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토랑, 바, 소방규정 상 한도좌석의 절반 이하만 허용

 

지난 주말을 지나면서 캘거리에서 COVID-19확진자가 크게 증가하자 캘거리 시가 전격적으로 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시 소유의 각종 공공시설, 도서관, 레크리에이션 센터, 수영장 등은 일제히 운영을 중단하고 잠정 폐쇄 조치에 들어갔다.
레스토랑, 바 등의 비즈니스도 소방 규정상 허용된 최대 좌석의 절반 이하의 좌석을 운영하거나 250명 이하 수용 고객 중 적은 규모의 고객 수용을 유지해야 한다.
식료품점, 대중교통, 공항, 쇼핑센터, 약국, 대형 쇼핑몰, 오피스 빌딩, 긴급 피난처, 케어 센터, 카지노 등은 이번 제한 조치에서 제외된다. 카지노의 경우는 주정부에 관할권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주말을 지나면서 17건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해 앨버타 확진자는 총 56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17건 중 14건의 신규 확진이 캘거리에 집중되면서 캘거리의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앨버타 수석 의료 책임자 디나 힌쇼 박사는 “주말에 걸쳐 발생한 신규 확진자들 중 2건은 국외 여행과 관련 없는 지역 감염으로 추정되어 상황의 심각성이 더하다”라고 밝혀 앨버타에서도 지역감염 전파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일요일 저녁 긴급 시 비상사태를 선포한 넨시 시장은 시 비상대책팀 (CEMA) 톰 샘슨 책임자, 시 총괄 매니저 데이비스 덕워스 씨와 함께 언론 인터뷰를 가졌다.
그는 “현 상황은 매우 심각하고 위중하다. 그러나, 우리 시민들이 해야 할 일은 패닉에 빠지지 말 것과 물건 사재기를 하지 않는 것이다. 앞으로 현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한 준비를 사려 깊게 시행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주정부는 지난 일요일 저녁을 기해 긴급하게 앨버타 전역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대학까지 전면 수업 중단 결정을 내렸으며 허가된 데이케어 또한 잠정 운영 중단을 결정했다. 케니 주수상은 앨버타 시민들에게 여가를 위한 여행 계획을 전면 취소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넨시 시장은 “특히 도서관의 운영을 중단한 것이 매우 안타깝다. 그러나, 캘거리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조치로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한 필수적인 대응이다”라고 밝혔다.

 

에드먼튼도 공공시설, YMCA 운영 전면 중단

에드먼튼 시가 지난 주 토요일 오후 6시를 기해 시 소유의 레져 센터, 레크리에이션 센터, 하키 아레나,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의 운영을 전격적으로 중단했다. 또한, YMCA, 커뮤니티 센터 등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모두 운영이 중단된다.
이로 인해 21개의 에드먼튼 공공도서관, 20개의 공공 레크리에이션 센터, 킨스만 스포츠 센터, 밀우즈 레크리에이션 센터, Terwillegar Community Recreation Centre를 포함한 23개 아레나가 포함된다.
또한, 에드먼튼 밸리 동물원, John Janzen Nature Centre, 시립미술관, 존 월터 박물관도 문을 닫는다.
시 임시 총괄 매니저 아담 로플린 씨는 성명을 통해 “시민들과 공공기관 근무자들의 안전과 건강 확보가 최우선과제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공공시설의 잠정 폐쇄 기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확답할 수 없다. 주정부와 AHS의 조치에 따라 폐쇄 기간을 결정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에드먼튼 시는 연간 관람권 등을 소지한 시민들에게 일부 반환 등의 대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민들에게 조금 더 인내심을 가져 줄 것을 요청했다. (서덕수 기자)

 

https://cndreams.com/news/news_read.php?code1=2000&code2=0&code3=210&idx=25615

https://cndreams.com/news/news_read.php?code1=6000&code2=0&code3=210&idx=25616

 

  • |
  1. news_img1_1584412622.jpg (File Size:197.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55 캐나다 <송광호기자의 북녘 프리즘(조명)> 사무총장 14.04.12.
6254 캐나다 BC 주민들의 RCMP 신뢰도, 2012년보다 크게 상승 밴쿠버중앙일.. 14.05.08.
6253 캐나다 캐나다 엄마들이 원하는 '어머니의 날' 선물은? file 밴쿠버중앙일.. 14.05.08.
6252 캐나다 관광공사 김두조 토론토 지사장 인터뷰 file 밴쿠버중앙일.. 14.05.14.
6251 캐나다 클락 BC 주 수상, 어두운 이민 과거 공식 사과 file 밴쿠버중앙일.. 14.05.17.
6250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가 만난 사람] 41대 밴쿠버 한인회 이정주 회장 밴쿠버중앙일.. 14.09.13.
6249 캐나다 웨스트젯, 여행가방에 비용 청구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14.09.18.
6248 캐나다 밴쿠버 시 vs CP 레일 갈등, 결국 법정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14.10.04.
6247 캐나다 BC 주정부, 에볼라 전담 병원 지정 file 밴쿠버중앙일.. 14.10.24.
6246 캐나다 <2014 선거 캠페인> '커뮤니티를 위해 투표합시다' (1) file 밴쿠버중앙일.. 14.10.25.
6245 캐나다 캐나다 이슬람 사회, 폭력행위 비난 file 밴쿠버중앙일.. 14.10.25.
6244 캐나다 민주평통 '2014 통일 골든벨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14.10.28.
6243 캐나다 ‘세계 경제 포럼’ 남녀 평등 순위 발표, 캐나다 순위는? file 밴쿠버중앙일.. 14.10.29.
6242 캐나다 BC 교사연합, 새 노동연합 회장에 랜징어 후보 지지선언 file 밴쿠버중앙일.. 14.10.29.
6241 캐나다 시행 연기 컴퍼스 카드, 무엇이 문제인가 file 밴쿠버중앙일.. 14.10.30.
6240 캐나다 [중앙일보가 만난 사람] 40년 도자기 길을 걷고 있는 도암 선생, 첫 부부 전시전 열어 file 밴쿠버중앙일.. 14.11.01.
6239 캐나다 커피 소매가 상승, 팀 홀튼도 동참할까? file 밴쿠버중앙일.. 14.11.07.
6238 캐나다 캐나다 왕립 부대, 성급한 크리스마스 마케팅 비난 file 밴쿠버중앙일.. 14.11.08.
6237 캐나다 BC주 천연 자원 개발, 한국 투자 올 연말 가시화 file 밴쿠버중앙일.. 14.11.08.
6236 캐나다 올해 리멤버런스 데이, 예년보다 많은 시민 참여 file 밴쿠버중앙일.. 1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