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 앞 광장 수만 명 모여 대규모 집회, 평화적 행진 진행 … 총기 소지 옹호자들 맞불 집회 강행

 

 

시위1.jpg

지난 24일(토) 달라스 시청 앞 광장에는 수천 명이 모여 강력한 총기 규제 입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와 함께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의 맞불 집회도 열렸다. 
지난 2월 17명의 목숨을 앗아간 플로리다 더글라스 고교 총격사건 생존 학생들이 주도한 총기규제를 위한 행사가 24일(토) 워싱턴을 비롯한 미 전역에서 일제히 열렸다. 

‘우리의 생명을 위한 행진’(March For Our Lives)을 목적으로 한 한 이 행사에는 초·중·고교생은 물론 교사, 학부모 등이 참석해 총기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한 시민들의 바람을 보여줬다.

달라스 시청 앞 광장에서도 지난 24일(토) 강력한 총기 규제법의 입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이번 집회는 달라스 시청을 시작으로 오는 5월 5일(토) 전미 총기 협회(NRA)의 연례 회의가 예정된 달라스 다운타운의 케이 베일리 허치슨 컨벤션 센터(Kay Bailey Hutchison Convention Center)까지 행진하고 다시 시청 앞 광장으로 모여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학생 및 학부모를 비롯한 수만 명의 시민들이 모인 이번 집회에서 참여자들은 ‘총알이 아닌 책’(Books not bullets), ‘이것이 민주주의다’(This is what democracy looks like), ‘이 정도면 충분하다’(Enough is enough),  ‘NRA 폐지를 위해 투표하라’(Vote Them Out) 등의 구호를 외치며 엄격한 총기 규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학교 총격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등장하는 ‘AR-15’을 비롯한 공격용 자동 소총의 판매 금지와 총기 구매 시 신원 조회를 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주장했다. 

주말을 맞아 7살 딸과 함께 집회에 참석한 이지퀠 산도발(Ezequiel Sandoval) 씨는 “’AR-15’과 같은 공격용 소총은 판매가 금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안전을 위해 총기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공격용 소총들은 전쟁에서나 필요한 살상 무기”라 말하며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총기 소지의 전면 금지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 

이번 집회에서는 오는 11월에 있을 중간선거에서 젊은 유권자들을 모으기 위한 유권자 등록도 이뤄졌다. 

유권자 등록을 통해 총기구매자 신원조회 강화, 공격용 무기 및 대용량 탄창 판매 금지 등과 같은 엄격한 총기 규제법을 입법시키기  위해 더 많은 유권자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번 집회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에슐리 콜럼비(Ashley Coulombe) 씨는 “총기 규제를 반대하는 정치인들에게 유권자가 가진 힘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하며 “교사들이 총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총격 사건을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투표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며 유권자 등록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집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의 반대 시위가 진행돼 총기 규제를 찬성하는 시민들과의 첨예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은 ‘수정헌법 2조’(Second Amendment)라고 쓰인 팻말을 들고 개인의 총기 소지는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시위자는 “모든 사람은 총기를 가질 권리가 있다”고 말하며 “이 권리는 어느 누구도 침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총기 사고를 막기 위해 개인의 총기 소유를 박탈하는 것은 헌법에 위배되는 것”이라 피력했다.  

두 시위대의 논쟁은 30여 분간 지속됐으며 무력 충돌로는 번지지 않았다. 

5,000여 명 이상이 달라스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가운데, 포트워스, 어스틴 등 텍사스 주요 도시에서도 같은 날 집회가 열렸다. 

텍사스 뿐 아니라 워싱턴 DC를 비롯한 같은 날 800여 개 도시에서도 집회가 열렸다. 이번 집회에 주최측은 워싱턴 DC에 80여 만 명의 시민들이 참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수치는 베트남 참전 반대 시위가 일어났을 때 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결과다.  

대규모 집회.jpg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시청 앞 광장을 출발해 전미 총기 연합회의 연례회의가 예정된 케이 베일리 허치슨 센터를 돌아 다시 광장으로 돌아오는 행진을 진행했다. 

시위4.jpg

 

시청.jpg

 

전지호 기자  press4@newskorea.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5 미국 주 교육국장 "플로리다 공립학교 8월에 정상 개학해야" 코리아위클리.. 20.07.24.
1214 미국 디즈니 월드 테마파크, 코로나19 폭증 불구 문 열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7.24.
1213 미국 신종 코로나 여파, 교도소 수감자 10만명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20.07.24.
1212 미국 미 군사시설서 '인종파별' 상징 남부연합기 철거 file 코리아위클리.. 20.07.24.
1211 미국 연방 당국, 포틀랜드 시위 과잉 진압 논란 코리아위클리.. 20.07.24.
1210 미국 신종 코로나 여파, 교도소 수감자 10만명 줄었다 코리아위클리.. 20.07.24.
1209 미국 트럼프 대통령, 대선 결과 '불복' 가능성 시사 코리아위클리.. 20.07.24.
1208 미국 '낙뢰의 수도' 플로리다, 여름철 낙뢰사고 빈발 코리아위클리.. 20.07.24.
1207 미국 민간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 한국군 전용 통신위성 발사 file 코리아위클리.. 20.07.24.
1206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8월 21일 개학 예정 file 코리아위클리.. 20.07.24.
1205 미국 플로리다주 미성년, 코로나19 검사자 3명중 1명 확진 file 코리아위클리.. 20.07.24.
1204 미국 격화하는 인종차별 항의 시위... 폭력사태로 '얼룩'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1203 미국 '인종차별' 과거사 청산 대세에 콜럼버스 동상도 철거 코리아위클리.. 20.08.02.
1202 미국 잭슨빌 공화당 전당대회,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전격 취소 코리아위클리.. 20.08.02.
1201 미국 바이든의 러닝메이트 '흑인 여성 4명'은 누구?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1200 미국 신종 코로나 환자 3분의 1, 확진 수 주 후에도 증상 지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1199 미국 '선거의 계절'이 왔다... 8월 18일 플로리다주 예비선거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1198 미국 올랜도국제공항 확장-고속철 공사, 코로나19 틈 타 급진전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1197 미국 플로리다 동부 볼루시아 카운티, '상어 사고' 빈발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1196 미국 '대선 연기' 떠 본 트럼프, 반발 거세자 "없던 일로" 코리아위클리.. 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