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화요일 캘거리 시의회는 COVID-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실내 공공장소와 퍼블릭 트랜짓 등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조례 법안을 통과 시켰다.
시의회는 그 동안 공공장소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관련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캘거리 시민들의 마스크 착용률을 예의주시해 왔다. 그러나, 지난 주말을 기해 일일 확진 건수가 100여건을 넘어서고 화요일 기준 앨버타 신규 확진 건수가 141건에 달하면서 감염 증가세가 위험 수위에 도달하자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례 법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해 12대 3으로 승인했다. 에드먼튼은 어제(23일) 착용 의무화가 확정되어 발표했다.

AHS에 따르면 지난 화요일 기준 캘거리 존에서 확진 후 완치, 자가격리 해제된 경우를 제외하고 COVID-19 확진에 따라 실제 격리와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약 600여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앨버타의 어느 지역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나 마스크 착용 의무화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캘거리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8월 1일부터 시행되며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내 공공장소 즉, 쇼핑몰, 리테일 스토어, 레크리에이션 센터, 오피스 빌딩 내 공공집합 장소 등에 적용된다. 반면, 학교, 개인적인 업무 공간, 개인 주택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캘거리 트랜짓을 포함해 택시 등 공공 운행 차량의 경우 스크린, 쉴드 등 보호장구가 설치되지 않은 대부분의 공간에서는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2살 이하의 아동, 기저 질환을 보유한 사람, 타인의 도움이 없이 마스크를 쓰고 벗기 힘든 경우에는 의무 착용에서 제외된다. 아울러 음식점이나 술집에서 먹고 마시는 중이거나 운동중인 경우도 제외된다. ,
비즈니스 업주들은 반드시 마스크 의무 착용 안내 표지판을 시민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시의회는 캘거리 시 소유나 시가 운영하는 모든 공공장소, 건물 등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을 고려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토론토, 오타와, 몬트리올과 유사하게 보다 광범위한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대해서도 추가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캘거리 비상대책팀(CEMA)의 톰 샘슨 대장은 “캘거리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2차 물결이 도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광범위한 확산을 막기 위해 비즈니스를 다시 닫아야 하는 상황도 올 수 있다. 경제 재개가 이제 막 시작되었는데 다시 문을 닫게 될 경우 그 고통은 감내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재확산을 막기 위한 모든 예방책을 준비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반대표를 던진 사람들은 션 추, 조 매글리오카, 제로미 파카스 의원 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 매글리오카 시의원은 “시민들의 개인 생활에 공권력이 너무 깊이 개입하는 것에 반대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의원들은 “다시 수 많은 비즈니스들이 문을 닫는 경우를 막고 캘거리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캘거리 시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라며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찬성했다.
넨시 시장은 “공공장소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시행 이전이라도 캘거리 시민들이 적극 마스크 착용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한다. 9월 아이들이 학교로 돌아 가는 시기가 다가 오는데 최근의 감염 증가 추세는 매우 우려스럽다.”라고 밝혔다.
조례에 따르면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장소에서 미착용으로 적발된 사람에게는 벌금 100달러, 마스크 착용 안내 표지판을 게시하지 않은 비즈니스에게는 벌금 200달러가 부과된다.
캘거리 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시행으로 캘거리 시민들의 마스크 착용률이 현재25%에서 60%까지 늘어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덕수 기자)

  • |
  1. news_img1_1595610518.png (File Size:129.9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5 캐나다 캐나다인 부동산 수용 한-카 FTA 투자분쟁으로 밴쿠버중앙일.. 19.06.05.
3534 캐나다 K-CON, 땅짚고 헤엄치기 실적 내기 생색 행사? 밴쿠버중앙일.. 19.06.06.
3533 캐나다 써리경찰, 예산 느는데 경찰은 줄어 밴쿠버중앙일.. 19.06.06.
3532 캐나다 밴쿠버 주택거래 증가세로 돌아서나? 밴쿠버중앙일.. 19.06.06.
3531 캐나다 시버스터미널 묻지마 폭행사건 밴쿠버중앙일.. 19.06.07.
3530 캐나다 혐오와 폭력으로 물든 메트로밴쿠버 밴쿠버중앙일.. 19.06.07.
3529 캐나다 웨스트밴 다민족 행사 휘어잡은 한인문화들 밴쿠버중앙일.. 19.06.07.
3528 캐나다 소수민족 새 여성 이민자 정착·취업 지원 밴쿠버중앙일.. 19.06.08.
3527 캐나다 밴쿠버한인회 64회 현충일 행사거행 밴쿠버중앙일.. 19.06.08.
3526 캐나다 룰루레몬, 런던드럭스... 선호 브랜드로 당신 나이 알 수 있다 밴쿠버중앙일.. 19.06.08.
3525 캐나다 BC주 22개월 연속 실업률 전국 최저 밴쿠버중앙일.. 19.06.11.
3524 캐나다 9월 1일부터 무사고 운전자 기본보험료가 1000달러? 밴쿠버중앙일.. 19.06.11.
3523 캐나다 제한속도 시속 50KM도 너무 빠르다. 30KM로 밴쿠버중앙일.. 19.06.11.
3522 캐나다 캘거리 비즈니스 재산세 동결안 급부상 file CN드림 19.06.11.
3521 캐나다 상위 10%가 아니면 토론토에 집 사기 힘들어 file CN드림 19.06.11.
3520 캐나다 원주민 여성 실종, 살해는 '대량 학살' file CN드림 19.06.11.
3519 캐나다 캐나다, 한국투자가치 작년 크게 감소 밴쿠버중앙일.. 19.06.12.
3518 캐나다 연방 이민 줄으니 주정부 이민 늘어나네 밴쿠버중앙일.. 19.06.12.
3517 캐나다 석세스 워크위드드래곤 행사장 콩코드패시픽으로 이동 밴쿠버중앙일.. 19.06.12.
3516 캐나다 4월누계 새 시민권자 한인 1259명 밴쿠버중앙일.. 19.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