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13일(화) 투표로 결정

 

news_img1_1542136617.jpg

 

8시간에 걸친 논의 끝에 캘거리 시의회에서 캘거리 올림픽 유치 절차를 이어나가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제 캘거리에서 올림픽 유치 신청에 나설 지는 오는 11월 13일에 진행되는 시민 투표를 통해 판가름이 나게 됐다. 
당초 캘거리 올림픽 유치 위원회에서는 올림픽 유치에 총 52억이 소요되며, 이 중 30만불을 지자체와 주정부, 연방정부에서 나누어 지불하고 나머지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 지원금과 티켓 판매금, 광고비 등으로 충당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주정부에서 예상보다 낮은 7억불만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하고, 연방정부에서 최대 17억 5천만불을 지원할 것이나 지원금 액수는 주정부와 지자체에서 내놓는 비용을 더한 것이 될 것이라고 밝히며 논란이 발생했다. 캘거리에서 주정부보다 많은 8억불을 지불하기에는 부담이 너무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지난 30일 시의회에서는 모든 올림픽 절차를 중단하고 시민 투표도 폐지하는 것을 놓고 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으나, 30일 오후 늦게 각 정부에서 협상을 타결하며 새로운 유치 계획이 발표됐다.
새로운 유치 계획에 의하면 캘거리에서 3억 9천만불, 주정부에서 7억불, 그리고 연방정부에서 14억 5천만불 가량을 지불하게 된다. RCMP와의 협조로 보안 예산과 다른 필수 서비스 지출을 줄이며 총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계획을 놓고 시의회에서는 8시간에 걸쳐 논의를 펼쳤으며, 시의원 션 추, 피터 데몽, 제로미 파카스, 드류 파렐 조티 곤덱, 조 매글리오카, 와드 서덜랜드, 에반 울리 등 8명은 올림픽 절차 폐지에 찬성표를, 시장 나히드 넨시와 지안-카를로 카라, 조지 차할, 다이앤 콜리-우르크하트, 제프 데이비슨, 레이 존스, 셰인 키팅 등 7명은 반대표를 던졌다. 그리고 15표 중 최소 10표가 나와야 올림픽 절차가 중단되도록 결정되었기 때문에 올림픽 절차는 시민 투표로 이어지게 됐다. 
이후 넨시는 제안된 새로운 유치 계획은 “좋은 거래”라면서, 공격적인 협상이었다고 말할 수 있으나 결국 좋은 결과를 얻은 것에 만족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넨시는 시민들에게 시민 투표에서 올림픽 유치 찬성표를 던져 줄 것을 호소하면서, “캘거리시는 맥마혼 경기장과 다른 시설 업그레이드 및 실내 체육관 건축 등으로 어차피 3억 5천만불을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올림픽으로 3억 9천만불을 사용하며 40억불의 투자를 받게 되는 셈이니, 나라면 이 거래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올림픽 위원회의 회장으로 올림픽 유치의 큰 지지자였던 에반 울리 시의원은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태도가 실망스러우며 지자체의 위험 부담이 너무 커 더 이상 올림픽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절차 중단에 찬성표를 던지기도 했다. 
또한 울리는 올림픽 유치 여부를 결정하는 사전 투표가 곧 시작하는 상황에서 캘거리 시민들에게 새로운 계획을 설명할 시간도 충분치 않다면서, 불만을 토로했다. 
이 밖에 특히 낮춰진 보안 비용과 관련해 비용 초과가 발생했을 때 연방정부에서 부담을 질 것이라는 올림픽 유치 위원회의 주장과 달리, 캐나다 공공 보안에서 명확하게 책임을 밝히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일부 시의원들과 넨시 시장 모두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한편, 시의회에서 회의가 이어지는 동안 수백명의 올림픽 지지자들은 붉은색과 흰색의 옷을 챙겨 입고 시청을 찾아 시의원들과 올림픽 유치 위원회 사이의 질의응답을 지켜봤다. 이들은 후에 캐나다 국가를 부르고, “우리가 투표하게 해달라”며 구호도 외쳤다. 
그리고 이에 비해 소수이긴 했으나 캘거리 올림픽 유치에 반대하는 이들도 역시 시청을 방문해 시의원들에게 투명성 부족과 마지막에야 비용이 변경된 것 등에 불만을 표시하며 올림픽 유치 절차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박연희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95 캐나다 연멸 특수 사라졌다! 망연자실한 캐나다 호텔업계 file CN드림 20.12.21.
2294 캐나다 코로나보다 더 심각한 마약 중독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3.
2293 캐나다 버스가 양말을 신고 달리는 시즌이 왔다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3.
2292 캐나다 BC중소기업 추가 회복보조금 신청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3.
2291 캐나다 주말 BC주 코로나19 사망자 41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3.
2290 캐나다 노스밴 20대 10일간 응급실 4차례 방문...끝내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3.
2289 캐나다 트랜스링크 스카이트레인 차량 205대 구매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3.
2288 캐나다 나나이모 신생아 간호사 실수로 화상 입어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4.
2287 캐나다 포트만 다리 공중 얼음 폭탄 세례로 차 33대 부서져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4.
2286 캐나다 온타리오와 앨버타, 코로나 경제 타격 가장 커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4.
2285 캐나다 BC 응급상황 조치 내년 5일까지 다시 2주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5.
2284 캐나다 BC주, 앨버타주 남부 눈사태 주의보 발령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5.
2283 캐나다 메트로밴 10세 소녀 코로나 후유증으로 죽음 문턱서 돌아와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5.
2282 캐나다 BC주 코로나19 영국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 확인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9.
2281 캐나다 보행자 여성 2명 차사고로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9.
2280 캐나다 밴쿠버 종합병원 코로나 집단감염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29.
2279 캐나다 시내 유명 스키장 “사상 전례 없이 붐벼” file 밴쿠버중앙일.. 20.12.30.
2278 캐나다 써리 북부 연쇄 총격 사건으로 2명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30.
2277 캐나다 26일 캐나다발 한국 입국 확진자 2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30.
2276 캐나다 써리서 총격에 버나비 14세 소년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