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278c4176ce6156c5232aceef6686ac_1450133652_38.jpg

 

넨시 시장, 펜타닐 확산 방지를 위한 고강도 대책 수립 요구 및 공동 인식 나눠

 

“캘거리에서만 한 주에 한 명 꼴로 사망했으며, 이런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지금 당장 이것을 막아야 한다. 이는 또한 범죄, 폭력 사건들의 제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총기 사건이나 조직 폭력 사건으로 이어지고 있다. (나히드 넨시 시장)”

 

레이첼 노틀리 수상과 캘거리 나히드 넨시 시장은 캘거리 헤럴드와의 연말 인터뷰에서 “앨버타 주민들 대부분이 펜타닐 위기가 현재 얼마나 심각한 정도인지에 대한 경각심이 매우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펜타닐 복용으로 인한 사망자가 캘거리에서만 한 해 70명에 이르고, 앨버타 전체적으로 200명이 넘는 것에 대해 노틀리 수상과 넨시 시장은 “불법마약 남용을 근절하기 위한 고강도의 대책 수립의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다. 

 

넨시 시장은 “신문에 대서특필로 보도되기는 했지만,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고, 얼마나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지, 그로 인해 캘거리는 물론 앨버타 주민들의 삶에 얼마나 큰 파장을 몰고 올지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앨버타 정부의 다층적 노력을 촉구했다. 이어 그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불법 마약의 피해자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 충격적이다. 캘거리에서만 한 주에 한 명 꼴로 사망했으며, 이런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지금 당장 이것을 막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노틀리 수상은 펜타닐 위기가 특정 인구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문제의 심각성과 긴급성을 대부분의 주민들이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마약 중독 치료 및 회복 시설이 앨버타에 상당히 부족한 실태라는 점을 거론하고, 이 문제가 단순하고 쉽게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녀는 “이 문제는 필요에 따라 스위치만 켜면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효율성 있는 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필요한 인력을 보강해서 장기적으로 풀어가야 한다”며, “이런 위기가 지금 발생한 것은 과거에 제때 해결되지 않고 오랫동안 체계적으로 누적됐던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노출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틀리 수상은 급한 불을 먼저 끌 수 있는 긴급 대책들을 시급히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충분한 양의 치료제를 어떻게 공급할 것인지? 치료제 사용과 관련된 연방정부의 법률적 장애물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가 가장 시급한 문제이며, 현재 앨버타 보건부에서도 이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녀는 보건부 사라 호프만 장관이 치료제의 처방과 공급을 효율화하기 위한 대책 수립을 지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날록손 키트 공급을 최근에 3천개에서 5천개로 늘렸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녀는 주민들을 상대로 마약 남용에 대한 경각심 고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넨시 시장은 펜타닐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공공 의료 당국의 좀더 폭넓고 강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그는 “캘거리 경찰이 펜타닐 제조 및 판매에 연계된 이들을 규제하고 단속하기 위해 애를 먹고 있다”며, “다른 종류의 마약 공장이나 마리화나 제배 장소를 단속하는 것에 비해 펜타닐 공장을 찾아내기가 훨씬 어렵고, 펜타닐 제조에 동원되는 사람들이 대부분 아마추어들이라 그 약품의 강도를 정확하게 조절하는데 실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캘거리에서 발생하는 범죄, 폭력 사건들의 제일 원인이 펜타닐에 있으며, 총기 사건이나 조직 폭력 사건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앨버타헬스서비스의 마약중독 및 정신건강 특별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마이클 트루 박사는 “현재 앨버타에서 펜타닐 복용으로 목숨을 잃는 사망자 수가 교통 사고 사망자 수와 비슷해 지고 있다”며 “이런 결과는 어느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심각한 현상”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현재 5천개의 치료제 키트가 배포된 것은 문제 해결을 위한 초기 조치로서 매우 적절하게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 캐나다 밴쿠버패션위크, 일본 디자이너 열풍, 한류 시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194 캐나다 한-캐나다 청년교류 지원 협의회 출범 밴쿠버중앙일.. 23.10.24.
193 캐나다 캐나다 국민, 이념보다 "민생이 먼저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4.
192 캐나다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 Zagae VFW 봄/여름 패션위크에서 화려한 데뷔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4.
191 캐나다 캐나다수출개발공사, 서울에 대표부 개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6.
190 캐나다 한인 여성들의 경력향상을 위한 의지는 뜨겁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6.
189 캐나다 유학생 입학서류 이민부가 직접 챙겨 보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31.
188 캐나다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64% 인정하는 분위기 file 밴쿠버중앙일.. 23.10.31.
187 캐나다 재외동포기본법 10일부터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1.
186 캐나다 버나비 한인여성들의 수난시대-우기철 더 조심해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185 캐나다 윤보다 못한 트뤼도의 지지율, 어떡하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184 캐나다 2025년부터 이민자 연간 50만 명 시대가 열린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183 캐나다 10월 메트로밴쿠버 집값 전달과 비교 한풀 꺾여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3.
182 캐나다 평통 서병길 전 밴쿠버협의회장, 평통발전 특별위원 임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7.
181 캐나다 한인, 돈없어서 치과 못갔다는 소리는 하기 싫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7.
180 캐나다 BC주민 48% "우리 동네 원전은 반대일세!"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9.
179 캐나다 한국 인기스타 정해인, 북미 팬 미팅 첫 방문지 밴쿠버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9.
178 캐나다 한국 거주 외국인 중 외국국적 동포 수는? file 밴쿠버중앙일.. 23.11.09.
177 캐나다 밴쿠버 한류 전파의 첨병, 유니크 2번째 정기공연 file 밴쿠버중앙일.. 23.11.10.
176 캐나다 밴쿠버•버나비 렌트비 전달보다 하락 불구 전국 1, 2등 file 밴쿠버중앙일.. 2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