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kQWMpcqd_d431f538f13f0947

Research Co.의 코로나19 관련 가계 재정 설문조사 발표자료 이미지 사진

 

BC주민 54% 이전보다 지출 증가

교통비는 이동제한에 오히려 감소

 

코로나19로 사회활동이 힘들어지면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고, 결국 BC주 절반 이상 가정들이 대유행 이전 보다 생활비 품목 중 식품비 지출이 유일하게 늘어난 품목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설문전문기업인 Research Co.가 15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가계 재정 설문조사 결과에서 BC주의 54%가 대유행 이전보다 식품비(groceries) 지출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는 7개의 주요 생활비 중 유일하게 절반을 넘는 항목이다.

 

연령별로 보면 18-34세가 48%, 35-54세가 50% 그리고 55세 이상이 63%로 나이가 많을수록 식품비도 늘었다. 지역별로는 메트로밴쿠버가 53%로 밴쿠버섬의 51%에 이어 가장 낮았다. 연간가계소득에서 5만 달러 이하 가구가 55%로 나머지 가구의 5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종별보 보면 동아시아인은 44%가 낮아졌다고 대답해 제일 높았다.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이동을 하지 않았다는 결과다. 가계 재정 상황 기준으로 아주 나빠진 가구는 교통비가 줄었다는 응답이 29%로 가장 낮아 결과적으로 어떻게 해서든 움직여야 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조금 나빠졌다는 가구는 반대로 46%로 가장 교통비 지출이 낮아졌다고 응답해 가장 취약한 고용 안전 계층이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줬다.

 

식품비 이외 주거비는 14%만이 늘어났다고 대답했다. 도서는 15%, 신문잡지비는 7%, 보드게임은 13%, 전자전기기기는 29%, 교통비는 18%가 늘어났다고 대답했다.

 

이들 항목 중 '교통비는 같다'가 41%, 그리고 '오히려 줄었다'가 37%로 나왔다. 즉 대유행으로 재택근무나 학교 온라인 수업, 그리고 이동 제한 등이 교통비를 아끼게 했다고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메트로밴쿠버가 교통비가 줄었다는 대답이 39%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밴쿠버섬으로 37%였다. 결과적으로 대도시에서 더 사회적 거리두기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출퇴근자들이나 학생이 많아서 상대적인 결과가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가계소득별 교통비 지출에서 10만 달러 이상 고소득 가정은 44%가 상대적으로 감소해 이동 없이도 재택근무나 자산 운용 등으로 고소득을 한 듯 하다. 반면 5만 달러 미만 저소득 가정은 상대적으로 교통비 절감 비율이 낮아, 결과적으로 어려워도 움직여야 소득을 낼 수 있었다는 얘기다.

 

인종별로 보면 동아시아인은 51%가 늘었다고 대답해 모든 이민자들 중에 가장 낮았다. 유럽계는 56%, 남아시아인은 63%로 나왔다. 코로나19 기간 준 가계 재정 상황 기준으로 볼 때 아주 심각하게 낮아졌다는 응답자의 75%가 식품비가 늘었다고 대답해 아주 나아졌다는 응답자의 40%와 비교됐다. 소득이 악화될수록 상대적으로 식품비 증가율이 높아져 코로나19식 엥겔지수를 보인 셈이다.

 

반면 아주 나아졌다는 응답자의 35%, 그리고 어느 정도 나아졌다와 같다고 대답한 응답자의 36%가 교통비가 줄었다고 대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가계 재정이 대유행 이전과 비교해 어떻냐는 질문에 아시아인들은 같다가 41%, 나아졌다가 20%로 나왔다. 남아시아인은 나아졌다는 비율이 29%로 가장 좋았다. 거주지역별로는 메트로밴쿠버가 19%가 나아졌다고, 44%가 같다고 대답해 프레이저벨리 다음으로 상황이 좋았다.

 

이번 조사는 3월 1일부터 3일까지 BC주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준오차는 +/- 3.5%포인트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1. 캡처.JPG (File Size:40.1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35 캐나다 "일부 석유류 반입시 주정부 별도 허가 거쳐야" 밴쿠버중앙일.. 18.04.27.
4234 캐나다 캐나다보훈처 '한국사 왜곡' 결국 정정 밴쿠버중앙일.. 18.04.28.
4233 캐나다 포드 "세단 안 판다" 전격 선언… 캐나다 공장 미래는? 밴쿠버중앙일.. 18.04.28.
4232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밴쿠버 한인도 큰 기대와 희망 품어 밴쿠버중앙일.. 18.04.28.
4231 캐나다 노틀리 주수상, “파이프라인 지지 보내 달라” 시민들에 요청 CN드림 18.05.01.
4230 캐나다 연방경찰, 험볼트 브롱코스 버스 사고 원인 규명 CN드림 18.05.01.
4229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바라보는 加언론 시각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8 캐나다 토론토 경찰 한인 3명 포함 사망자 명단 발표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7 캐나다 가스비 사상최고치 경신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6 캐나다 밴쿠버 대중교통개선비용 천문학적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5 캐나다 아마존, 밴쿠버에 3000명 새로 채용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4 캐나다 3명 교통사고의 진실 1년 만에 밝혀지나 밴쿠버중앙일.. 18.05.02.
4223 캐나다 노스욕 참사 캐나다 한글학교도 적극 참여 밴쿠버중앙일.. 18.05.03.
4222 캐나다 밴쿠버의 또 다른 랜드마크 추억 속으로 밴쿠버중앙일.. 18.05.03.
4221 캐나다 토론토의 다리에 대롱대롱 매달린 자동차 밴쿠버중앙일.. 18.05.03.
4220 캐나다 스카이트레인역사서 여성 폭행당한 이유가... 밴쿠버중앙일.. 18.05.04.
4219 캐나다 지갑 속 20달러가 위폐는 아닐까? 밴쿠버중앙일.. 18.05.04.
4218 캐나다 태양의 서커스가 다시 밴쿠버를 찾아온다 밴쿠버중앙일.. 18.05.04.
4217 캐나다 2월 캐나다 찾은 한국인 2만 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5.05.
4216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수용성 세계 4위 밴쿠버중앙일.. 18.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