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를 찾기 힘들어 유방암 검사율이 낮아
유방암검사예약전화번호 1-800-663-9203
 
BC주의 한인 이민자 여성이 유방암에 걸린 위험성이 높은데, 제일 큰 이유가 바로 가정의를 찾기 힘들어 정기적으로 유방함 검사를 받는 비율이 캐나다 출생자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BC 암협회(BC Cancer)와 UBC 의대가 25일 발표한 최신 연구에 따르면, 특정지역 출신 여성 이민자들이 BC주에서 태어난 여성들에 비해 암 검사(유방X선 검사)를 받는 비율이 현격히 낮은 것으로 나왔다. 
 
이번 조사는 미국, 영국, 이란에서 온 여성 이민자를 제외한 나머지 53만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구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경우 암 검사(Screening mammography)를 받은 비율이 39%로 나타났다. 제일 낮은 그룹은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여성으로 33.9%를, 인도는 44.5%, 중국은 45.7%, 필리핀은 45.9%로 나타났다. 반면 비이민자는 51.2%로 절반이 넘었고, BC전체로 50.3%로 나타났다.
 
암협회의 의학연구책임자 라이안 우즈(Ryan Woods) 의학박사는 "전체 이민자 여성이 다 비이민자 여성보다 크게 유방암 검사를 받는 비율이 낮은 것은 아닌데 특정 지역 출신 이민자 여성은 크게 낮다"고 해석했다. 
 
바로 그 이유가 해당 국가 출신 여성들이 쉽게 가정의(family doctor)를 찾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우즈 박사는 정기적으로 가정의를 찾게 되면 유방암 검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민자 여성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유방암 검사를 받을 기회를 가질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설명이다.
 
40세에서 74세 사이의 여성은 BC주에서 의사의 처방없이 유방X선 검사를 받을 자격이 있다. 협회는 이에 따라 해당 연령대 여성들 중 어머니나 딸, 자매 중에 유방암에 걸린 가족력이 있으면 매년, 그렇지 않은 50-74세 여성은 2년에 한 번 유방X선 검사를 받도록 권고된다.
 
그런데 가정의를 정기적으로 만나느냐 여부가 유방암 검사를 받는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자주 가정의를 찾는 여성일수록 유방암 검사를 받아 보도록 권고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연구에서 한국과 중국 여성은 1년 동안 단 한 번도 가정의를 방문하지 않는 비율이 다른 여성 그룹들에 비해 높았다. 바로 이런 이유로 유방암 검사를 받을 기회도 갖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이를 입증하듯 비이민 여성은 고작 5%만이 가정의를 만나지 않았지만, 한국과 중국 이민자 여성의 15%가 가정의를 만나지도 않았다.
 
이번 조사에서 BC주의 유방암 검사 대상 연령대 여성 중 2년 기간 중 검사를 받은 비율은 52%로 목표율에 비해 크게 낮다나는 것이 자넷 샘 BC유방암검사 협회 대표의 지적이다. 
 
UBC의 교수이자 BC암협회의 부회장인 존 스피넬리 박사는 "문화적인 차이가 유방암 검사를 받는 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우즈 박사는 "1번 유방암 검사를 받으면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비율이 높아진다며, 어떻게 처음 효율적으로 쉽게 검사를 받도록 만드냐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평생 유방암에 걸리는 여성은 8명 중의 1명인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정기적인 유방암 검사가 조기 암 발견에 기여한다.
 
여성 유방암 검사 예약전화번호는 1-800-663-9203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5 캐나다 ‘경찰이다’ 문 열어줬다 폭한 당한 70대 독거노인 끝내 사망...용의자 2명 체포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5.
4094 캐나다 지난해 다운타운 보행자수 절반으로 줄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5.
4093 캐나다 퀘벡주 교사연합, COVID-19 우려로 인한 파업 찬성 file Hancatimes 21.02.04.
4092 캐나다 자유당 대표 "프랑스어 법률 강화는 영어권 커뮤니티와 함께 이뤄져야" Hancatimes 21.02.04.
4091 캐나다 르고 주총리, "몬트리올 지역, 8일 이후에도 방역 조치 연장 가능성 높아" Hancatimes 21.02.04.
4090 캐나다 트뤼도 총리, “빠른 시일내에 더 많은 여행 규제 시행” Hancatimes 21.02.04.
4089 캐나다 트뤼도 총리, 유럽연합 백신부족 아우성에도 “캐나다는 문제 없다” Hancatimes 21.02.04.
4088 캐나다 퀘벡주, 노숙자 통금면제에 대한 법원 판결 준수 할 것이라고 발표 Hancatimes 21.02.04.
4087 캐나다 퀘벡고등법원, 노숙자에 대한 통금 중단 명령 Hancatimes 21.02.04.
4086 캐나다 COVID-19 장기화로 인한 캐나다인들의 삶의 변화 Hancatimes 21.02.04.
4085 캐나다 퀘벡주, 2차 백신 접종시기는 여전히 오리무중 Hancatimes 21.02.04.
4084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계획: Le Panier Bleu Hancatimes 21.02.04.
4083 캐나다 몬트리올 보건국장, “COVID-19 사례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안정하긴 이르다” Hancatimes 21.02.04.
4082 캐나다 20만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COVID-19으로 인해 폐업위기 Hancatimes 21.02.04.
4081 캐나다 “24시간 내 비트코인 보내지 않으면 가족 살해” 괴편지 메트로밴에 나돌아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4.
4080 캐나다 ICBC 차 보험 가입자에게 영업이익 환불...평균 190달러씩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4.
4079 캐나다 유럽연합 “코로나 백신 캐나다 반출허가 이미 났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4.
4078 캐나다 코로나 사태 기간 은행간 E-Transfer 송금 사기피해 부쩍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3.
4077 캐나다 경찰 사칭하며 집에 들어와 78세 독거 여성 노인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3.
4076 캐나다 재외국민도 코로나19 백신 접종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