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1934279980_pej2bGAl_c15632c56afb4fd

(사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친 뒤에도 집단 감염사태가 발생한 켈로우나 소재 코튼우즈 케어센터.

 

 

켈로우나 코튼우즈 케어 센터에 확진자 13명

접종률 80%에도 감염사태...보건당국 당혹

헨리 박사 ‘접종 후에도 방역 준수 지속돼야’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끝낸 BC주 장기요양원에서 감염 사태가 벌어져 ‘백신만 맞으면 안전하다’는 신뢰감에 금이 가게 생겼다. 보건당국이 현재 이곳 사례를 면밀히 조사 중이나 지금까지 드러난 상황으로 보아 접종 후에도 개인 방역 수칙을 한동안 더 지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공중보건책임자 보니 헨리 박사는 9일 일일 브리핑에서 켈로우나 소재 코튼우즈 케어센터(Cottonwoods Care Centre)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했으며 이 요양원은 백신 접종을 이미 마친 상태였다고 밝혔다.

 

이 지역 보건위원회에 따르면 이 요양원에서 입소자 11명과 직원 2명 등 총 13명이 최근 코로나19 감염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8명이 감염 전에 백신 접종을 최소 한 차례 마쳤던 것으로 보고됐다.

 

보건위는 다른 5명은 여러 가지 이유로 접종 권유에도 불구하고 백신을 맞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요양원 전체를 보면 지난달 15일까지 입소자의 82%와 직원 65%가 최소 1차 접종을 끝냈으며, 그중 상당수는 2차 접종까지 완료한 상태였다.

 

 

보건위는 코튼우즈 케어센터 사례를 면밀히 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조사의 초점은 감염경로와 더불어 확진자 중 많은 수가 백신을 맞았는데도 어떻게 해서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일부에서는 백신 접종 후 면역력이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가 요양원에 침투한 것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이 제 기능을 해 면역력을 확보하기까지 보통 2~3주의 시일이 걸린다는 게 감염병 전문가들의 소견이다. 하지만 이 요양원에서의 집단감염은 접종이 이뤄진 2월 중순으로부터 3주가 거의 지난 시점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 설명이 잘 들어맞지 않는다.

 

접종률이 100%에 못 미쳐 집단 면역력 확보에 실패했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지만 백신 개발 초기 단계에서 전 세계 전문가들이 60~70%의 접종률만으로도 집단 면역력 형성에 성공할 수 있다는 데 이견이 없었던 점에 비춰 이 또한 설득력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이번 사태의 원인이 백신 효능 자체에 있지 않으냐는 의문을 낳고 있다. 다시 말해 당초 기대와 달리 코로나19 백신이 모든 사람에게 충분한 면역력을 길러줄 수는 없다는 의견이 조심스레 제기된다.

 

현재 개발돼 나온 백신이 변이 바이러스까지 모두 지켜줄 수 있다는 과학적 데이터가 없는 상황이라 그중 한 가지라도 형성된 면역력을 뚫고 사람을 감염시킬 가능성은 남아 있다. 또 애당초 개발 자체가 일부의 실패를 감안한 까닭에 이번 사태의 규모가 그 허용선을 넘어선 것이냐는 것도 판명돼야 할 점이다.

 

그러나 전 세계가 처음 경험하는 사태라 그 답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헨리 박사는 그 와중에라도 행여 백신의 효능이 기대에 못 미치는 것에 대비해 접종을 마친 사람들도 개인 방역 수칙을 한동안 더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백신이 매우 효과적이고 특히 중증 감염이나 사망에 이르는 것을 막아준다는 데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백신 접종으로) 바이러스의 전파가 중단될 수 있다고는 볼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55 캐나다 험볼트 브롱코스 하키팀 희생자 행사 CN드림 18.04.24.
4254 캐나다 밴쿠버를 달리면 모두가 승리자 밴쿠버중앙일.. 18.04.24.
4253 캐나다 BC 초등학교 성적표 사립학교 상위권 휩쓸어 밴쿠버중앙일.. 18.04.24.
4252 캐나다 가평 승전 67주년 기념행사 토피노에서 거행 밴쿠버중앙일.. 18.04.24.
4251 캐나다 빈집세 가장 많이 낸 집, 얼마나 냈기에? 밴쿠버중앙일.. 18.04.24.
4250 캐나다 토론토 한인타운 질주한 밴... 9명 사망 밴쿠버중앙일.. 18.04.24.
4249 캐나다 ICBC "부상 소송비 줄여 부상자에게 지불" 밴쿠버중앙일.. 18.04.25.
4248 캐나다 "왜 꼭 '한인교회'만 다녀야 하나요?" 밴쿠버중앙일.. 18.04.25.
4247 캐나다 토론토 한인 희생자 사망 3명·중상 2명 밴쿠버중앙일.. 18.04.25.
4246 캐나다 세계 최대 마리화나 온실 BC에 밴쿠버중앙일.. 18.04.25.
4245 캐나다 “2018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밴쿠버중앙일.. 18.04.25.
4244 캐나다 봄 홍수 시즌 갑자기 불어나는 물에 차 조심 밴쿠버중앙일.. 18.04.26.
4243 캐나다 토론토 중상 한인 명단 공개돼 밴쿠버중앙일.. 18.04.26.
4242 캐나다 "지하 여유 공간에 손님 들여도 되나요?" 밴쿠버중앙일.. 18.04.26.
4241 캐나다 재닛 오스틴 신임 BC주총독 취임 밴쿠버중앙일.. 18.04.26.
4240 캐나다 EE이민 통과점수 441점...연중 최저 밴쿠버중앙일.. 18.04.26.
4239 캐나다 "EB-5 최저투자금50만불로 그린 카드를" 밴쿠버중앙일.. 18.04.27.
4238 캐나다 한국 노동자 평균 임금 캐나다보다 미화 1.5만 달러 많아 밴쿠버중앙일.. 18.04.27.
4237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궁금증 해결사 밴쿠버중앙일.. 18.04.27.
4236 캐나다 BC 마리화나 판매 법제화 시동 밴쿠버중앙일.. 18.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