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U1vekflZ_1e1cde9319969a59

5일 오후 3시(밴쿠버시간) 한국 중앙일보의 미국 대선 그래프

 

바이든 후보 270명 이상 선거인단 확보로 당선 예상

트럼프, 우편투표 등 반발해 불복 소송에 장기화 가능

 

다른 나라에서 쉽게 이해되지 않는 복잡한 투표 방식을 갖고 있는 미국 대선이 트럼프 현 대통령의 선거 결과에 대한 불복으로 2000년도 대선 때보다 더 지리한 싸움이 계속될 전망이다.

 

5일 오후 12시 현재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7000만표 이상을 얻으며 오바마 전 대통령이 기록했던 6949만 8516표 최다득표 수 기록을 깼지만 대통령으로 당선됐다고 인정받을 수 있는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지난 3일 대선 이후 3일째 개표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현 공화당의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의 바이든 후보 둘 중 누가 당선됐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 대통령 선거는 50개 주와 워싱턴 DC주 중 네브래스카주와 메인 주를 빼고 모두 승자독식제를 채택하고 있다. 즉 전국 투표자의 표를 아무리 많이 얻어도, 얼마나 많은 주에서 단 1표라도 더 많이 얻어 해당 주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느냐가 중요하다. 

 

미국의 각 주 중에 많게는 10개 또는 적게는 6개의 주를 제외한 나머지 주는 선거 때마다 공화당 또는 민주당 후보가 선거인단을 독식해 왔다. 전통적인 6개 경합주로 꼽히는 플로리다, 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 미시간, 노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등은 경합주로 이들 주가 공화당 편에 서느냐 민주당의 편에 서느냐에 따라 대통령의 얼굴이 정해졌다.

 

지난 대선에서도 득표 수에서는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트럼프 후보보다 전국 득표 수에서는 앞서 갔지만 경합주에서 패배를 하면서 결국 대통령 자리를 양보해야만 했다.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가 플로리다, 오하이오 등 6대 경합주 중 2곳을 먼저 가져갔지만, 애리조나와 미시간주에서 바이든 후보에 자리를 내줬고, 펜실베이니아, 노스캐롤라이나의 경합주와 조지아, 네바다 주에서 아직 승패를 가르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바이든 후보가 4개 주 중에서 한 곳만 이겨도 선거인단 과반수인 270명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76%의 개표를 한 네바다주에서 49.4%와 48.5%로 박빙의 승부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나머지 3개 주에서는 트럼프 후보를 쫓아가는 상황이다.

 

 

또 만약에 4개 주 중 한 곳이라도 이겨 선거인단 270명을 확보한다해도 대통령 당선됐다고 쉽게 선언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미 선거 전부터 우편 투표 등에 불만을 토로하며 패배 시 소송 등을 통해 선거결과에 불복하겠다고 이미 트럼프 후보가 으름장을 놓았기 때문이다.

 

2000년에 부시 전 대통령이 엘 고어 민주당 후보에 플로리다에서 간발의 차이로 첫 개표에서 이긴 이후 투표결과에 승복하지 않은 고어 후보의 재개표 재판으로 장기간 대통령 당선자 선언이 늦어지기도 했다.

 

이번에 트럼프 후보가 재판을 해 연방대법원까지 가게 되면, 내년 1월 20일 현재 대통령 임기가 무조건 종료될 때까지 당선자가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경우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대통령직을 대행할 수도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미국 대선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함께 파리기후조약 탈퇴,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폐기 등 국제질서를 무시해 왔었는데 이번에 누가 미국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국제질서가 다시 정상화 될 것이냐, 아니면 미국 우선주의에 의해 나머지 세계 국가들이 모두 고통을 받을 것이냐가 결정될 수 있다. 또 일부 국가는 트럼프의 전횡에 오히려 반사이익을 챙겨왔는데 바이든 후보가 당선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이번 미국 대선 결과는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나라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초미의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면서 코로나19처럼 언제 끝날 지 모르는 불확실성으로 내년 초까지 노심초사해야하는 형국이다.

 

캐나다의 저스틴 트뤼도 연방총리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과 G7 정상회의와 NAFTA 재협상에서 각을 세웠기 때문에 바이든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랄 수도 있지만, 정확히 바이든이 캐나다와 어떤 관계를 가질 지 표현하지 않아 꼭 유리하다고만 할 수 없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75 캐나다 환치기 사기 안 당하려면 조심 조심 또 조심 밴쿠버중앙일.. 19.03.14.
2474 캐나다 캐나다 'B737 맥스8, 9' 운항 중지 결정 밴쿠버중앙일.. 19.03.14.
2473 캐나다 MECA, 삼겹살 파티 개최 Hancatimes 19.03.14.
2472 캐나다 SAQ 직원들 9월 9일 깜작 시위 벌여 Hancatimes 19.03.14.
2471 캐나다 몬트리올 자치구, 재사용 가능한 생리용품에 보조금 지급 Hancatimes 19.03.14.
2470 캐나다 International Balloon Festival Hancatimes 19.03.14.
2469 캐나다 영화 ‘마녀’ 박훈정 감독 & 김다미 배우 판타지아 영화제 인터뷰 Hancatimes 19.03.14.
2468 캐나다 캐나다 통해 미국 밀입국하는 멕시코인 급증 Hancatimes 19.03.14.
2467 캐나다 판타지아 영화제 한국 영화 상영 시간표 & 티켓팅 방법 Hancatimes 19.03.14.
2466 캐나다 무더위가 강타한 퀘벡, 70여 명 목숨 앗아가… Hancatimes 19.03.14.
2465 캐나다 제22회 몬트리올 판타지아 영화제 Hancatimes 19.03.14.
2464 캐나다 어디서든 볼 수 있는 여름밤 불꽃 놀이 Hancatimes 19.03.14.
2463 캐나다 [REVIEW]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몬트리올 강연회 Hancatimes 19.03.14.
2462 캐나다 39번째 몬트리올 재즈 페스티벌! 여름 밤 재즈의 분위기 속으로 Hancatimes 19.03.14.
2461 캐나다 몬트리올 UN 기구 한인 진로지도 다큐멘터리 촬영 Hancatimes 19.03.14.
2460 캐나다 Fête nationale에 즐길 수 있는 활동 Hancatimes 19.03.14.
2459 캐나다 캐나다, 오는 10월부터 대마초 합법화 Hancatimes 19.03.14.
2458 캐나다 캐나다, 미국, 멕시코, 2026 월드컵 공동개최 Hancatimes 19.03.14.
2457 캐나다 Longueuil 경찰 아기 훔치려 한 남성 수색 중 Hancatimes 19.03.14.
2456 캐나다 생로랑 거리에서 열리는 몬트리올 벽화 축제 Hancatimes 1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