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WjhU9d48_d158b67a9719004e

중국, 일본 상대적으로 낮은 것과 비교

실직 등 경제적 어려움도 한국인 높아

반면 가진 돈 많아 생활비 부담은 적다

한국인 빈곤층 가장 많은 민족에 해당

 

코로나19로 지난 4개월 이상 일자리를 잃거나 소득이 줄어드는 등 타격을 입었는데, 한국 이민사회도 큰 타격을 입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6일 발표한 코로나19가 소수민족(visible minority)에게 끼친 경제적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한인은 전 국민을 12개로 분류한 가운데 4번째로 타격을 받은 민족이 됐다.

 

12개 그룹은 한국인을 비롯해 백인, 중국인, 일본인, 남아시아인, 필리핀인, 흑인, 라틴아메리카인, 아랍인, 동남아시아인, 서아시아인, 기타 소수민족 등이다.

 

코로나19 이전 고용된 개인으로 실업이나 근로시간 축소 등의 영향을 받았는가에 대해 한국인 40.1%가 해당이 됐다. 제일 많이 영향을 받은 민족은 서아시아인으로 46.5%, 필리핀인이 42.2%, 남아시아인이 40.2%에 이어 한국인이 4번째로 높았다.

 

반면 중국인은 31.2%로 가장 낮았고, 아랍인이 32.7%, 라틴아메리카가 34%, 그리고 백인이 34.1% 순으로 덜 영향을 받았다. 일본인은 34.5%로 나왔다.

 

필요한 재정적 지출이나 필수품을 구입하는데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느냐에서 한국인은 좀 나아졌다. 우선 백인이 23.2%로 가장 낮았고, 일본인이 25.3%, 중국인이 26.8%, 라틴아메리카인이 31.7%, 기타 소수민족이 33.1%였고, 한국인이 36.1%로 5번째로 영향력이 낮았다.

 

이는 소득이 줄어든 것과 상관없이 금융자본 등 기 재정적 능력과 관련 된 것으로 보인다. 즉 일자리를 잃거나 소득이 줄어도 예금이나 기타 소득으로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해석된다. 이런 면에서 백인이나 중국인, 일본인은 코로나19 여파가 작은 셈이다.

 

반면에 아랍인은 실직이나 소득이 줄었다는 비율에 비해 월 생활비에 영향을 받았다는 비율이 44%로 큰 차이를 보여, 이미 코로나19이전부터 생활고를 겪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2015년 기준으로 15세 이상 인구 중 각 민족별 빈곤율에서 한국은 서아시아인, 아랍인 다음으로 3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빈곤율이 26.9%에 달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인의 16%와 흑인이 19.9%보다 높은 수치다. 반면 이민 상태나, 공식언어 능력, 교육 수준 등을 감안한 조정 수치에서 한국인은 20.2%로 낮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3번째로 빈곤율이 높은 민족으로 꼽혔다.

 

연방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긴급지원금 보조를 해주고 있는, 이런 혜택을 받은 비율에서 한국인은 가장 높은 67.7%ㄹ르 보였다. 즉 사회주의적 복지국가 혜택을 가장 잘 활용한 민족이 됐다.

 

한국 다음으로 보조금 혜택을 받은 민족은 필리핀인으로 65.5%, 다음이 라틴아메리카인으로 63.5% 순이었다. 백인은 45.7%을 제외하고 중국인은 49.5%, 그리고 일본인이 50.7% 동아시아인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에 비해 한국이 제일 높은 것은 이례적이다.

 

최근 연방정부가 캐나다응급지원금(Canada Emergency Response Benefit, CERB)의 부정수급에 대해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초에는 징역과 벌금 등의 강력한 조치를 들고 나왔지만 NDP의 반대로 다소 완화가 됐지만 최근 CERB 수령 신청 시 설문 항목을 추가해 신청자들을 걸러내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95 캐나다 지명수배자 한인 김병섭(41세)을 찾습니다. 밴쿠버중앙일.. 19.06.22.
3494 캐나다 캐나다 찾는 한국인만 감소, 특별한 이유 있나? 밴쿠버중앙일.. 19.06.22.
3493 캐나다 한국전통 무용, 진부하지도 지루하지도 않은 변화무쌍한 예술의 극치 밴쿠버중앙일.. 19.06.22.
3492 캐나다 캐나다 한국전 정전 66주년 기념행사 열려 밴쿠버중앙일.. 19.06.25.
3491 캐나다 트랜스마운틴파이프라인 찬성이 많은데... 밴쿠버중앙일.. 19.06.25.
3490 캐나다 숙련기술 한인이민 온주보다 BC주 선호 밴쿠버중앙일.. 19.06.25.
3489 캐나다 프레이저 연구소, 앨버타 학교 순위 발표 CN드림 19.06.25.
3488 캐나다 앨버타 최초 ‘쓰레기 최소화’ 페스티벌 열린다 CN드림 19.06.25.
3487 캐나다 "버나비마운틴에 무서운 곰이 나타났다" 경고 밴쿠버중앙일.. 19.06.26.
3486 캐나다 조프리레이크 보다 편안하게 즐기세요 밴쿠버중앙일.. 19.06.26.
3485 캐나다 밴쿠버 전국 신축아파트 가격 견인 밴쿠버중앙일.. 19.06.26.
3484 캐나다 밴쿠버 5번째 살인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9.06.27.
3483 캐나다 버나비마운틴에 나타났던 곰 사살 밴쿠버중앙일.. 19.06.27.
3482 캐나다 영어 안 쓰는가정 BC 이민 2세 임금 최악 밴쿠버중앙일.. 19.06.27.
3481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주말 철야운행 난망 밴쿠버중앙일.. 19.06.28.
3480 캐나다 밴쿠버 모의선거는 7월 8일 밴쿠버중앙일.. 19.06.28.
3479 캐나다 BC한인실업인, 한인미래 위해 힘모아 밴쿠버중앙일.. 19.06.28.
3478 캐나다 마마키쉬 아카데미, 밴쿠버를 북미 한류중심지로 밴쿠버중앙일.. 19.06.29.
3477 캐나다 캐나다데이 황금연휴 어디서 무엇을 하며 즐기나? 밴쿠버중앙일.. 19.06.29.
3476 캐나다 천둥 정기공연 전석 매진 사례 밴쿠버중앙일.. 19.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