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 기념식
31일 재향군인회 김진호회장 안보강연
 
작년 한 해 동안남북미 정상들이 서로 만나며 한반도 평화공존의 화해무드가 조성됐었다가 올해 들어 이런 분위기가 냉각되는 가운데, 한반도 안보 관련 행사가 연이어 밴쿠버에서 열릴 예정이어서 평화를 원하는지 대립과 갈등을 부채질 하는 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1950년 6월 25일 북한 김일성 공산당의 이민군의 남침으로 한국 역사상 최악의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기록되는 6.25전쟁 또는 한국전이 휴전을 한 지 올해로 66년을 맞이하는 7월 27일 10시 30분에 캐나다 전역에서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 기념식을 갖는다.
 
연아 마틴 상원 의원의 노력으로 2013년 한국전참전용사의 날 법(Korean War Veterans Day Act)이 제정돼 기념하기 시작했고, 밴쿠버에서는 버나비 센트럴파크에 위치한 평화의 사도 앞에서 매년 열려왔다.
 
올해도 캐나다군 한국전 참전용사와 마틴 상원의원을 비롯해, 마이크 헐리 버나비 시장, 연방과 주, 그리고 시 의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며, 주밴쿠버 총영사관은 물론 대만 등 한국전과 관련된 국가의 공관원들도 자리를 함께 한다. 또 매년 버나비 시 소방대원들이 점심을 위한 BBQ를 제공하는 등 한국전 용사의 뜻을 기려왔다.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을 한국전 휴전협정으로 한반도의 골육상쟁의 총질을 멈춘 날로 정했듯이 다시는 한반도에 전쟁이라는 참혹한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한국 전쟁기간 동안 국군을 포함한 연합군이 약 20만 명의 전사를 하고 이중에 캐나다군인들도 516명이나 희생이 됐다. 침략을 했던 북한 이민군도 약 30만이 죽은 것을 비롯해 중공군과 합쳐 약 50만 명이 전사를 했다.
 
이보다 더 큰 손실은 바로 일반인들의 희생으로 남북한 합쳐 사망과 실종자가 250만명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 어떤 경우보다 한반도에서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되는 분명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렇게 군인보다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한 원인은 해방 후 5년 도 채 지나지 않은 한반도에 황석영의 소설 '손님'에서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처럼 한국인이 아닌 남의 나라에서 생긴 이데올르기라는 손님이 누구인지도 잘 모르며 어느 쪽 편에 섰는 지를 놓고 철천치 원수처럼 부역이나 과거 전력, 또는 군인이나 이민군 가족이라는 이유로 민간인 학살을 하며 벌어졌기 때문이다. 
 
올해 초까지도 한반도 평화를 위해 같이 노력하자던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지난 25일 신형전술유도무기인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를 지휘하고, 북한 매체도 한국정부에 직접 경고를 했다. 북한이 남북평화 회담 이전까지 미국과 직접 전쟁을 한다며 한국 정부를 무시했다면, 이번에는 미국이 아닌 현 문재인 정부가 제대로 중재자 역할을 하지 못하고, 한미군사훈련을 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는 무력적 도발을 한 셈이다.
 
한반도 평화공존을 위한 노력과 동시에 안보태세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런데 남북한의 평화공존을 위한 신뢰 프로세스 없이 자신이 원하는 것만 요구하면 협상이나 합의점을 찾을 수 없고 결국 다시 한반도가 전쟁 위험에 빠질 수 밖에 없다.
 
이번 한국전참전기념행사가 있은 후 3일 뒤인 30일 한국 재향군인회의 김진호 회장이 밴쿠버를 도착해 31일 평화의 사도 방문, 캐나다 참전용사와 오찬, 랭리 가평석 방문, 그리고 오후 6시부터 노스로드 이규젝큐티브 호텔에서 안보강연회를 가질 예정이다.
 
김 회장이 이번 방문을 통해 한반도 평화공존을 위한 입장을 밝힐 지 아니면 상호불신 속에 치킨게임하자는 확증편향을 줄 지 주목된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75 캐나다 "코로나 위기를 분단 넘어 통일의 기회로" 밴쿠버중앙일.. 20.05.27.
2874 캐나다 연방정부, GM캐나다에 마스크 주문! 밴쿠버중앙일.. 20.05.27.
2873 캐나다 한국에서 곱게 볼 수 없는 해외입국 한국인들 밴쿠버중앙일.. 20.05.28.
2872 캐나다 [26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BC 40일만에 새 사망자 0명 밴쿠버중앙일.. 20.05.28.
2871 캐나다 [김승혜 인턴기자의 밴쿠버] 숨겨진 밴쿠버 일몰 맛집, 디어 레이크(Deer Lake) 공원 밴쿠버중앙일.. 20.05.28.
2870 캐나다 BC주 비상선포 기간 5번째 2주 연장...6월 9일까지 밴쿠버중앙일.. 20.05.29.
2869 캐나다 6월 1일부터 대중교통도 정상화 밴쿠버중앙일.. 20.05.29.
2868 캐나다 [27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이틀 연속 전국 확진자 천 명 이하 유지 밴쿠버중앙일.. 20.05.29.
2867 캐나다 BC주 공기질 경고 휴대폰 실시간 전송 밴쿠버중앙일.. 20.05.30.
2866 캐나다 하루가 멀다하고 불거지는 인종혐오 범죄 밴쿠버중앙일.. 20.05.30.
2865 캐나다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밴쿠버중앙일.. 20.05.30.
2864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거주하려면 시급 19.5달러 받아야 밴쿠버중앙일.. 20.06.02.
2863 캐나다 BC주, 6월말까지 상업용 렌트비 못내도 퇴거금지 밴쿠버중앙일.. 20.06.02.
2862 캐나다 코로나19로 힘들지만 일한만큼 임금 줍시다 밴쿠버중앙일.. 20.06.02.
2861 캐나다 또 벌어진 인종혐오 폭력범죄 밴쿠버중앙일.. 20.06.03.
2860 캐나다 외교부-미국지역 총영사관 화상회의 개최 밴쿠버중앙일.. 20.06.03.
2859 캐나다 밴쿠버 주택 전년대비 거래 대폭 감소, 가격은 상승? 밴쿠버중앙일.. 20.06.03.
2858 캐나다 캐나다 모든 교통수단 탈 때 마스크 필수? 밴쿠버중앙일.. 20.06.04.
2857 캐나다 캐나다 기준금리 0.25% 유지 밴쿠버중앙일.. 20.06.04.
2856 캐나다 버나비RCMP, "실종자 이수용 씨를 찾습니다" 밴쿠버중앙일.. 20.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