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qi7nsVk8_0a66fdd3f853f473

플로이드 마지막 추도식 1만 명

한인사회도 소수계 차별에 울분

 

경찰 공권력 남용에 의해 비참하게 숨진 조지 플로이드의 마지막 추도식이 열렸다. 추도객 약 1만 명은 플로이드의 영면을 기원했다. 남가주 LA다운타운, 롱비치, 레세다, 샌타애나에서도 추도식이 진행됐다.

 

정오 무렵 LA다운타운 1가와 브로드웨이에서는 시민들이 모여 평화행진을 하고 플로이드를 추모했다. LA 등 한인사회는 '남의 일'이 아니라며 연대와 인종차별 철폐를 강조했다.

 

눈물의 추도식

 

8일 정오(중부 표준시) 텍사스 휴스턴 ‘파운틴 오브 프레이즈(Fountain of Praise)’ 교회에서는 백인 경찰의 무릎 목 누르기로 사망한 조지 플로이드의 마지막 추도식이 열렸다. 휴스턴은 플로이드의 고향이다.

 

 

이날 추도객은 두 줄로 나뉘어 입장해 플로이드가 잠든 금빛 관을 바라보며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시민들은 눈물을 흘리며 영전에 꽃다발을 바쳤다. 일부는 경찰 폭력과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의미로 관 앞에서 불끈 쥔 주먹을 들어 올렸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주 주지사와 현지 경찰관들도 추도식장을 찾아 플로이드의 관 앞에서 고개를 숙였다.

 

추도식장 앞에는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M·Black Lives Matter)는 문구가 들어간 화환이 시민들을 맞았다.

 

추도식장에는 구름 인파가 몰렸다. 유족을 대리해 장례 절차를 주관하는 포트벤드 메모리얼 플래닝 센터는 “조문객이 1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플로이드 장례식은 유족과 일부 초청객만 참석해 오늘(9일) 휴스턴에서 비공개로 거행된다. 그의 유해는 어머니가 묻힌 휴스턴 외곽 메모리얼 가든 묘지에 안장된다.

 

한인들 ‘인간 존엄’ 강조

 

LA 등 한인사회는 흑인 조지 플로이드 목을 무릎으로 눌러 숨지게 한 백인 데릭 쇼빈에게 ‘인간의 존엄’을 물었다.

 

특히 한인들은 미국 사회가 소수계 이민자 또는 피부색을 이유로 차별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플로이드의 억울한 죽음이 한인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컸다. 이들은 플로이드 사망 관련 항의시위를 남의 일로 바라보지 말고, 한인사회도 적극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에나파크 거주 로버트 오(35)씨는 “경찰이 내 옆집 사람을 비참하게 줄일 수 있다면, 그 잘못된 공권력으로 나도 죽일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면서 “인종이 다르다고 이번 사태를 무시하고 방관하면 우리는 계속 소수계로 살아간다. 모두가 관심을 두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가디나에 사는 이혜민(27)씨는 “같은 소수계로서 플로이드 죽음이 슬프고 화가 났다. 사람이 사람으로 존중받지 못한 모습을 보면서 미국의 ‘가식’도 느껴진다. 이번 일은 씁쓸한 미국의 단면”이라고 안타까워했다.

 

한인사회가 플로이드 사망 관련 항의시위를 숨죽인 듯 지켜본 모습을 반성하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LA한인타운 로데오 갤러리아 한 화장품점 직원은 “지난주 시위 과정에서 약탈 피해가 있었지만 ‘폭동’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한인타운 등) 우리가 과민반응한 모습도 있지 않나. 소수계가 당한 차별을 같이 억울해하자"고 말했다.

 

경찰 공권력 남용 및 인종차별 철폐 항의시위를 지지하고 동참하는 움직임도 눈에 띈다. 최근 카카오톡 프로필로 검은색 우산 아래 ‘블랙시위’라고 써진 사진을 올린 한인도 늘었다.

 

김해원 변호사는 “플로이드 사망은 유색인종이라면 누구나 상관있다. 경찰을 싸잡아 비난하지 않는 수준에서 다같이 추모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주 LA다운타운 항의시위 현장에서 흑인 커뮤니티 관계자를 만난 그레이스 유 LA시 10지구 시의원 후보는 “한인사회가 차별받은 사람은 보호해야 한다는 마음과 연대하는 모습을 보이자”고 강조했다.

 

미주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35 캐나다 SFU인근 등산로 19세 여성 성추행 피해 밴쿠버중앙일.. 19.07.18.
3434 캐나다 임창정 콘서트-밴쿠버 한인의 행복지수를 한껏 올린 무대 밴쿠버중앙일.. 19.07.18.
3433 캐나다 캐나다인 중국에 대한 감정 점차 악화 밴쿠버중앙일.. 19.07.19.
3432 캐나다 6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 상승 밴쿠버중앙일.. 19.07.19.
3431 캐나다 주정부, 밴쿠버-시애틀 고속철 지속 추진 의지 밝혀 밴쿠버중앙일.. 19.07.19.
3430 캐나다 한인문화의 날 준비 척척 밴쿠버중앙일.. 19.07.20.
3429 캐나다 5월 BC 실업급여 수급자 전달 대비 감소 밴쿠버중앙일.. 19.07.20.
3428 캐나다 밴쿠버 2베드룸 렌트하려면 시급 35달러 이상 되야 밴쿠버중앙일.. 19.07.20.
3427 캐나다 BC 정부 15억 달러 예산 흑자 밴쿠버중앙일.. 19.07.23.
3426 캐나다 27일 인도를 시작으로 밴쿠버 여름불꽃 경연 밴쿠버중앙일.. 19.07.23.
3425 캐나다 한국전통음악과 재즈의 조화-블랙스트링 밴쿠버중앙일.. 19.07.23.
3424 캐나다 국내 자유무역 강조한 케니 주수상, “당근과 채찍 전술” file CN드림 19.07.23.
3423 캐나다 트뤼도 총리, “파이프라인 반대 의견, 충분히 수렴해야” file CN드림 19.07.23.
3422 캐나다 뒷모습도 아름다운 스탬피드 이벤트 file CN드림 19.07.23.
3421 캐나다 5월 누계 한인 영주권자 2220명 밴쿠버중앙일.. 19.07.24.
3420 캐나다 캐나다인 "가장 건강하다" 확신 밴쿠버중앙일.. 19.07.24.
3419 캐나다 한국산 캐나다라인 새 무인전동차 도착 임박 밴쿠버중앙일.. 19.07.24.
3418 캐나다 5월 한국 방문객 큰 폭 감소 이어가 밴쿠버중앙일.. 19.07.25.
3417 캐나다 B라인보다 더 빠르고 편리한 급행버스 내년 본격 운행 밴쿠버중앙일.. 19.07.25.
3416 캐나다 코퀴틀람 센터몰 주차장에 곰이 나타났다!!! 밴쿠버중앙일.. 19.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