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공문서 영사 확인 전 캐나다 정부 확인 선행 요구

오는 4월 19일부터, 아포스티유 협약국가 아니어서 불편

 

주밴쿠버대한민국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정부의 지침에 따라 2021년 4월 19일(월)부터 인감증명서 발급 위임장 영사확인 절차와 주재국 발행 공문서 및 공증문서 등의 영사확인 절차를 변경할 예정이라고 안내했다.

 

영사확인은 ▶ 인감증명 발급위임장의 경우, 문서가 관련법령에 따라 공관을 거쳤다는 사실을 확인하거나, ▶ 공문서 또는 공증문서의 경우, 당해 공무원 또는 공증인의 서명(직인)을 확인하여 주는 절차이다.

 

인감증명서 발급위임장 등 인감증명 관련문서 영사확인 절차 변경을 보면,  민원인이 인감증명서 발급 위임장 등 인감증명 관련문서를 영사확인 받으려면, 공관을 직접 방문하여 영사확인을 신청하고 자필 서명하여야 한다.

 

종래 민원인이 인감증명서 발급 위임장 등을 현지 공증인의 공증을 받은 다음 공관으로 우편 접수하면 공관이 영사 확인해 주던 방식이 더 이상 통용되지 않게 된다는 의미다.

 

변경 이유는 인감증명서 발급 위임장 등은 민원인의 재산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서인바, 재외공관이 직접 민원인의 신분 및 위임사실을 엄격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대한민국 정부의 지침에 따른 것이다.

 

또 주재국 발행 공문서 및 공증문서 영사확인 절차 변경은 민원인이 주재국 발행 공문서 및 공증인의 공증문서를 영사확인 받으려면, 종래와는 달리 공관으로 영사확인 신청 전, 그 문서의 성립에 관한 진정성에 대해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의 확인을 우선적으로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절차변경은 캐나다와 같이 아포스티유 협약국가가 아닌 경우, 주재국 공문서 또는 공증문서는 대한민국 공관의 영사확인 이전에 그 문서성립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재국 정부의 확인을 선행적으로 받아야 한다는 대한민국 정부의 지침에 따른 것이다.

 

이에 해당 하는 주요사례로 ▶ (주재국 발행 공문서) Criminal Record Check(CRC) 및 Vital Statistics 발행, 출생・혼인․사망증명서 등, ▶ (주재국 공증인의 공증문서) 민원인이 주재국 공증인으로부터 공증을 받은 문서, 캐나다 대학교 Degree 등 학적서류에 대한 공증문서 등이 있다.

 

문서 성립의 진정성에 대해 확인해 줄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에 대한 안내는 향후 밴쿠버총영사관 홈페이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밴쿠버 영사관은 변경될 절차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의 확인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공문서 및 공증문서의 영사확인 신청을 준비하는 민원인들은 미리 서둘러서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의 확인을 받아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가장 많은 민원 중 하나인 위임장은 종래처럼 민원인이 공관으로 직접 방문하여 담당영사의 공증을 받을 수 있는 절차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민원인이 공관을 방문한다면 굳이 주재국 공증인의 공증과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의 확인절차를 거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캐나다 시민권자의 위임장의 경우, 한국의 제출처에서 국내법령 등에 따라 주재국 공증인의 공증을 받을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므로 이와 관련 한국 제출처에 문의할 필요가 있으며, 공증인의 공증을 받아야 한다면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의 확인 절차를 거쳐 영사확인을 신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거주증명서․서명인증서․동일인증명서 등은 영사관이 직접 공증해주는 문서는 아니므로 주재국 공증인의 공증을 받은 다음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의 확인을 받아 영사확인을 신청하거나, 거주증명서를 정부기관으로부터 공문서로 발행받은 경우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에 확인받은 뒤 영사확인을 신청해야 함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변경 절차의 개시 일자는 대사관 및 각 총영사관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타 지역에서 신청할 경우 관할 대사관/총영사관 홈페이지를 참고 하라고 안내했다. 

 

또 밴쿠버 총영사관은 자세한 사항과 문서 확인을 위한 캐나다 정부 또는 주정부기관 안내는 향후 밴쿠버총영사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35 캐나다 "일부 석유류 반입시 주정부 별도 허가 거쳐야" 밴쿠버중앙일.. 18.04.27.
4234 캐나다 캐나다보훈처 '한국사 왜곡' 결국 정정 밴쿠버중앙일.. 18.04.28.
4233 캐나다 포드 "세단 안 판다" 전격 선언… 캐나다 공장 미래는? 밴쿠버중앙일.. 18.04.28.
4232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밴쿠버 한인도 큰 기대와 희망 품어 밴쿠버중앙일.. 18.04.28.
4231 캐나다 노틀리 주수상, “파이프라인 지지 보내 달라” 시민들에 요청 CN드림 18.05.01.
4230 캐나다 연방경찰, 험볼트 브롱코스 버스 사고 원인 규명 CN드림 18.05.01.
4229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바라보는 加언론 시각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8 캐나다 토론토 경찰 한인 3명 포함 사망자 명단 발표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7 캐나다 가스비 사상최고치 경신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6 캐나다 밴쿠버 대중교통개선비용 천문학적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5 캐나다 아마존, 밴쿠버에 3000명 새로 채용 밴쿠버중앙일.. 18.05.01.
4224 캐나다 3명 교통사고의 진실 1년 만에 밝혀지나 밴쿠버중앙일.. 18.05.02.
4223 캐나다 노스욕 참사 캐나다 한글학교도 적극 참여 밴쿠버중앙일.. 18.05.03.
4222 캐나다 밴쿠버의 또 다른 랜드마크 추억 속으로 밴쿠버중앙일.. 18.05.03.
4221 캐나다 토론토의 다리에 대롱대롱 매달린 자동차 밴쿠버중앙일.. 18.05.03.
4220 캐나다 스카이트레인역사서 여성 폭행당한 이유가... 밴쿠버중앙일.. 18.05.04.
4219 캐나다 지갑 속 20달러가 위폐는 아닐까? 밴쿠버중앙일.. 18.05.04.
4218 캐나다 태양의 서커스가 다시 밴쿠버를 찾아온다 밴쿠버중앙일.. 18.05.04.
4217 캐나다 2월 캐나다 찾은 한국인 2만 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5.05.
4216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수용성 세계 4위 밴쿠버중앙일.. 18.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