살펴보면 황반변성 발병이 증가일로에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놀라운 것은 미국 등 서구에서 65세 이상 인구의 첫 번째 실명 원인이 황반변성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약 140만 명의 노년 황반변성 환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약 8백만 명이 노년 황반변성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에 속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황반변성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1년 8만6853명, 2012년 9만9491명, 2013년 10만2211명, 2014년 10만4686명, 2015년 12만9650명으로 계속 증가 추세이다.

선이 굽어져 보이는 현상이 초기 자각증상
 

eye.jpg

 

그렇다면 황반변성이란 어떤 질환일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일 지라도 눈의 구조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눈에 대한 각종 건강 정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눈의 구조는 공막(흰자위막), 포도막(혈관막), 망막으로 이루어졌는데, 공막은 안구의 가장 바깥층이며, 포도막은 가운데 위치한 층이다.

망막은 시세포가 있어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감지하며 망막 중 빛이 직접 도달하는 노란 빛을 띈 부분을 황반이라 한다. 이 황반의 시신경이 외부 자극이나 퇴행성 변화로 손상돼 시력이 악화되는 것이 바로 황반변성이다.

노년 황반변성의 초기에는 글자나 직선이 흔들려 보이거나 굽어져 보이고 가까운 물체가 비틀어져 보인다. 즉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테니스장의 선, 자동차 등이 선이 굽어져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 증상이 지나면 곧 시력이 저하되고 단어를 읽을 때 글자의 공백이 보이거나 그림을 볼 때 어느 부분이 지워진 것처럼 보이지 않게 된다.

대한안과학회 자료에 따르면, 노년 황반변성의 종류는 건성과 습성으로 나뉜다. 건성은 황반세포의 점진적 파괴로 중심시력이 점차적으로 뿌옇게 변하는데 습성에 비하여 시력저하 현상이나 중심시야의 결손은 두드러지지 않고 천천히 진행된다.

반면 습성은 비정상적인 맥락막 신생혈관의 발생에 의해 출혈이 생기거나 각종 삼출물 등이 고이게 되어 급작스러운 시력 감소를 가져온다. 특히 이러한 신생혈관은 계속 성장하며 심한 흉터를 황반부에 남기게 돼 영구적 시력 소실을 유발하기 때문에 건성형 보다 발병 확률은 대폭 낮지만 결과는 더 위험할 수 있다.

무엇보다 황반변성의 초기에는 주관적인 증상이 거의 없고 시력장애가 시작되면 이전의 시력을 회복할 수 없어 병에 대한 이해와 정기적 안과검사를 통해 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병원인은 정확하지 않지만 노화, 유전적 소인, 자외선, 혈압, 흡연 등이 거론되고 있다. (대한안과학회 자료, 건강 뉴스 등 참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 미국 히스패닉 커뮤니티가 기념하는 '삼왕의 날'이란?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8.
674 미국 플로리다 대형학군, 금속탐지기로 학생 소지물 검사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8.
673 미국 오미크론 확산, 사무실 복귀 시점 늦추는 기업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19.
672 미국 무료 코로나 자가 검사 키트 19일부터 주문 받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71 미국 미 연방 대법, 민간 기업 백신 의무화 조치에 제동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70 미국 쉽게 풀리지 않는 식료품 부족 현상, 언제까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69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민 2명, 연방 의사당 난입 음모 혐의로 기소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668 미국 올랜도에 세계 최고 높이 스릴 기구들 '쑥쑥'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6.
667 미국 중앙플로리다 아파트 임대료 1년만에 19% 상승 코리아위클리.. 22.01.26.
666 미국 미국 암 사망률, 30년 동안 32% 줄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7.
665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 개원, '드샌티스 의제' 주로 다뤄질 듯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7.
664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감염속도 전미 5위에서 11위로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8.
663 미국 소득은 '거북이', 주택가격은 '토끼뜀'... 임대가 낫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8.
662 미국 바이든 취임 1주년 기자회견 "기대 뛰어넘은 진전" 자평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1.
661 미국 올랜도 주택가격 지난해 17% 올라, 중위 가격 31만달러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60 미국 파우치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 2월이 피크" 예측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9 미국 "연준, 인플레이션으로 네 차례 이상 기준금리 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8 미국 미국 비이민 비자 신청 수수료 대폭 오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7 미국 플로리다 상어 공격 28건, '수도' 자리 재탈환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6.
656 미국 지난해 미국 경제성장률 5.7%, 37년 만에 가장 큰 폭 file 코리아위클리.. 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