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kHaItdgj_2b6d8177662b04dd

 

 

'접종 거부하겠다'는 응답도 23%

BC주민 절반 '주정부 백신 잘 공급'

 

65세 이상 안전성 문제와 혈전 생성의 부작용 등으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해 캐나다인 절반 이상이 불안감을 표했다.

 

설문조사전문기업 앵거스리드가 12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최신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54%가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해 불안하다고 대답했다.

 

'안심한다'고 답한 사람은 41%였으며, '모른다'가 5%로 나왔다.

 

'불안하다'고 답한 54%의 사람들을 다시 나누어보면, '그래도 접종하겠다'가 15%, '거부하겠다'가 23%, 그리고 '모르겠다'가 16%로 나타났다.

 

반면 화이자에 대해서는 92%가, 모더나는 90%, 그리고 존슨앤존슨에 대해서는 70%가 '안심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능하면 받겠느냐는 질문에서 '가능한 빨리'라고 대답한 비율이 69%로, '맞겠지만 좀 기다려보겠다'의 13%, '절대로 맞지 않겠다' 10%, '모르겠다' 8%에 비해 크게 앞섰다. 

 

이와 관련한 질문이 시작된 작년 7월 24일에는 46%가 '즉시', 그리고 '기다려본다'가 32%, '안 맞겠다'가 14%, 그리고 '모르겠다'가 8%로 나왔었다.

 

이후 '즉시 맞겠다'는 대답은 39%까지 하락했다가 작년 12월 실제 백신이 공급되자 48%로 늘어난 이후 계속 상승했다. 반면 '기다려보겠다'는 대답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접종을 이미 1회 이상 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87%가 '매우 좋다'고 대답했으며, 11%가 '괜찮다'고 대답했고, '별로'라는 대답은 2%에 불과했다.

 

최근 연방정부와 주정부 보건당국이 1차 접종과 2차 접종 시기의 간격을 4개월까지 늘린 것에 대해 캐나다 전체적으로 원래대로 기간이 짧게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70%였다. BC주는 62%로 보건당국의 입장에 가장 동조하는 주가 됐다.

 

지난 13개월 동안 몸이 아플 때 코로나19에 걸렸다고 생각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국적으로 12%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BC주는 9%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현재 정부가 발표한 코로나19 환자 수에 대해 '실제 수보다 적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33%, '정확하다'가 32%로 나왔다. 반면 '너무 많다'는 21%였다. BC주민은 '정확하다'가 34%, '적다'가 31%, '많다'가 19%로 생각했다.

 

캐나다는 충분하게 백신 확보를 잘 하고 있냐는 질문에 대해 작년 12월 조사에서는 47%가 '그렇다'고 대답하고 23%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대답했는데, 이후 '충분히 확보했다'는 응답은 3월까지 점차 감소했다가 이번에 31%로 조금 회복했다. 반면 '충분하지 못하다'는 응답은 점차 높아져 2월 57%까지 높아진 이후 이번에 55%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연방정부가 각 주정부에 효율적으로 백신을 잘 배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번 조사에서 50%가 '믿지 못한다'고 대답해 '믿는다'의 45%보다 높았다. 처음 백신이 들어왔던 작년 12월 58%가 '믿는다'고 대답하고 36%가 '믿지 못한다'고 대답했던 것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각 주정부가 제대로 백신접종을 잘 관리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BC주는 54%로 나왔다. 반면 온타리오주는 33%, 마니토바주는 34%, 알버타주는 46%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퀘벡주는 65%, 대서양연해주와 사스카추언주는 60%로 나왔다.

 

이번 설문조사는 4월 5일부터 8일까지 전국의 157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준오차는 +/- 2.5%포인트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35 캐나다 "캐나다 이주 시 한국 연금 해지 말아야" 밴쿠버중앙일.. 18.03.21.
4334 캐나다 "크레이그리스트보다 무서운 놈이 나타났다" 밴쿠버중앙일.. 18.03.21.
4333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한발짝 앞으로, 7월 법제화 가능성 높아 밴쿠버중앙일.. 18.03.28.
4332 캐나다 휴대폰 요금 얼마나 내려갈까 밴쿠버중앙일.. 18.03.28.
4331 캐나다 프리랜드 외교장관, 한국 가서 강 장관과 나눌 말은 밴쿠버중앙일.. 18.03.28.
4330 캐나다 이민자에 가장 부정적인 州 어디? 밴쿠버중앙일.. 18.03.28.
4329 캐나다 2017년 BC 새 이민자 3만8000명 밴쿠버중앙일.. 18.03.28.
4328 캐나다 그래프로 보는 캐나다인의 야외 활동 통계 밴쿠버중앙일.. 18.03.28.
4327 캐나다 스패니시 뱅크 주차비 일단 없던 일로 밴쿠버중앙일.. 18.03.31.
4326 캐나다 한국문화, 5월의 메트로 밴쿠버 강타한다 밴쿠버중앙일.. 18.03.31.
4325 캐나다 "집주인, 반려동물 있는 세입자 거부권 가져야" 63% 밴쿠버중앙일.. 18.03.31.
4324 캐나다 한국정전 65주년 되새긴 행사, 밴쿠버서 열렸다 밴쿠버중앙일.. 18.03.31.
4323 캐나다 노틀리 주정부, 2023년 균형재정 달성 목표 CN드림 18.04.04.
4322 캐나다 세계한인, 304개의 작은꿈을 추모하기 위한 한 목소리 밴쿠버중앙일.. 18.04.06.
4321 캐나다 부동산 경제 | 자영업계, “일손 구하기 어려워” 밴쿠버중앙일.. 18.04.06.
4320 캐나다 봄, 메트로밴쿠버 주택거래 큰 폭 하락 밴쿠버중앙일.. 18.04.06.
4319 캐나다 세계한인 | 여권의 로마자 성명, 성인이 된 후 ‘1회 변경’ 가능 밴쿠버중앙일.. 18.04.06.
4318 캐나다 "올여름 막히면 돌아가는게 상책" 밴쿠버중앙일.. 18.04.06.
4317 캐나다 밴쿠버 민주평통 위원 재정비 완료 밴쿠버중앙일.. 18.04.06.
4316 캐나다 캐나다 이민 남들은 쉽다지만 한인에겐 어려워 밴쿠버중앙일.. 18.04.06.