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R, 주한 미군 철수에 대한 전문가들 찬반 의견 보도
 

npr news.jpg
미군철수 찬반 논쟁을 다룬 NPR방송 인터넷 판 5월 31일자,
 

(뉴욕=코리아위클리) 현송-박윤숙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미국 정치권 일각에서 주한미군 철수 혹은 감축설이 흘러나오고 있는 가운데, NPR 방송 인터넷 판이 지난달 31일 주한 미군 철수에 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보도한 것이 뒤늦게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군은 거의 70년 동안 한반도에 주둔해왔으나, 최근에 정치 논쟁의 원인이 되었다.

현재 한반도에 약 2만 8천 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으며,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의 절반에 해당하는 연간 약 8억 달러를 지출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이 말한다.

북한은 모든 핵 협상의 일환으로 미군이 철수하기를 원하고, 한국은 미국이 남아서 국방에 도움을 주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돈을 절약하기 위해 주둔군 숫자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NPR은 "전 세계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하는 강력한 군대를 만든 나라인 한국에 왜 미국은 아직도 군대를 주둔시켜야 하는가?"라고 질문을 제기한다.

첫 번째로 매티스 국방부 장관은 5월 초 “미군은 그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주둔한다. 미국민들이 이 목적에 헌신하고 있으며 동맹국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아시아 담당 고문이었던 빅터 차 씨는 "주한미군은 북한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일본 같은 동맹국들의 보호를 위해서 주둔하며 그 지역의 시장도 안정시켰다고"고 말하면서 매티스 장관의 입장을 지지했다.

NPR은 또한 전문가의 반대 입장도 보도했다.

레이건 대통령 집권 시 외교 문제 분석가로 일했던 더그 밴도우(Dug Bandow) 씨는 "주한미군의 주둔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주한미군은 한국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된 195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당시에는 약 32만7천 명의 미군이 주둔했다고 한다.

"오늘날 북한에 비교해 GDP는 45배 인구는 2배가 많은 한국이 북한을 충분히 저지하고 필요시 물리칠 수 있는 군대를 양성 못 할 이유가 없다고 밴도우 씨는 말했다.

또한 "주한미군이 한국의 방어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 않으며, 단지 한국이 한국군에 덜 지출하도록 기여할 뿐이다"라고 평가했다.

NPR은 미 대통령이 미군을 한국에서 철수하도록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며, 지미 카터 대통령이 1970년대에 비용 절감의 한 방법으로 주한미군 철수를 제안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5 미국 장례/결혼식 허용 인원 50명까지 늘어 - 장례 가족들에게 도움돼 CN드림 20.06.17.
1994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3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2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1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0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1989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988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987 미국 플로이드 사망 사건 항의시위 격화 일로... 야간 통금 불구 시위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3.
1986 미국 팬핸들 그레이튼 비치 주립공원, 올해 '청정비치' 1위에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5 미국 자동차 가솔린, 아침에 주유하면 더 효율적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4 미국 오렌지카운티, 스몰비즈니스와 가정에 보조금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3 미국 신종 코로나로 대형 소매업체-백화점 폐점.파산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2 미국 코로나 사망자 10만 명... 트럼프 "종교기관을 '필수업종'으로"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1 미국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각급 학교 등교 재개 지침 내놔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0 미국 트럼프 "신종 코로나 재확산 해도 봉쇄조치 없을 것" 코리아위클리.. 20.06.01.
1979 미국 부채에 허덕이는 앨버타 주민들 늘어 - 관광산업 비중 높을수록 타격 커 CN드림 20.06.01.
1978 미국 캐나다 국립공원 29곳 6월1일 재개장, 앨버타주 5개 국립공원 모두 포함- 낮에만 이용 가능 CN드림 20.06.01.
1977 미국 캐나다 부동산 판매량 줄어 - 4월 50% 이상 하락 CN드림 20.06.01.
1976 미국 앨버타 주민들, 외부 방문객 기꺼이 맞이하겠다 - 국경 폐쇄 빨리 끝나길 원해 CN드림 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