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0vZ8AgXw_c6d4d88b4139f17f

희생자의 아픔을 기억하고 함께 상생해가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

 

재외동포재단(이사장 김성곤) 임직원이 4월 5일 오후 제주 4.3 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했다.

 

임직원 일동을 대표하여 김성곤 이사장이 분향과 헌화를 하였고, 직원들도 각자 위령 제단에 꽃을 올리며 제주 4.3사건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이어 임직원은 4·3 평화기념관 일원을 둘러보며 제주 4.3 가치와 정신을 되새겼다.

 

김성곤 이사장은 “제주 4.3 사건은 다시는 일어나선 안 될 역사적 비극으로, 재외동포재단 임직원 일동은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고통과 슬픔을 기억하며, ‘평화의 섬 제주’의 일원으로서 함께 상생의 길을 나아가는 이정표로 삼겠다”고 말했다.

 

한편, 재단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지침에 따라 직원 간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및 발열 체크, 손소독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참배를 진행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5 캐나다 4월 1일 기준 전국 백신 접종률 9.18%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1974 캐나다 BC주 6월말까지 18세 이상 성인 접종 가능한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1973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접종을 위해 민간기업을 이용할 것 Hancatimes 21.04.02.
1972 캐나다 약국들이 예방접종에 동참함에 따라 몬트리올 지역의 접종 연령 60세까지 확대 Hancatimes 21.04.02.
1971 캐나다 퀘벡주정부와 연방정부, 초고속 인터넷 확장을 위해 약 8억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1970 캐나다 퀘벡주, 다음 백신 예방접종을 위한 우선순위 여전히 고민중 Hancatimes 21.04.02.
1969 캐나다 퀘벡주, 이전에 COVID-19 감염된 사람들에게 단일 백신 접종 권장 Hancatimes 21.04.02.
1968 캐나다 퀘벡주 고등학생들 3월 29일부터 다시 학교로 돌아가… Hancatimes 21.04.02.
1967 캐나다 학교 스포츠 인프라 개선을 위해 약 1억 2,500만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1966 캐나다 교원협회, 학생들의 학교 복귀로 인한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4.02.
1965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경제’에 관한 예산안 발표 Hancatimes 21.04.02.
1964 캐나다 퀘벡주, 26일부터 체육관 영업 재개 Hancatimes 21.04.02.
1963 캐나다 BC주 변이바이러스 감염자 수 전국 2위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1962 캐나다 [넬리 신 연방하원의원 특별 인터뷰-1] 한인과 모든 소수민족의 대변자로 활동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1961 캐나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12-15세 청소년 100% 효과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1960 캐나다 밴쿠버 식당 2곳 영업 계속, 당국 규제에 반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7.
1959 캐나다 부활절 나흘간 BC주 코로나19 성적표...일일 평균 101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7.
»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임직원, 제주 4.3 평화공원 참배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7.
1957 캐나다 BC 코로나19 백신접종 3단계 예약은 온라인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8.
1956 캐나다 BC, 연방-주정부 코로나19 대응 만족도 높은 편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