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41437bf77db0861e9746ae938610f9_1452904568_6.jpg

밀렵꾼이나, 인근 주민 및 도로 운전자에 의해 2015년 한 해 사망한 그리즐리베어가 전년도 19마리에서 큰 폭으로 증가한 28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작년의 이러한 수치는 그리즐리베어 보호책을 마련중인 주 정부의 10년 통계자료에 따른 연간 19마리보다 훨씬 많은 수치이다. 앨버타 환경 및 공원청 육식동물 전문가 폴 프레임 씨는 “앨버타에 서식하는 그리즐리베어의 전체 숫자를 감안할 때 인적 원인(human-caused)에 의한 사망 건수를 최소화하려는 우리의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라며, “문제는 불법적 밀렵이다. 이를 막기 위한 교육과 법집행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때 앨버타에 서식하는 그리즐리베어가 700마리뿐이라는 보고가 있은 후 멸종 위기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었으나, 그 후 이어진 연구에서 그 실제 숫자는 증가해오고 있다. 2006년도에는 사냥을 금지하는 등 인적 원인에 의한 사망 건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가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그러나 사냥 금지령이 발효된 상황에서도 매년 19마리가 목숨을 잃어, 10년 새 총 190마리가 사망했다. 

 

작년에 사망한 28마리 가운데 7마리는 자동차에 치였고, 최소한 8마리는 불법으로 밀렵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 밖에 3마리는 자기방위 차원에서 사살했으며, 한 마리는 관계 당국에 의해 안락사 처리되었다. 또한 그외 3마리는 야생동물관리 요원에 의해 문제를 일으키는 야생동물로 지목돼 사살되었으며, 2마리는 합법적 사냥, 4마리는 원인불명으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야생동물 보호론자들은 2015년 한 해 사망한 그리즐리베어의 숫자가 몹시 실망스러운 수준이라며, 그리즐리베어 서식 지역에서 교통 도로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통해 사전에 사고 예방에 힘썼다면 사망 건수를 많이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전문가는 “도로에서 (충돌사고로) 많은 그리즐리베어가 사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이러한 측면에서 그리즐리베어 보호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과거 보수당 정부에도 그리즐리베어 서식 지역에서 자동차 도로 및 트레일의 분포 밀도를 제한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며, “현 정부에서는 실제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사진: 캘거리헤럴드)

 

  • |
  1. 0141437bf77db0861e9746ae938610f9_1452904568_6.jpg (File Size:150.3KB/Download:6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5 캐나다 노스로드 실루엣 주상복합아파트 지하서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9.
234 캐나다 이민부, 수송 관련 직군 이민자 최우선 받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9.
233 캐나다 밴쿠버서 연봉 24만 6천불 안되면 집 살 꿈도 꾸지마라! file 밴쿠버중앙일.. 23.09.19.
232 캐나다 다시 오르는 캐나다 소비자 물가, 식품비 최고 상승률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0.
231 캐나다 10월부터 가스 요금 인하 희소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0.
230 캐나다 노스로드 한인타운에서 펼쳐지는 풍성한 추석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2.
229 캐나다 정벤처 정명수 한국으로 범죄인인도 결정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2.
228 캐나다 코퀴틀람센터 한인주거지 폭행 사건 추가 피해자 신고 받습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3.
227 캐나다 젊은, 아시안, 이민자로 캐나다 운전 점점 더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3.
226 캐나다 19일 기준 전주 전국 새 코로나19 확진자 4847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3.
225 캐나다 한인 주요 주거지인 트라이시티에 백인 우월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6.
224 캐나다 코퀴틀람 경관 살해 아파트 거주자 감옥 같은 격리 상황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6.
223 캐나다 7월 평균 주급 연간 4.3% 상승한 1215.02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9.
222 캐나다 BC, 캐나다 성장 견인차에서 꼬리칸 추락 위험 밴쿠버중앙일.. 23.09.29.
221 캐나다 이비 주수상, 한인문화가 BC주 발전에 기여할 제안에 끄덕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9.
220 캐나다 BC 이비 주수상의 추석 축하 성명서 file 밴쿠버중앙일.. 23.09.30.
219 캐나다 연방유산부 다문화 담당 장관의 일천한 다문화 지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9.30.
218 캐나다 투니에 낯선 그림 있어도 통용되는 동전 맞습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4.
217 캐나다 서울보다 한참 밑으로 추락한 밴쿠버의 도시 위상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4.
216 캐나다 토론토총영사관, 개천절 행사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