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도둑은 막고, 큰 도둑에는 대문 활짝

당분간 캐나다 시민 한국 방문 힘들 듯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한국 정부의 사증면제협정 잠정 정지에 따라 4월 13일 이후 관광 등 단기체류 목적으로 해당국 방문을 희망하는 우리 국민은 향후 해당국이 입국금지를 해제하여 입국이 가능하더라도 협정이 재개될 때까지는 출국 전 해당국 사증(Visa)을 취득하여야 하니 유의하라고 안내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 정부가 외국인의 입국 금지를 해제해도, 캐나다 국적 한인들이 한국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사증을 계속 받을 수도 있다.

 

현재 한국의 사증면제협정 잠정 정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터키와 카자흐스탄, 그리고 튀니지가 한국 국민에 대한 단기 방문 무사증 입국 허용 유지를 통보해 왔다. 히자만 한국 정부는 사증 요구를 유지하고 있다.

 

 

캐나다는 7월 31일까지 미국인 제외 모든 외국인 입국금지를 연장하고 있다. 하지만 캐나다 시민권자나 영주권자의 △직계가족으로 분류되는 배우자, 사실혼 관계자, 부양자녀 및 그의 부양자녀, (양)부모, 법적 보호자에 해당되면 입국이 가능하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한국에 직계 가족이 있는 경우도 캐나다 국적자이면 무조건 사증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가 상호주의 원칙을 따른다고 하지만 무조건 외국인은 안 받겠다는 의도가 있다.

 

그런데 캐나다도 마찬가지로 한국 정부도 세계에서 가장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많이 나온 미국에 대해서는 아직도 국경을 활짝 열러놓고 있어, 양국 모두 좀도둑은 막고 큰 도둑은 허용하는 셈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75 캐나다 해외 체류 국민 보호, 외교부와 카카오가 함께 한다 밴쿠버중앙일.. 20.07.08.
2774 캐나다 민주평통 밴쿠버 지회 위원 위촉장 전수식 밴쿠버중앙일.. 20.07.08.
2773 캐나다 캐나다인 68.2% 적극적 코로나19백신 접종 희망 밴쿠버중앙일.. 20.07.08.
2772 캐나다 BC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6명 발생해 밴쿠버중앙일.. 20.07.09.
2771 캐나다 9일 코로나19 대응 재외공관장 화상회의 예정 밴쿠버중앙일.. 20.07.09.
2770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춘천교육대학교와 MOU 체결 밴쿠버중앙일.. 20.07.09.
2769 캐나다 박원순 서울시장 북악산 숙정문 인근서 숨진 채 발견 밴쿠버중앙일.. 20.07.10.
2768 캐나다 BC주 비상선포 기간 연장...7월 21일까지 밴쿠버중앙일.. 20.07.10.
2767 캐나다 한국 외교부, 차세대 전자여권 발급 시기 연기 밴쿠버중앙일.. 20.07.10.
» 캐나다 캐나다가 입국금지 풀어도 한국정부 금지 지속 가능성 밴쿠버중앙일.. 20.07.11.
2765 캐나다 13일부터 시버스 운행횟수 늘린다. 밴쿠버중앙일.. 20.07.11.
2764 캐나다 해외거주 가족용 마스크, 한 번에 최대 90장 발송 가능 밴쿠버중앙일.. 20.07.11.
2763 캐나다 BC주 6월 실업률 13%로 전국 평균보다 높아 밴쿠버중앙일.. 20.07.14.
2762 캐나다 7월 상순 BC주 코로나19 전달보다 심각 밴쿠버중앙일.. 20.07.14.
2761 캐나다 f-4 비 범죄경력증명서 면제 만18세까지 확대 밴쿠버중앙일.. 20.07.14.
2760 캐나다 랭리 3명 살인사건 용의자는 큰아들 밴쿠버중앙일.. 20.07.15.
2759 캐나다 트뤼도, 응급임금보조금(CEWS)지원 12월까지 연장 밴쿠버중앙일.. 20.07.15.
2758 캐나다 코로나19로 인한 정신건강에 남녀의 차이는? 밴쿠버중앙일.. 20.07.15.
2757 캐나다 해외서 온라인 강의 받아도 캐나다 졸업 후 취업 보장 밴쿠버중앙일.. 20.07.16.
2756 캐나다 미국과 국경 폐쇄 8월 21일까지 연장 될 듯 밴쿠버중앙일.. 2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