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3075481708_E15rix0C_98035849b1615f9

 

 

 

CBC 경제컬럼 전망...대규모 모기지 파산도 없을 것

정부 지원 지속, 가구 재정 호전, 저금리 등 이유로

 

 

정부의 개인 생활자금 지원과 은행의 모기지 납부 보류가 끝난 뒤에도 대규모 모기지 파산 사태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집값도 크게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CBC는 20일 외부인 칼럼을 통해 이런 시각을 전하고 그 이유에 대해 정부 지원 지속 가능성, 가구 재정 상태 호전 등을 이유로 꼽았다.

 

투자 자문업체 파운데이션 웰스(Foundation Wealth) 소속 마아크 팅(Mark Ting) 회계사는 이 칼럼에서 지난 2월부터 캐나다 전역에 걸쳐 오르기 시작한 집값의 원인을 분석한 뒤, 앞으로의 일을 전망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상황이 “실업률 1% 증가 때마다 집값이 5%씩 빠지는 통상적 사례”와 정반대의 추세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 정부의 생활자금 보조, 모기지 납부금 상환 연기 등으로 집을 긴박히 팔아야 하는 사람이 적은 반면 유례없이 낮은 모기지율의 혜택을 보고자 주택시장에 뛰어든 구매자는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그는 그러나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 끊기고 시중은행의 모기지 납부금 연기도 곧 끝나는 앞으로의 상황에 대해 조심스러운 전망을 내보이면서도 몇 가지 이유를 들어 낙관적 시각을 고수했다.

 

 

첫째로 팅 회계사는 백신의 보급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정부의 개인 자금지원이 어떤 식으로든 이어질 것이라 내다봤다. 실업률이 코로나19사태 이전보다 두 배로 늘어난 현재 개인 파산이 한 번 시작되면 도미노 현상으로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둘째, 그간 비대면 봉쇄 조치로 개인 씀씀이가 줄어든 결과 가정의 재정 상황이 호전돼 앞으로 얼마간은 버틸 여력이 있는 가구가 많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최근 보고서가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가구당 소비지출이 평균 13% 떨어지고 가계 저축이 28% 늘어난 것으로 보고됐다. 여기엔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실직 등으로 끊긴 봉급에 대해 1달러당 2.5달러로 채워준 후한 지원이 큰 몫을 했다는 평가다.

 

팅 회계사는 모기지 납부 보류의 종료가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애당초 이를 신청한 사람이 전체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으며 그 중 상당수는 매달 납입금을 갚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금 비축을 위해 보류 신청을 한 점을 고려할 때 그 여파는 미비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부에서 실직과 생활자금 고갈로 부득이하게 집을 내놓아야 할 경우에도 6개월 전보다 호전된 시장 상황으로 인해 집값을 아주 낮게 책정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그의 판단이다.

 

팅 회계사는 다만 콘도 매매자만이 앞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일 것을 예상했다.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생겨난 자택 근무의 추세가 그 이후에도 이어질 경우 교외에 정원 딸린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구매자가 늘어나 다운타운 콘도 수요층을 흡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75 캐나다 3월 프레이져 주택거래 2013년래 최저 밴쿠버중앙일.. 19.04.04.
3674 캐나다 연방EE 이민 통과점수 451점 밴쿠버중앙일.. 19.04.06.
3673 캐나다 한인신협, 4월 30일까지 청년인턴 모집 밴쿠버중앙일.. 19.04.06.
3672 캐나다 한국기획사 대표들이 한인문화의 날 K-POP 콘테스트 심사와 오디션 밴쿠버중앙일.. 19.04.06.
3671 캐나다 NDP, 대규모 사회정책, 인프라 투자 공약 CN드림 19.04.09.
3670 캐나다 노틀리 주수상, “NDP, 지역경제, 일자리 지키는 정당” CN드림 19.04.09.
3669 캐나다 UCP 집권하면 어떻게 달라지나? file CN드림 19.04.09.
3668 캐나다 밴쿠버에서 가장 트랜디한 결혼식을 하는 방법은? 밴쿠버중앙일.. 19.04.09.
3667 캐나다 올해 말까지 BC학교 무료 생리대 비치 의무화 밴쿠버중앙일.. 19.04.09.
3666 캐나다 밴쿠버아일랜드서도 홍역 확진 밴쿠버중앙일.. 19.04.09.
3665 캐나다 1월 시민권을 취득한 한인 영주권자 423명 밴쿠버중앙일.. 19.04.10.
3664 캐나다 살모넬라 전국 감역 확산 주의보 밴쿠버중앙일.. 19.04.10.
3663 캐나다 2월 주택 건설 허가액도 크게 감소 밴쿠버중앙일.. 19.04.10.
3662 캐나다 메이플시럽 연간 4억 6백만 달러 수출 밴쿠버중앙일.. 19.04.11.
3661 캐나다 BC주 보육시설 접근 상대적 용이 밴쿠버중앙일.. 19.04.11.
3660 캐나다 변전소 고장으로 밴쿠버 1만 가구 정전 밴쿠버중앙일.. 19.04.11.
3659 캐나다 총영사배 태권도대회 자원봉사자 모집 밴쿠버중앙일.. 19.04.12.
3658 캐나다 써리 내년 7월까지 시경찰 도입 예정 밴쿠버중앙일.. 19.04.12.
3657 캐나다 캐나다 창호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한인기업 윈스피아 밴쿠버중앙일.. 19.04.12.
3656 캐나다 13일 정부수립 100주년 기념행사 밴쿠버중앙일.. 19.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