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작년 인원보다 상회 전망

셀핍 점수이의제기, 재시험 조정

 

연방이민부(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IRCC)는 지난 24일자로 3600명의 연방 EE(Express Entry)신청자에게 초청장을 보냈다. 2015년에 EE카테고리가 도입된 이후 122번째이자 올해 들어 15번째 선발이었다.

 

이로써 연초 3900명에서 1월 30일 3350명으로 축소했던 초청자 수가 7월 10일 3600명에게 초청장을 보낸 이후 3600명 선으로 조정되는 모양세를 보였다.

 

이로써 누계로 총 4만 9000명이 연방EE카테고리로 초청장을 받게 됐다. 이민업계에서는 작년 말과 올해 초에 비해 회당 초청자 수가 감소했지만, 작년도의 8만 9800명보다 올해 더 초청자가 나오리라고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10월 연방총선을 앞두고 어떻게 이민에 대한 반응이 나오느냐에 따라 미세하지만 디테일에서 변화가 발생할 여지도 남아 있다.  

 

이번에 통과점수(Comprehensive Ranking System, CRS)는 직전 통과점수보다 1점 내린 459점을 기록했다. 연중 최고점을 기록했던 5월 30일의 470점 이후 점차 낮아지는 추세이지만, 1월 30일 연중 최저점인 438점이나, 연초의 449점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점수이다.

 

동점자 처리는 5월 25일 동부시간으로 오후 2시 40분 52초 이전에 접수한 신청자까지다. 

 

7월 19일 현재 EE신청자 수는 총 11만 4290명이 있어, 현재 회당 선발인원에 비해 32배나 많은 사람이 대기하고 있는 셈인데 매달 새로 신청자가 들어오는 것을 감안 하면 결국 같은 수가 항상 대기하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 7월 19일 현재 점수별 신청자 수를 보면 451점 이상자만 해도 6455명이나 있었다. 이중 24일 3600명이 빠져나갔어도 3000명 정도가 남아 있다. 441-450점 사이도 7571명, 431-440점 사이도 9781명이 대기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높은 점수의 새 신청자가 들어오는 것을 감안하면 연중 최저 점수인 438점까지 다시 낮아지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렇게 연방 EE 카테고리가 원어민 수준의 영어실력과 캐나다에서 학위나 고급 직장 경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결국 주정부 지명 프로그램(PNP)를 노려보라는 것이 한인 공인이민컨설턴트들의 조언이다. 2021년까지 PNP 이민자 수도 20만 명으로 연방 경제이민자 목표와 비슷한 수준으로 늘려나가기 때문이다. 

 

BC주는 지난 23일  숙련이민(Skills Immigration, SI)과 Express Entry BC (EEBC) 카테고리 신청자 191명에게 초청장을 보냈다. 통과점수는 EEBC-숙련노동자는 110점, EEBC-국제졸업자는 105점이었고, SI-숙련노동자는 101점, SI-국제졸업자는 105점, 그리고 SI-초보(Entry Level) 준숙련은 80점이었다. 

 

한편 이민부가 인정하는 2개의 언어능력시험점수 중 하나인 셀핍(CELPIP)이 2가지 개선을 한다고 밝혔다. 하나는 자신의 테스트 시험점수가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다고 할 때 이전에는 6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해야 했지만 이것이 6개월로 늘어났다. 또 시험을 본 후 30일이 지난 후에나 다시 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던 것이 4일만에 다시 볼 수 있게 됐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55 캐나다 대한항공, 캐나다 영업망 토론토로 통합 밴쿠버중앙일.. 20.06.05.
2854 캐나다 [4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BC주 뚜렷한 안정세, 6월 중순 3단계 완화 기대 밴쿠버중앙일.. 20.06.05.
2853 캐나다 BC주 코로나19 주 감염원 유럽이나 캐나다 동부 밴쿠버중앙일.. 20.06.05.
2852 캐나다 경제 재개 2단계, 초초히 기다리는 해당 업종들- 이번에도 제외되면 어쩌나 CN드림 20.06.06.
2851 캐나다 캐나다 프리스쿨 6월1일부터 문 열 수 있다, 단 주정부 보건 지침 지켜야 CN드림 20.06.06.
2850 캐나다 캐나다 종교단체들, 예배 허용되지만 안전이 우선- 재개 늦추는 곳 많아 CN드림 20.06.06.
2849 캐나다 학부모, “등교 원하지만 안전 수칙 필요” - 가톨릭 교육청, 9월의 학교 모습 담은 영상 공개 CN드림 20.06.06.
2848 캐나다 패스트푸드 드라이브 드루에서 마스크 무료 배포-맥도날드, A&W, 팀 홀튼에서 4장씩 CN드림 20.06.06.
2847 캐나다 업소 탐방) 캐나다 배드랜드 지형 위에 만들어진 드럼헬러 공룡 (다이노소어) 골프장 file CN드림 20.06.06.
2846 캐나다 앨버타주 수상, "노년 층 코비드-19에 취약" - 경제활동 재개에 참고할 듯 CN드림 20.06.06.
2845 캐나다 체육관은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사회거리 길게 적용 + 탈의실 없어질 수도 CN드림 20.06.06.
2844 캐나다 40년전 그날 - 5.18은 현재 진행형 _ 오충근의 기자수첩 CN드림 20.06.06.
2843 캐나다 전달대비 고용률 증가 불구 실업률 상승 밴쿠버중앙일.. 20.06.06.
2842 캐나다 미국은 흑인 사망, 캐나다는 원주민 사망 밴쿠버중앙일.. 20.06.06.
2841 캐나다 BC RCMP 인종차별적 과잉 공권력 행사에 선긋고 나서 밴쿠버중앙일.. 20.06.06.
2840 캐나다 외국인 등록증에 ‘에일리언’ 표기, 54년만에 사라진다 밴쿠버중앙일.. 20.06.09.
2839 캐나다 귀국 유학생들로 밝혀지는 캐나다 한인 코로나19 숨겨진 진실 밴쿠버중앙일.. 20.06.09.
2838 캐나다 캐나다 한인 사기범 활개 밴쿠버중앙일.. 20.06.09.
2837 캐나다 8일 오전 차이나타운 여성 피습 중상 밴쿠버중앙일.. 20.06.10.
2836 캐나다 연대와 협력, 감사와 배려…마스크 해외지원에 담긴 뜻 밴쿠버중앙일.. 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